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4월 28일 목요일

주쌍성 혹성

주쌍성 혹성

최초로 확인된 주쌍성 혹성인 PSR B1620-26 b의 상상도.주성의 PSR B1620-26중성자별백색 난장이별의 쌍성계로, 안쪽에 작게 그려져 있다.

주쌍성 혹성(수련 탓혹성, Circumbinary planet)이란, 단일의 항성 대신에 쌍성계의 주위를 공전하는 혹성이다.태양은 단일별이므로, 이 용어는 태양계 외행성 에 대해서만 사용된다.2009년 12월까지, PSR B1620-26, 소녀좌 HW별의 2개의 쌍성에 주쌍성 혹성을 가지는 혹성계가 확인되어 그 밖에도 몇개의 쌍성에 주쌍성 혹성의 후보가 관측되고 있다.

관측과 발견

확인된 혹성

주쌍성 혹성이 최초로 발견된 계는, PSR B1620-26이다.이것은 밀리 세컨드 펄서백색 난장이별로부터 구성된 쌍성으로, M4구상성단에 속하고 있다.최초로 제3의 천체가 보고된 것은 1993년의 일로[1], 5년간의 관측에 의해 그 정체가 혹성인 것이 나타난[2].2003년에는, 이 혹성은 목성의 2.5배의 질량을 가져, 궤도 장반경 23 AU의 진원에 가까운 궤도를 따라서 주회 하고 있다고 하는 연구가 발표된[3].

2008년에는, 소녀좌 HW별로 불리는 B형 준왜성적색 왜성으로부터 되는 식련성의 주위에, 복수의 혹성이 존재한다고 보고되었다.안쪽의 혹성은 최저 질량이 목성의 8.47배, 외측의 혹성은 19.23배, 공전주기는 각각 9년과 16년이다.질량을 기준으로 한 정의[4]에 의하면 외측의 천체는 갈색 왜성으로 분류되지만, 발견 팀은 궤도의 성질에 근거해, 이 천체가 혹성과 같이 원시 혹성계 원반으로 형성된 가능성을 주장하고 있다.이러한 혹성은 원래는 보다 질량의 작은 천체였지만, 쌍성의 주성이 적색거성이 되어 질량을 방출했을 때에 질량이 덧붙여졌다고 생각되고 있는[5].

2011년에는, 케프라의 성과로서 2개의 태양을 도는 케프라 16 b가 발견되었다.이 별계, 당초는 단순한 식련성계라고 보여지고 있었지만, 음식이 일어나지 않을 때에도 빛이 감소하는 것이 발견되어 제3의 별의 가능성이 검토되었다.그 결과, 229 일주기에 도는 토성 클래스의 혹성이 발견되었다.[6]

2012년에는, 2개의 태양을 도는 2개의 혹성이 케프라 47으로 발견되었다.

그 외의 관측

주쌍성 원반을 가지는 쌍성계 HD 98800 B의 상상도.안쪽에 그려진 다른 페어(HD 98800 A)와 함께 4 쌍성계를 이루고 있다.

1999년, 근접한 쌍성계인 MACHO-1997-BLG-41의 주위에, 중력 마이크로 렌즈법을 이용해 혹성을 발견했던 것이 보고된[7].이 혹성은 쌍성으로부터 멀어진 궤도를 공전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었지만, 혹성의 존재의 근거로 여겨진 관측 결과가 쌍성 자체의 운동에 의해서 충분히 설명할 수 있는 것을 알아, 보고는 취하된[8].

또, 그리제 630.1으로 불리는 3 쌍성계의 일부를 구성해, 식련성이라고 해도 지라레루리우좌 CM별은, 몇차례에 걸쳐서 계 외행성 탐사의 대상이 되었다.음식 검출법에 따르는 관측으로는 몇개의 혹성의 존재가 가정되었지만 확증은 얻지 못하고, 최종적으로는 모든 혹성 후보의 가능성이 제외된[9][10].그 후, 혹성의 영향을 받아 쌍성계가 운동하는 것으로 음식의 간격이 변동하는 모습을 파악하는 방법이 이용되게 되었지만, 2009년의 시점에서는 혹성의 실증에는 이르지 않았다.다만 쌍성의 궤도는 이심율이 완전하게 0은 아니기 때문에, 외측에 쌍성의 궤도를 타원화하는 거대 혹성이나 갈색 왜성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11].

주쌍성 혹성 자체의 관측예가 적은 한편, 주쌍성 혹성의 형성을 시사하는 주쌍성 원반은 복수의 별에 발견되고 있어 항성간의 거리가 3 AU이하의 쌍성계로는 일반적인 것이라고 생각되고 있는[12][13].예를 들면 HD 98800으로 불리는 다중 쌍성계로는, 34 AU 떨어진 2개의 쌍성계가 4 쌍성계를 구성해 있지만, 그 중 HD 98800 B로 불리는 페어는 0.70 태양 질량과 0.58 태양 질량의 항성이 궤도 장반경 0.983 AU의 장 타원 궤도로 공통 중심을 주회 하는 쌍성이 되어 있어, 주위에는 주쌍성 원반이 발견되고 있다.이 원반은 서로 경사해 이심율의 높은 쌍성의 궤도에 의해서 삐뚤어져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14][15].한편으로 HD 98800 A의 페어에는 의미가 있는 양의 더스트는 존재하지 않는[16].

주쌍성 혹성의 일람

쌍성 혹성 질량
(MJ)
궤도 장반경
(AU)
공전주기

발견년 상태
MACHO-1997-BLG-41 b ~3 ~7  ? 1999 철회
PSR B1620-26 b 2.5 23 100 2003 확인이 끝난 상태
소녀좌 HW별 b ≧19.23±0.24 5.30 15.84 2008 확인이 끝난 상태
c ≧8.47±0.42 3.62±0.52 9.08±0.22 2008 확인이 끝난 상태
뱀좌 NN별 b ≧10.7 3.29 7.56 2009 확인이 끝난 상태
소녀좌 QS별 b ≧6.4 4.2 7.86 2009 의문
사자좌 DP별 b ≧6.28 8.6 23.8 2009 확인이 끝난 상태
케프라 16 b 0.333 ±0.016 0.7048±0.001 0.626784 2011 확인이 끝난 상태
케프라 34 b 0.22 1.0896 0.7908 2012 확인이 끝난 상태
케프라 35 b 0.127 0.60347 0.3599 2012 확인이 끝난 상태
케프라 38 b 0.384 0.4632 0.2891 2012 확인이 끝난 상태
케프라 47 b < 2.7 0.2956 0.1357 2012 확인이 끝난 상태
c < 17 0.989 0.8306 2012 확인이 끝난 상태
NSVS 1425 b 2.8 ±0.3 1.9 ±0.3 3.496 ±0.211 2012 확인이 끝난 상태
c 8±0.8 2.9 ±0.6 6.866 ±0.249 2012 확인이 끝난 상태
케프라 64 A b < 0.532 0.634 ±0.011 0.37947+0.00029
−0.00025
2012 확인이 끝난 상태
케프라 413 b 0.211 0.3553 0.1814 2013/2014 확인이 끝난 상태
케프라 451 b 1.9 0.92 1.1389 2015 확인이 끝난 상태
케프라 453 b 0.0006 0.7903 0.6585 2015 확인이 끝난 상태

픽션중의 주쌍성 혹성

스타・워즈」시리즈에 등장하는 가공의 혹성 타트인은, 근접한 쌍성계의 주위를 공전하는 주쌍성 혹성인[12].

참고 문헌

  1. ^ Backer, D. C. (1993). "A pulsar timing tutorial and NRAO Green Bank observations of PSR 1257+12". In: Planets around pulsars;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California Inst. of Technology, Pasadena, Apr. 30-May 1, 1992: 11-18. http://adsabs.harvard.edu/abs/1993 ASPC...36...11 B. 
  2. ^ Thorsett, S. E. et al. (2003). "PSR B1620-26 - A binary radio pulsar with a planetary companion?". The Astrophysical Journal 412 (1): L33-L36. doi:10.1086/186933. http://adsabs.harvard.edu/abs/1993 ApJ...412 L..33 T. 
  3. ^ Sigurdsson, S. et al. (2003). "A Young White Dwarf Companion to Pulsar B1620-26: Evidence for Early Planet Formation". Science 301 (5630): 193-196. doi:10.1126/science. 1086326. http://adsabs.harvard.edu/abs/2003 Sci...301..193 S. 
  4. ^ "Defintion of a "Planet"". Working Group on Extrasolar Planets, IAU (2003년 2월 28일). 2009년 12월 18일 열람.
  5. ^ Lee, J. W. et al. (2009). "The sdB+M Eclipsing System HW Virginis and its Circumbinary Planets". The Astronomical Journal 137 (2): 3181-3190. doi:10.1088/0004-6256/137/2/3181. http://adsabs.harvard.edu/abs/2009 AJ....137.3181 L. 
  6. ^ "태양"이 2개 있는 토성형의 계 외행성
  7. ^ Bennett, D. P. et al. (1999). "Discovery of a planet orbiting a binary star system from gravitational microlensing". Nature 402 (6757): 57-59. doi:10.1038/46990. http://ads.nao.ac.jp/abs/1999 Natur. 402...57 B. 
  8. ^ Albrow, M. D. et al. (2000). "Detection of Rotation in a Binary Microlens: PLANET Photometry of MACHO 97-BLG-41". The Astrophysical Journal 534 (2): 894-906. doi:10.1086/308798. http://ads.nao.ac.jp/abs/2000 ApJ...534..894 A. 
  9. ^ "The TEP network". The TEP network. 2009년 12월 18일 열람.
  10. ^ Doyle, L. R. et al. (2000). "Observational Limits on Terrestrial-sized Inner Planets around the CM Draconis System Using the Photometric Transit Method with a Matched-Filter Algorithm". The Astrophysical Journal 535 (1): 338-349. doi:10.1086/308830. http://ads.nao.ac.jp/abs/2000 ApJ...535..338 D. 
  11. ^ Morales, J. C. et al. (2009). "Absolute Properties of the Low-Mass Eclipsing Binary CM Draconis". The Astrophysical Journal 691 (2): 1400-1411. doi:10.1088/0004-637 X/691/2/1400. http://ads.nao.ac.jp/abs/2009 ApJ...691.1400 M. 
  12. ^ a b "Worlds with Double Sunsets Common". SPACE.com. http://www.space.com/scienceastronomy/070329_double_sunsets.html 2009년 12월 18일 열람. 
  13. ^ Trilling, D. E. et al. (2007). "Debris disks in main-sequence binary systems". The Astrophysical Journal 658 (2): 1264-1288. doi:10.1086/511668. http://ads.nao.ac.jp/abs/2007 ApJ...658.1289 T. 
  14. ^ Akeson, R. L. et al. (2007). "The Circumbinary Disk of HD 98800 B: Evidence for Disk Warping". The Astrophysical Journal 670 (2): 1240-1246. doi:10.1086/522579. http://ads.nao.ac.jp/abs/2007 ApJ...670.1240 A. 
  15. ^ Verrier, P. E. & Evans, N. W. (2008). "HD 98800: a most unusual debris disc".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90 (4): 1377-1387. doi:10.1111/j.1365-2966.2008.13854.x. http://ads.nao.ac.jp/abs/2008MNRAS.390.1377V. 
  16. ^ Prato, L. et al. (2001). "Keck Diffraction-limited Imaging of the Young Quadruple Star System HD 98800". The Astrophysical Journal 549 (1): 590-598. doi:10.1086/319061. http://ads.nao.ac.jp/abs/2001 ApJ...549..590 P. 

관련 항목

This article is taken from the Japanese Wikipedia 주쌍성 혹성

This article is distributed by cc-by-sa or GFDL license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Wikipedia.

Wikipedia and Tranpedia does not guarantee the accuracy of this document. See our disclaimer for more information.

In addition, Tranpedia is simply not responsible for any show is only by translating the writings of foreign licenses that are compatible with CC-BY-SA license information.

0 개의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