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엔탈리즘
| | 출전은 열거할 뿐만 아니라, 각주등을 이용해 어느 기술의 정보원인지를 명기해 주세요.기사의 신뢰성 향상에 협력을 부탁드리겠습니다.(2012년 12월) |
오리엔탈리즘(영: Orientalism, 불: Orientalisme)이란, 원래, 특히 미술의 세계에 있고, 서유럽에는 없는 이문명의 사물・풍속(그것들은"동양"으로서 한덩어리로 되었다)에 대해서 안긴 동경이나 호기심등의 일을 의미한다.서양사나 미술사등의 분야에서는 「동방 취미」 「동양 지향」등의 역어가 주어져 왔다.
그렇지만 팔레스타인 출신의 미국의 비평가, 에드워드・사이드(1935-2003)의 저서 「오리엔탈리즘」Orientalism(1978년)에 대하고, 오늘날과 같고 새로운 의미가 이 말에 부여되었다.후자의 개념으로 사용될 때는, 번역으로는 그대로 「오리엔탈리즘」이라고 표기되는 것이 많다.
개요
사이드는 역사를 통해 서유럽이, 스스로의 내부라고 해도 선반 있어 「이질의」본질로 간주한 것을 「오리엔트」( 「동양」)에 꽉 눌러 왔다고 해, 「동양」을 기분 나쁜 것, 이질의 것으로 해 규정하는 서양의 자세를 오리엔탈리즘이라고 불러, 비판했다.또, 사이드는 단지 서유럽과 그 이외의 지역만의 대비가 아니고, 같은 권력 구조・가치관을 내포 하고 있는 자민족 중심주의와 같은 타문화나 타국에 대한 사상・가치 체계도 오리엔탈리즘으로서와 같이 비판하고 있다.그 때문에, 사이드가 말하는 곳(중)의 「오리엔탈리즘」을 이해하는 경우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오리엔트」( 「동양」, 「동양적」, 「동양성」)과는 서유럽에 의해서 만들어진 이미지이며, 문학, 역사학, 인류학 등, 광범위한 문화 활동안으로 보여진다.사이드에 의하면, 그것은 자주 우월감이나 오만함이나 편견과 결합되는 것만이 아니고, 구미의 제국주의의 기반이나 되었다고 여겨진다.이 때문에 엘네스트・르난, 버나드・루이스, V・S・네이폴등도, 편견을 넓히는 인물로서 사이드에 비판되었다.이 비판에는 루이스로부터의 반론도 있어, 사이드의 문제 제기 이후, 오리엔탈리즘을 소재로 한 연구나 논쟁이 계속 되고 있다.
오리엔탈리즘의 일종으로서는, 「동양」, 혹은 스스로보다 뒤떨어지고 있다고 인식되는 나라나 문화를, 성적으로 착취 가능한 여성으로서 그린다, 라고 하는 경향도 지적되고 있다.구체적인 예로서는, 이미지의 한 명 걸어 하고 있는 하렘이나, 게이샤, 그리고, 비교적 최근의 작품으로는 「미스・사이공」이나, 디즈니 영화의 「포카혼타스」 등에도 오리엔타리스틱인 시점을 볼 수 있다.또 이슬람 과격파안에는 비이슬람교도의 여성에 대해서 같은 시선을 향하는 일이 있어, 이것은 서양풍으로 불린다.
관련 항목
참고 문헌
- 우르스・업 「오리엔탈리즘의 탄생」Urs App. The Birth of Orientalism.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0 (hardcover, ISBN 978-0-8122-4261-4)
- 우르스・업 Urs App: William Jones's Ancient Theology. Sino-Platonic Papers Nr. 191 (September 2009) (PDF 3.7 Mb PDF, 125 p. ;윌리엄・존스의 제3, 제6, 제9"Yearly discourse"를 포함한다)
- 에드워드・사이드 「오리엔탈리즘」이마사와 노리코역, 판자 울타리 유조・스기타 히데아키 감수, 헤본사 도서관 상하권, 1993년.ISBN 4582760112, ISBN 4582760120
- 폴・A・코엔 「지의 제국주의-오리엔탈리즘과 중국상」사토 신이치역, 헤본사, 1988년.
- 아오키 타모츠 「문화의 부정성」중앙공론 신사, 1988년.
- 강상중 「오리엔탈리즘의 저 쪽에-근대 문화 비판」이와나미 서점〈이와나미 현대문고〉, 2004년.
- 미영신미 「환상의 동양-오리엔탈리즘의 계보」지쿠마 서점〈치기미 학예 문고〉, 2005년.
This article is taken from the Japanese Wikipedia 오리엔탈리즘
This article is distributed by cc-by-sa or GFDL license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Wikipedia.
In addition, Tranpedia is simply not responsible for any show is only by translating the writings of foreign licenses that are compatible with CC-BY-SA license information.
0 개의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