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12월 6일 화요일

페미니스트 인식론

페미니스트 인식론

페미니스트 인식론(후미니스와에 시 와라, : Feminist epistemology)이란, 인식론의 문제, 즉 지식의 이론을 페미니스트적인 관점으로부터 검토하는 분야이다.엘리자베스・앤더슨에 의하면, 페미니스트 인식론의 테마는, 우리가 가지는 지식의 개념과 「탐구와 정당화라고 하는 실천」이 어떻게 젠더의 영향을 받고 있을까인[1].일반적으로는 사회 인식론의 하나의 하위 분류로서 생각되고 있다.

엘리자베스・앤더슨은, 상황화 된 지식(situated knowledge)이라고 하는 개념이 페미니스트 인식론에 있어 중심적인 중요성을 가진다고 논하고 있다.다나・배 웨이에 의하면, 대부분의 지식(특히 학술적 지식)은 항상 상황화 되고 있어 「특정의 입장에 있는 액터에 의해서, 모든 장소에(두어)라고, 연구에 관련되는 모든 관계(성) 아래에서 만들어지고 있다」(Cook, et al.)[2].따라서, 알려져 있는 일과 그 지식이 어떻게 알려질 수 있었는지는, 지식을 가지는 것의 입장(상황과 관점)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다.

영국의 페미니스트 철학자 미란다・플릭커는, 사회적 부정도리나 정치적 부정도리 뿐만이 아니라, 2 종류의 「인지적」부정도리(epistemic injustices)도 존재한다고 생각해 그것들은 증언적 부정도리(testimonial injustice)와 해석학적 부정도리(hermeneutical injustice)이다고 주장했다.증언적 부정도리란, 「말하는 사람의 말에 대해서 낮은 신뢰성 밖에 주지 않는다」같게 일하는 편견인[3].플릭커는 예로서 여성이 젠더의 탓으로 비즈니스회합의 장면에서 신용을 얻을 수 없었다고 하는 상황을 들고 있다.그녀는 논리적으로 의견을 말했을지도 모르지만, 주위의 사람은 편견의 탓으로 그녀의 논의가 실제보다 불충분 혹은 불성실하게 생각되어 버려, 결과적으로 실제보다 신용할 수 없다고 판단한다.플릭커에 의하면, 이러한 케이스로는, 있을 수 있었을지도 모르는 결과(예를 들면, 말하는 사람의 승진)에 있어서의 부정도리 뿐만이 아니라, 증언적인 부정도리도 존재하고 있다.이것은 「특히, 지식을 가지는 인물로서의 능력에 관해서 오해 받는다고 하는 점으로 부정도리」인[4].

해석학적 부정도리란, 「말하는 사람의 지식에 대한 주장이 기존의 개념 골조의 구덩이에 밀어넣어지는 것으로, 그/그녀들의 해석하는 능력이 제한을 받아 거기에 따라 스스로의 경험에 대한 이야기를 이해하는 것도 깔고는 그에 대한 의견하는 능력이 저해되는 것」인[5].예를 들면, 「섹슈얼 해러스먼트」혹은 「호모포비아」라고 하는 표현이 일반적으로는 존재하지 않았을 때, 이러한 도덕적으로 잘못된 행위의 피해를 경험한 사람들은, 그러한 부정행위에 반대하는 주장을 행하기 위한 자원이 부족하고 있었다.

철학자 수잔・하크는 페미니스트 인식론의 비판자로서 잘 알려져 있는[6][7].

각주

  1. ^ Anderson, Elizabeth S. (2004), "Feminist epistemology and philosophy of science", in Zalta, Edward N.,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Summer 2004 Edition), http://stanford.library.usyd.edu.au/archives/sum2004/entries/feminism-epistemology/ 
  2. ^ Ian Cook, 'Positionality/Situated Knowledge' for David Sibley et al. (eds)Critical Concepts in Cultural Geography. London, IB: Taurus http://www.gees.bham.ac.uk/downloads/gesdraftpapers/iancook-situatedknowledge.pdf [링크 잘라라]
  3. ^ Miranda Fricker (August 2009). Epistemic Injustice: Power and the Ethics of Knowing. Oxford University Press. p. 1. ISBN 978-0-19-957052-2. http://books.google.com/books? id=gztTPgAACAAJ 2011년 3월 8일 열람.. 
  4. ^ Miranda Fricker (August 2009). Epistemic Injustice: Power and the Ethics of Knowing. Oxford University Press. p. 20. ISBN 978-0-19-957052-2. http://books.google.com/books? id=gztTPgAACAAJ 2011년 3월 8일 열람.. 
  5. ^ Lorraine Code, 2008. Review of Epistemic Injustice.
  6. ^ Haack, Susan (2000) [1998]. Manifesto of a Passionate Moderate: Unfashionable Essay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SBN 978-0-226-31137-1. http://books.google.com/books?id=2ezeTXOlQngC. 
  7. ^ Lynn Hankinson Nelson (1995). "The Very Idea of Feminist Epistemology". Hypatia 10 (3): 31–49. doi:10.1111/j.1527-2001.1995.tb00736.x. http://www.jstor.org/stable/3810236. 

외부 링크

This article is taken from the Japanese Wikipedia 페미니스트 인식론

This article is distributed by cc-by-sa or GFDL license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Wikipedia.

Wikipedia and Tranpedia does not guarantee the accuracy of this document. See our disclaimer for more information.

In addition, Tranpedia is simply not responsible for any show is only by translating the writings of foreign licenses that are compatible with CC-BY-SA license information.

0 개의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