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시마크로노리
치시마크로노리 | ||||||||||||||||||||||||
---|---|---|---|---|---|---|---|---|---|---|---|---|---|---|---|---|---|---|---|---|---|---|---|---|
분류 | ||||||||||||||||||||||||
| ||||||||||||||||||||||||
학명 | ||||||||||||||||||||||||
Pyropia kurogii (S. C. Lindstrom) S. C. Lindstrom[1] | ||||||||||||||||||||||||
동의어 | ||||||||||||||||||||||||
Porphyra kurogii S. C. Lindstrom[2] | ||||||||||||||||||||||||
일본에서 부르는 이름 | ||||||||||||||||||||||||
치시마크로노리[3] |
치시마크로노리(치시마 흑해이끼, 학명:Pyropia kurogii)는, 홍조로 우시케노리과아마노리속으로 분류되는 김의 1종.종소명 kurogii는 해초류 학자 쿠로키종상에의 헌명.
분포
홋카이도 동부, 쿠릴 열도, 가라후토, 알래스카, 캐나다의 태평양기슭에 분포하는[3].
역사
본종의 학명은이면서 구Porphyra umbilicalis로 여겨져 왔지만, 별종인 것을 알 수 있어 1992년에 신종 Porphyra kurogii로서 기재된[2].그 후 분자 계통 해석에 근거하는 아마노리류의 분류 재검토에 의해 Pyropia속이 재건되어 거기에 옮겨진[1][4].
참고 문헌
- ^ a b Sutherland, J.E., et al. (2011). "A new look at an ancient order: generic revision of the Bangiales (Rhodophyta)"(pdf). J. Phycol. 47 (5): 1131-1151. doi:10.1111/j.1529-8817.2011.01052.x .
- ^ a b Lindstrom, S.C. & Cole, K.M. (1992). "A revision of the species of Porphyra (Rhodophyta, Bangiales) occurring in British Columbia and adjacent waters". Can. J. Bot. 70 (10): 2066-2075. doi:10.1139/b92-256.
- ^ a b아리가우승. "치시마크로노리"(일본어). 김의 콩도감. 김증식 진흥회. 2014년 10월 23일 열람.
- ^아리가우승(2013년 1월 22일). "아마노리류의 학명"(일본어). 김의 콩도감. 김증식 진흥회. 2015년 2월 28일 열람.
This article is taken from the Japanese Wikipedia 치시마크로노리
This article is distributed by cc-by-sa or GFDL license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Wikipedia.
In addition, Tranpedia is simply not responsible for any show is only by translating the writings of foreign licenses that are compatible with CC-BY-SA license information.
0 개의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