그리세로르린�톨
그리세로르린�톨(Glycerol phosphate shuttle) 또는 그리세로르3-인산 셔틀(Glycerol-3-phosphate shuttle)은, 진핵생물에 대해 세포질의 해당계등에서 부산물로서 생긴 NADH로부터 NAD+를 재생하는 기구의 하나이다.동물[1], 진균류[2], 식물[3], 원생 생물[4]등에 넓게 존재하고 있다.
목차
배경
NAD+/NADH는 세포내의 여러가지 대사계에 있어서의 산화 환원 효소의 조효소가 되어, 어느 반응으로부터 다른 반응으로 전자를 옮기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이화는 큰 범위로 보면 산화 반응이며, 거기에 따라 산화형의 NAD+가 환원형의 NADH로 변화하기 위해(때문에), 대사를 계속하기 위해서는 NADH를 재산화할 필요가 있다.진핵생물이 호기적 조건에 있는 경우, 일반적으로는 미토콘드리아의 전자 전달계가 분자장 산소를 사용해 NADH를 산화해, 그 환원력을 효과적으로 이용해 ATP 합성을 실시하고 있다.그러나 NADH는 미토콘드리아내막을 투과 할 수 없기 때문에, 세포질로 생긴 NADH를 효율적으로 재산화하기 위한 구조가 필요하게 된다.
그리세로르린�톨은 그러한 구조의 하나이며, 그 밖에도 여러가지 기구가 알려져 있다.포유류로는 통상 사과산-아스파라긴산 셔틀이 주로 기능하고 있어, 그리세로르린�톨은 특정의 세포에서만 기능하고 있다.식물로는 사과산-아스파라긴산 셔틀 이외에도 사과산오키자로 초산 셔틀이 알려져 있다.또 진균류나 식물등에는, 세포질측의 NADH를 직접 호흡쇠사슬로 산화하는 2형 NADH 데히드로게나제가 존재한다.산소 호흡을 실시할 수 없는 조건으로는, 예를 들어 유산 발효에 의해서 NAD+를 재생한다.
기구
그리세로르린�톨은, 세포질에 있는 NAD 의존성 그리세로르3-린�데히드로게나제(cGPDH; EC 1.1. 1.8)과 미토콘드리아내막의 막간강측에표재 하는 FAD 의존성 그리세로르3-린�데히드로게나제(mGPDH; EC 1.1. 5.3)으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세포질의 cGPDH는 NADH를 NAD+에 산화해 디히드록시 아세톤 인산(DHAP)을 그리세로르3-인산(G3P)에 환원한다.G3P나 DHAP은 분자량이 작고, 포린을 다니며 미토콘드리아외막을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다.그렇게 해서 막간강에 들어간 G3P는, 미토콘드리아내막상의 mGPDH에 의해서 DHAP에 산화되어 생긴 DHAP은 세포질로 돌아온다.이 때 mGPDH는 조효소의 FAD를 개입시켜 전자 전달계의 유비키논(CoQ10)을 환원하므로, 복합체 III나 복합체 IV의 기능으로 플로톤 농도 구배를 형성해 산화적 인산화 등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역사
1956년부터 1959년에 걸치고, 마르브르크 대학의 Ernst Zebe등이 트노사마밧타를 이용해[5][6], 또 펜실베이니아 대학(당시 )의 Bertram Sacktor등이 이에바에를 이용해[7], 각각 독립에 비상관계에 2개의 그리세로르3-린�데히드로게나제로부터 되는 셔틀계가 존재하는 것을 제창했다.1975년이 되면 햄스터의 갈색 지방조직에도 존재하는 것이 밝혀져, 포유류에 있어도 생리적 중요성을 가진다고 생각할 수 있게 된[8].
관련 항목
참고 문헌
- ^ Mracek T, et al. (2013). "The function and the role of the mitochondrial 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 in mammalian tissues". Biochim. Biophys. Acta 1827 (3): 401-410. doi:10.1016/j.bbabio. 2012.11. 014.
- ^ Rigoulet M, et al. (2004). "Organization and regulation of the cytosolic NADH metabolism in the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Mol. Cell. Biochem. 256-257 (1-2): 73-81. PMID 14977171.
- ^ Shen W, et al. (2006). "Involvement of a 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 in modulating the NADH/NAD+ ratio provides evidence of a mitochondrial glycerol-3-phosphate shuttle in Arabidopsis". Plant Cell 18 (2): 422–441. doi:10.1105/tpc. 105.039750. PMC 1356549 .
- ^ Guerra DG, et al. (2006). "The mitochondrial FAD-dependent 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 of Trypanosomatidae and the glycosomal redox balance of insect stages of Trypanosoma brucei and Leishmania spp.". Mol. Biochem. Parasitol. 149 (2): 155-169. doi:10.1016/j.molbiopara. 2006.05. 006.
- ^ H. Zebe, A. Delbruck, T. Bucher (1957). "Glycerophosphatdehydrogenase unter zellphysiologischen Aspekten". Ber. ges. Physiol. exp. Pharmakol.. 189. Tagung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r Physiol. Chemie, Hamburg, Sept. 1956. pp. 115-116
- ^ E. Zebe, A. Delbruck, Th. Bucher (1959). "Uber den Glycerin-1-P-Cyclus im Flugmuskel von Locusta migratoria". Biochem. Z. 331: 254-272.
- ^ Estabrook RW & Sacktor B (1958). "α-Glycerophosphate oxidase of flight muscle mitochondria". J. Biol. Chem. 233 (4): 1014-1019.
- ^ Houstek J, et al. (1975). "Gylcerol-3-phosphate shuttle and its function in intermediary metabolism of hamster brown-adipose tissue". Eur. J. Biochem. 54 (1): 11-18. doi:10.1111/j. 1432-1033. 1975. tb04107.x.
This article is taken from the Japanese Wikipedia 그리세로르린�톨
This article is distributed by cc-by-sa or GFDL license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Wikipedia.
In addition, Tranpedia is simply not responsible for any show is only by translating the writings of foreign licenses that are compatible with CC-BY-SA license information.
0 개의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