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부 쿠하 101형 전철
![]() | 출전은 열거할 뿐만 아니라, 각주등을 이용해 어느 기술의 정보원인지를 명기해 주세요.기사의 신뢰성 향상에 협력을 부탁드리겠습니다.(2016년 6월) |
토부 쿠하 101형 전철 | |
---|---|
차량 정원 | 115명 (좌석 정원 44명) |
전체 길이 | 17,030 mm |
전체 폭 | 2,740 mm |
전체 높이 | 3,779 mm |
차량 질량 | 25.4t |
궤간 | 1,067 mm |
전기 방식 | 직류 1,500 V (가공 전철선방식) |
대차 | TR11 |
제동 방식 | AMA-RE전자 자동 공기 브레이크 |
보안 장치 | 토부형 ATS |
제조 메이커 | 일본차량제조 도쿄 지점・기차 제조・우츠노미야차량(현・후지 중공업) |
비고 | 데이터는 쿠하 240형( 구쿠하 101형) |
이 표에 대해 |
토부 쿠하 101형 전철(토우부쿠하 101이 찜질하지 않는 사)은, 일찌기 토부 철도에 재적한 전철.목조 객차의 대 범위를 유용해 1941년(쇼와 16년) 및 1943년(쇼와 18년)의 두 번에 걸쳐서 신제 된 것이어, 그 출자로부터 「제1차강체화형」이라고도 칭해진다.
본항으로는 동형차의 사하 101형, 및 본형식 같이 목조 객차의 대 범위 유용으로 전후에 신제 된 사하 80형・쿠하 500형 「제2차강체화형」이라고 한, 목조 객차의 강체화에 의해서 신제 된 각 형식에 대해 말한다.
목차
개요
당초는 증기 철도로서 개업한 토부 철도에 대해서는, 여객 수송 용도에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목조 객차가 재적하고 있었다.그 후, 1924년(타이쇼 13년) 10월에 이세사키선아사쿠사(초대・현재의 도쿄 스카이 트리) -니시아라이간이 전화된 것을 시작으로 차례차례 전화 구간이 증가해, 여객 수송의 주력이 전철에 이행 하면, 이것들 객차는 1928년(쇼와 3년)부터 각종 당겨 안내선을 설치해 부수차(사하)에 개조 후, 전철 편성의 중간에 짜넣어 운용되었다.
최종적으로는 전48량의 객차 개조 사하가 탄생했지만, 이것들은 가장 낡은 것으로는 타이쇼 초기에 락 이룬 고경년의 노련 목조차인 것으로부터[주석 1], 그러한 대 범위를 유용해 본격적인 전철에 개조하는 것이 계획된[주석 2].이렇게 해 탄생한 것이 본형식을 시작으로 하는 강체화 차량군이다.전국의 격화나 종전 직후의 혼란등으로 일시 중단되었던 시기는 있었지만, 1951년(쇼와 26년)까지 전47량이 탄생해, 수송력 증강이나 여객 서비스 향상에 공헌했다.
덧붙여 이것들 일련의 강체화 차량은 일부 차량을 제외하고 개조 명의로 준공하고 있다.
각 형식 상세
쿠하 101형・사하 101형
- 쿠하 101 - 109(쿠하 101 - 103은 2대)
- 사하 101 - 104
전술과 같이, 본형식은 1941년(쇼와 16년) 및 1943년(쇼와 18년)의 두 번에 걸쳐서 신제 되고 있지만, 1941년(쇼와 16년)에 쿠하 101 - 107(쿠하 101 - 103은 2대)・사하 101, 102가, 1943년(쇼와 18년)에는 쿠하 108, 109・사하 103, 104가 각각 일본차량제조 도쿄 지점에서 락 이루었다.종차가 된 차량은 주로 타이쇼 초기에 아마노 공장( 후의 일본차량제조 도쿄 지점)에서 제조된 그룹이며[주석 3], 그것들보다 대 범위 및 대차를 유용해, 대 범위로부터 위를 신제 하고 있는 점은 사하 80형・쿠하 500형 모두 같이이다.
차체 외관은 당시 신제 되고 있던 데하 10계에 유사하지만, 구대 범위를 유용한 관계로 처면은 히로시 아내 형상이 되어, 전체 길이는 17,030 mm와 1,300 mm 정도 짧다.또, 손님용문하부에 스텝을 가지기 위해서 일단 내린 형상이 되고 있는 해당 부분 및 손님용문 끌어 들여 부분을 제외해, 차체 사방에 걸쳐서 대 범위가 차체옷자락부에서 노출하고 있는 점도 다르다.벤틸레이터는 데하 10계 같이, 그릇 형을 탑재해, 지붕상 좌우에 각각 6개, 합계 12개가 이열 배치되어 있다.
쿠하는 아사쿠사 집합에 한쪽 구석식 운전실을 가지는 편운전 대차로, 데하 10계나 쇼와 2년- 4년계 이래의 유파의 의식에 준거해 운전대를 우측으로 설치해, 관통문을 사이에 두어 역측에 화장실을 마련하고 있다.창배치는 d2D8D3(d:승무원문, D:손님용문)이지만, 승무원문은 운전대 부분에게만 설치되어 역측(화장실측)에게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사하도 아사쿠사 집합차단부에 화장실을 가져, 창배치는 3 D8D3로 쿠하의 화장실측과 같다.
차내는 쿠하・사하 모두 비간에 한쪽 편 5다리의 박스 시트를 배치해, 차단부를 롱 시트로 한 세미 크로스시트 사양이다.박스 시트는 데하 10계의 것과 비교하면 키즈리가 얇고, 시트 피치도 1,440 mm와 300 mm이상 좁게 여겨진 것 외, 창나누기와 시트 피치가 일치하고 있지 않는 등, 약간 열등하는 것이었다.실내등은 일반적인 환형글로브를 단 백열등 사양으로 되어 있다.
덧붙여 데하 10계로 채용된 특수 자체에 의한 잘라 문자차번표기는 본형식에도 계승해졌지만, 쿠하 108, 109・사하 103, 104는 당초부터 페인트 쓰기에 의한 일반적인 서체의 차번표기로 변경되었기 때문에, 특수 자체에 의한 「9」표기는 햇빛을 보는 일 없이 환상에 끝나 있는[주석 4].
대차는 종차보다 유용한 축거 6피트(≒1,829 mm)의 짧은 축잡형 대차를 장비했지만, 이것은 전후 머지 않아 성형 균형대들보 현관 마루차TR11에 전차교환되고 있다.
사하 80형
- 사하 80 - 99
쿠하 101형・사하 101형의 신제 후는, 강체화 개조 대상차는 주로 철도원기본형 객차에 준거한 중형 객차를 출자로 하는 차량을 남길 뿐되고 있었지만, 전시중부터 전후에 걸친 혼란기에 있고는 수송력 확보가 제일로 여겨져 강체화 개조는 일단 휴지되고 있었다.그 후, 세태가 침착성을 보이기 시작한 1949년(쇼와 24년)부터 강체화가 재개되어 등장한 것이 본형식이다.제조는 일차도쿄 지점 및 기차 제조로 행해져 1950년(쇼와 25년)까지 20량이 신제 되었다.
현차는 모두 철도성 대형 2 AB차표준의 UF12대 범위를 사용하고 있어[주석 3], 사하 94 - 96에 대해서는 종차로 여겨지는 「메이지 43년형」의 지진 재해 복구 차량이나 나가오카 철도보다 구입한 타이쇼 초기에 제조된 중고잡형 객차가 사용하고 있던 대 범위와는 사양이 합치하지 않지만, 동3량의 제조에 즈음해서는 국철로부터 양수 한 폐차 발생품의 UF12를 이용해 사양의 통일을 도모해, 강체화 개조는 명목상에 지나지 않았던 물건이라고 추측된다.
창배치는 3 D8D3와 사하 101형에 준하고 있지만, 제치수는 동시기에 신제 되어 본형식 같이 대 범위에 UF12를 채용한 운수성 규격형 모하 5300형・쿠하 330형에 지나치게 닮아 있어, 손님용문하부 스텝을 중지해 차체 사방에 걸쳐서 대 범위가 차체옷자락부에서 노출하고 있는 점도 마찬가지에서 만났다.또, 벤틸레이터는 가란드형으로 변경되어 지붕 카미나카앙부에 6개 일렬에 배치되어 있다.
차내는 올 롱 시트 사양으로, 사하 101형 같이 아사쿠사 집합차단부에 화장실을 가진다.
대차는 당초보다 전차TR11를 장비했다.
쿠하 500형
- 쿠하 500 - 523
전후의 강체화 개조에 대해서는, 1950년(쇼와 25년) 중도부터 설계 변경을 해 전후 첫 크로스시트차로서 등장한 것이 본형식이다.제조는 일차도쿄 지점・기차 제조・우츠노미야차량( 후의 후지 중공업)의 3사에서 행해져 1951년(쇼와 26년)까지 24량이 신제 되었다.덧붙여 본형식중 쿠하 500 - 517은 토부의 객차를 출자로 하는 차량을 종차로 하지만, 쿠하 518 - 521은 국철 객차를 종차 해, 쿠하 522, 523에 대해서는 신제 명의로 되어 있다(자세한 것은 차력참조).
본형식도 전술 신제 명의로 탄생한 2량을 포함한 전차가 UF12대 범위를 사용하고 있지만, 사하 80형과 비교해 차체장이 90 mm연장되고 있다.또, 본형식으로부터 차체폭이 2,800 mm에 확폭 된 것 외, 크로스시트를 탑재한 관계로 창배치가 d2D10D3라고 변경되어 거기에 따라 측창폭이 670 mm에 축소되고 있는[주석 5].벤틸레이터는 사하 80형 같이 가란드형을 채용해, 지붕 카미나카앙부에 6개 일렬에 배치되어 있다.
전차와도 아사쿠사 집합에 운전실을 가지는 편운전 대차이지만, 전실식 운전실의 채용 및 당초부터 운전대가 좌측으로 설치된 점은 모두 토부로는 첫 것이어, 이후의 신제 차량에 답습되었다.또, 본형식으로부터 차체옷자락부가 대 범위 하단까지 구제해지게 되어, 대 범위가 밖으로부터 안보이게 되어 스마트한 외관이 되었다.
차내는 비간에 한쪽 편 5다리의 박스 시트를 배치해, 차단부를 롱 시트로 한 세미 크로스시트 사양이다.전술과 같이 측창치수가 변경되고 있기 때문에, 쿠하(사하) 101형과는 달라 창나누기와 시트 피치는 일치하고 있었다.또, 화장실은 연결면차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대차는 당초 사하 80형 같이, 전차TR11를 장비했지만, 1951년(쇼와 26년)에는 전차를 대상으로 대차 교환을 해 이 중 쿠하 500 - 519는 신규 설계의 윙 용수철 현관 마루차[주석 6]에 환장 되고 있다.
도입 후의 변천
태평양전쟁의 격화에 수반해, 쿠하 101형・사하 101형의 크로스시트는 1944년(쇼와 19년)에 철거되어 전차롱 시트 사양에 개조되었다.이 상태로 종전 및 대개번을 맞이하게 되었다.
대개번에 의한 쿠하 101형・사하 101형의 개번
1951년(쇼와 26년)에 시행된 대개번에 즈음해서는 쿠하 101형은 쿠하 240형에, 사하 101형은 사하 70형에 각각 개칭・개번 되었다.덧붙여 개번에 수반해 쿠하 101 - 107・사하 101 - 102의 특징인 특수 자체의 잘라 문자차번표기는 중지해졌다.
-
- 쿠하 101 - 109→쿠하 240 - 248
- 사하 101 - 104→사하 70 - 73
덧붙여 사하 80형 및 쿠하 500형에 대해서는 이미 대개번에 있어서의 기준에 준거한 형식 칭호가 부여되고 있던 것으로부터, 개번의 대상외로 되어 있다.
우등 열차 운용
토오조센에 있어서의 유료 특급 「부정 출발 상경」호운행 개시에 수반해, 당시 토오조센에 배치되고 있던 사하 70형 73 및 사하 80형 99가 1950년(쇼와 25년)에 일차도쿄 지점에서 차내의 정비 개조가 시공되어 모하 5450형 5451・5454와 함께 전용 차량으로서 운용되었다.그 후, 동렬차의 정기 열차화에 수반해 원특급용 차량인 모하 5310형・쿠하 350형이 전용되었기 때문에, 사하 73 및 사하 99는 다시 일반차에 격하되고 있다.
그 외, 사하 80형 86 - 88은 닛코선 급행(현재의 쾌속에 상당) 운용에 충당하기 위해(때문에), 1953년(쇼와 28년)부터 1955년(쇼와 30년)에 걸쳐 하반신 라이트 블루, 상반분 크림의 투톤 컬러로 도장 변경된 다음 모하 5320형・쿠하 340형과 편성된 경력을 가진다.
또, 쿠하 500형 505 - 507도 이와 같이 닛코선 급행 운용에 충당하기 위해(때문에), 1959년(쇼와 34년)에 천정의 강판화 및 실내등의 형광등화를 시공해, 하반신 라이트 블루, 상반분 크림의 투톤 컬러로 도장 변경된 다음 부수차(사하) 대용[주석 7]으로서 모하 5320형・쿠하 340형의 편성에 짜넣어져 운용된 경력을 가진다.이것들은 후년 편성을 풀렸을 때, 선두차(쿠하)로서 복귀하고 있다.
쿠하 500형의 53계 편입
쿠하 550형(초대)을 전장 해 탄생한 모하 5320형 및 모하 5800형(53계)과 편성하는 제어차(쿠하)로서 거의 동일한 외관을 가지는 쿠하 500형이 선택되어[주석 8], 1951년(쇼와 26년)에 쿠하 518 - 523이 주간 제어기를 교환해, 쿠하 340형 340 - 345로 개칭・개번 되고 있다.
게다가 1962년(쇼와 37년)부터 1966년(쇼와 41년)에 걸치고, 구형차의 가전화 개조에 의한 전동차의 부족을 보충하는 목적으로, 쿠하 510 - 512・514의 전동차화, 및 편성 상대가 되는 쿠하 505 - 509・513의 주간 제어기 교환을 했다.전장품에 대해서는 모하 5310형 및 모하 5320형과 공통으로 여겨져 제어기는 CS5 혹은 토요 전기제조제 ES-567, 주전동기는 같이 토요 전기제조제 TDK-528/9-HM[주석 9]를 탑재해, 팬터그래프는 연결면가까이에 1기탑재되고 있다.덧붙여 이에 앞서 전동차화 대상이 된 쿠하 510 - 512・514로 쿠하 450형 450 - 452 및 모하 3260형 3264와의 사이에 대차 교환을 한[주석 10].
또, 이것들 10량 가운데, 데하 10계를 출자로 하는 모하 5310형 5315・5316으로 편성된 쿠하 506・507(→쿠하346 ・347)을 제외하는 8량은 모두 차내의 롱 시트화가 시공되어 전동차화 된 차량에 대해서는 화장실의 철거도 동시에 시공되고 있다.
전동차화 된 차량은 모하 5310형 혹은 모하 5320형에, 주간 제어기의 교환을 한 차량에 대해서는 쿠하 340형 혹은 쿠하 350형에 각각 편입되었다.덧붙여 이와 같이 모하・쿠하 모두 2 형식으로 나누어진 것은, 모두 차번이 동일 접수대내에 들어가 자르지 않았기 때문에의 조치이며, 사양 그 외에 대해서는 아무런 변화는 없다.
이것들 개조의 결과, 최종적으로 쿠하 500형으로서 잔존한 것은 쿠하 500 - 504・515 - 517의 8량만되었다.
덧붙여 이것들외 형식에 편입된 쿠하 500형의 변천에 대해서는 토부 모하 5320형 전철 항목이 참조되고 싶다.
사하의 선두차(쿠하) 화 개조
후년 모하・쿠하를 1단위로 한 고정 편성화의 진척에 수반해, 운전대를 가지지 않는 부수차(사하)인 사하 70형・사하 80형 양형식은 취급하기 어려운 존재가 되고 있었다.그 때문에 1954년(쇼와 29년)부터, 양형식에 대해서 운전 다이신설공사가 시공되었다.
사하 70형→쿠하540 형
1958년(쇼와 33년)에 사하 70 - 72의 차단부 화장실을 철거하고, 그 자취에 운전실 및 승무원문을 신설해 선두차화해 쿠하 540형 541 - 543으로 개칭・개번 되었다.신설된 운전실은 전실식에서 좌측으로 설치되어 있어 쿠하 500형의 사양을 답습하고 있다.
늦어 사하 73도 1961년(쇼와 36년)에 선두차화 개조가 시공되었지만, 이쪽은 화장실과 역측의 차단부에 운전실 및 승무원문을 신설해, 쿠하 544로 개칭・개번 되어 준공하고 있다.이것은 쿠하 541 - 543이 토오조센 소속인 것에 대해, 쿠하 544는 본선소속이며, 장거리 운용을 고려해 화장실을 존치 시켰기 때문에의 조치였다.
덧붙여 운전 다이신설 후의 사하 70형(쿠하 540형)은 외관상 쿠하 240형과 지나치게 닮지만, 신설된 운전대측의 처면 옷자락부가 일단 내린 형상으로 여겨진 것외, 당초보다 전실운전실사양으로 준공한 것으로, 전면 향해 좌측 측면의 승무원문이 쿠하 240형보다 약간차단부에 전해지고 있는 점이 조금 차이가 났다.
사하 80형→쿠하550 형(2대)
1954년(쇼와 29년)에 사하 80이 쿠하 550형 550(형식 및 차번은 2대)에 개조・개번 된 것을 시작으로 차례차례 개조를 해 1958년(쇼와 33년) 2월의 쿠하 567( 구사하 92)을 마지막으로 전차선두차화 되었다.개조 내용은 전술 쿠하 544(사하 73)로 같이, 화장실과는 역측의 차단부에 운전실 및 승무원문을 신설하는 것이었지만, 마지막에 준공한 쿠하 567 - 569만 차단부 화장실을 철거하고, 그 자취에 운전실 및 승무원문을 신설해 선두차화 되고 있다.
전술 쿠하 567 - 569 및 쿠하 558 - 562・566은 토오조센 소속 차량이었기 때문에, 선두차화와 동시에 화장실이 철거되었지만, 쿠하 550 - 557(쿠하 550 - 555는 2대)・563 - 565는 본선소속 차량인 것으로부터 화장실은 존치 되었다.쿠하 558 - 562・566은 구화장실 부분의 측창이 645 mm폭인 채로 되어 있는 점이 특징이었다.
덧붙여 개조는 쿠하 550 - 562에 대해서는 날차도쿄 지점에서 시공되었지만, 쿠하 563 - 566은 일본 덴소에서, 쿠하 567 - 569는 후지 중공업에서 각각 시공되고 있다.
쿠하 240형의 개조
전시중에 좌석의 롱 시트화 개조가 시공된 이외는 비교적 원형을 유지한 채로 운용되고 있었지만, 토오조센 소속의 쿠하 240 - 246에 대해서는 전후 차례차례 화장실을 철거하는 개조가 시공되었다.게다가 1960년(쇼와 35년)부터는 화장실의 철거자취에 승무원문을 신설해, 아울러 운전실의 전실화 및 운전대의 좌측에의 이전을 하고 있다.
이것들 개조는 본선소속의 쿠하 247에도 시공되었지만, 같은 본선에 소속하는 쿠하 248에 대해서는, 화장실을 존치 한 다음 원의 운전대 및 승무원문을 완전하게 철거해, 반대측의 차단부에 새롭게 전실식 운전실 및 승무원문을 신설하는 형태로 운전실의 전실화를 했다.
쿠하 550형의 체질개선 공사
모하 5200형과 편성되고 있던 쿠하 560 - 562에 대해서, 1966년(쇼와 41년)에 실내등의 형광등화나 방송 장치・선풍기의 신설이라고 하는 아코모 개선 공사가 시공되었다.이것은 32계의 3000계에의 갱신이나 54계의 차내 설비 개선이 진행되는 가운데, 진부한 설비인 채 남겨진 형태가 되고 있던 후, 갱신 시기에게는 아직 사이가 있던 동형식과 편성 상대인 쿠하 560 - 562에 대해서 체질개선을 베푼 것이었다.동시에 모하 5200형 다 같이 아프고 있던 외판의 장 바꾸어를 해 차체옷자락까지 외판이 내려져 대 범위가 안보이게 되었다.
그 외 개조
후년의 편성장 타이카에 수반해 제동 응답 속도의 개선을 도모하기 위해, 제동 장치에 중계변 및 전자 급배변의 추가(ARE 전자 자동 브레이크화)나, 보안 장치(토부형 ATS)의 설치가 전차를 대상으로 시공되고 있다.또, 건널목 사고 대책으로서 전면 요부를 6 mm후의 강판으로 보강하는 공사도 평행 해 시공되었다.
또, 차체 도장은 전술 우등 열차 도장으로 변경되고 있던 차량을 포함해 최종적으로는 전차가 일반차의 표준 도장인 로열 베이지와 인터내셔널 오렌지의 투톤 컬러로 통일되었다.
덧붙여 이것들강체화 차량 각 형식은, 후술 갱신 시기의 관계로, 전술 53계(모하 5310형・5320형・쿠하 340형・350형)에 편입된 쿠하 500형을 제외해, 전조등의 쉴드 빔 2등화가 시공된 차량은 존재하지 않는다.
만년
32계 및 54계의 제어차로서 넓게 운용된 강체화 차량 각 형식이었지만, 신형차의 증구체적으로 수반해 차례차례 노다선 및 타테바야시 지구의 로컬선구에 전속 해 운용되었다.
그 후, 32계 각 형식의 3000계에의 갱신이 개시되면, 건널목 사고로 재해 대파해 휴차상태인 쿠하 550형 558이, 32계 갱신 제일호로서 갱신 대상이 되었다.이후, 편성 상대가 되는 전동차 각 형식과 동시에 갱신이 진행되어 54계의 3050계에의 갱신 진척에 의해서, 쿠하 240형은 1971년(쇼와 46년)에, 쿠하 540형은 1972년(쇼와 47년)에, 쿠하 500형・550형은 1973년(쇼와 48년)에 각각 갱신이 완료했다.더욱 53계에 편입된 각 형식도 1975년(쇼와 50년)까지 전차 5000계(초대・ 후의 3070계)에 갱신되어 일련의 강체화 차량 각 형식은 모두 형식 소멸했다.
차력
제1차강체화형
형식 | 차번 | 종차 | 준공 년월 | 제조 메이커 | 대개번 | 선두차화 | 갱신 | 갱신 년월 | 비고 |
쿠하 101형 사하 101형 | 쿠하 101(2대) | 사하 35 | 1941년 5월 | 일차도쿄 | 쿠하 240 | 사하 3216 | 1969년 3월 | 갱신 당초의차번은 사하 3661 | |
쿠하 102(2대) | 사하 36 | 1941년 5월 | 일차도쿄 | 쿠하 241 | 사하 3225 | 1969년 8월 | 갱신 당초의차번은 사하 3662 | ||
쿠하 103(2대) | 사하 37 | 1941년 5월 | 일차도쿄 | 쿠하 242 | 사하 3224 | 1969년 4월 | 갱신 당초의차번은 사하 3663 | ||
쿠하 104 | 사하 40 | 1941년 5월 | 일차도쿄 | 쿠하 243 | 쿠하 3424 | 1968년 4월 | 갱신 당초의차번은 쿠하 3664 | ||
쿠하 105 | 사하 43 | 1941년 5월 | 일차도쿄 | 쿠하 244 | 사하 3217 | 1969년 3월 | 갱신 당초의차번은 사하 3665 | ||
쿠하 106 | 사하 44 | 1941년 5월 | 일차도쿄 | 쿠하 245 | 사하 3221 | 1969년 3월 | 갱신 당초의차번은 사하 3666 | ||
쿠하 107 | 사하 45 | 1941년 5월 | 일차도쿄 | 쿠하 246 | 쿠하 3427 | 1969년 2월 | 갱신 당초의차번은 쿠하 3667 | ||
쿠하 108 | 트크 500 | 1943년 | 일차도쿄 | 쿠하 247 | 쿠하 3457 | 1971년 7월 | |||
쿠하 109 | 사하 20 | 1943년 | 일차도쿄 | 쿠하 248 | 사하 3201 | 1969년 2월 | 갱신 당초의차번은 사하 3669 | ||
사하 101 | 사하 38 | 1941년 5월 | 일차도쿄 | 사하 70 | 쿠하 541 | 사하 3230 | 1969년 8월 | 갱신 당초의차번은 사하 3668 | |
사하 102 | 사하 39 | 1941년 5월 | 일차도쿄 | 사하 71 | 쿠하 542 | 사하 3230 | 1969년 8월 | 갱신 당초의차번은 사하 3633 | |
사하 103 | 사하 41(초대) | 1943년 | 일차도쿄 | 사하 72 | 쿠하 543 | 사하 3211 | 1970년 10월 | 갱신 당초의차번은 사하 3647 | |
사하 104 | 사하 42(초대) | 1943년 | 일차도쿄 | 사하 73 | 쿠하 544 | 쿠하 3657 | 1972년 7월 |
제2차강체화형
형식 | 차번 | 종차 | 준공 년월 | 제조 메이커 | 선두차화 | 53계 편입 | 갱신 | 갱신 년월 | 비고 |
사하 80형 | 사하 80 | 사하 21 | 1949년 10월 | 일차도쿄 | 쿠하 550(2대) | 쿠하 3654 | 1972년 4월 | ||
사하 81 | 사하 22 | 1949년 10월 | 일차도쿄 | 쿠하 551(2대) | 쿠하 3656 | 1972년 6월 | |||
사하 82 | 사하 23 | 1949년 10월 | 일차도쿄 | 쿠하 552(2대) | 사하 3259 | 1973년 6월 | |||
사하 83 | 사하 24 | 1949년 10월 | 기차 제조 | 쿠하 553(2대) | 쿠하 3658 | 1972년 8월 | |||
사하 84 | 사하 25 | 1949년 10월 | 기차 제조 | 쿠하 554(2대) | 사하 3257 | 1973년 4월 | |||
사하 85 | 사하 26 | 1949년 10월 | 기차 제조 | 쿠하 555(2대) | 사하 3255 | 1973년 2월 | |||
사하 86 | 사하 28 | 1949년 10월 | 기차 제조 | 쿠하 563 | 쿠하 3455 | 1971년 6월 | |||
사하 87 | 사하 30 | 1949년 10월 | 기차 제조 | 쿠하 564 | 사하 3219 | 1970년 1월 | 갱신 당초의차번은 사하 3635 | ||
사하 88 | 사하 31 | 1950년 | 일차도쿄 | 쿠하 565 | 사하 3204 | 1970년 6월 | 갱신 당초의차번은 사하 3672 | ||
사하 89 | 사하 32 | 1950년 | 일차도쿄 | 쿠하 556 | 사하 3253 | 1972년 11월 | |||
사하 90 | 사하 33 | 1950년 | 일차도쿄 | 쿠하 569 | 사하 3206 | 1970년 2월 | 갱신 당초의차번은 사하 3638 | ||
사하 91 | 사하 34 | 1950년 | 일차도쿄 | 쿠하 568 | 사하 3203 | 1970년 3월 | 갱신 당초의차번은 사하 3637 | ||
사하 92 | 사하 41(2대) | 1950년 | 일차도쿄 | 쿠하 567 | 사하 3228 | 1969년 11월 | 갱신 당초의차번은 사하 3636 | ||
사하 93 | 사하 42(2대) | 1950년 | 일차도쿄 | 쿠하 566 | 사하 3215 | 1970년 6월 | 갱신 당초의차번은 사하 3681 | ||
사하 94 | 사하 51 | 1950년 | 일차도쿄 | 쿠하 562 | 쿠하 3660 | 1973년 9월 | |||
사하 95 | 사하 52 | 1950년 | 기차 제조 | 쿠하 561 | 사하 3260 | 1973년 8월 | |||
사하 96 | 사하 61 | 1950년 | 기차 제조 | 쿠하 560 | 쿠하 3460 | 1971년 12월 | |||
사하 97 | 사하 63 | 1950년 | 기차 제조 | 쿠하 559 | 사하 3218 | 1969년 11월 | 갱신 당초의차번은 사하 3634 | ||
사하 98 | 사하 206 | 1950년 | 기차 제조 | 쿠하 558 | 쿠하 3401 | 1965년 1월 | 갱신 당초의차번은 쿠하 3670 | ||
사하 99 | 사하 1301 | 1950년 | 기차 제조 | 쿠하 557 | 사하 3202 | 1970년 12월 | 갱신 당초의차번은 사하 3648 | ||
쿠하 500형 | 쿠하 500 | 사하 1 | 1950년 6월 | 기차 제조 | 쿠하 3655 | 1972년 5월 | |||
쿠하 501 | 사하 2 | 1950년 6월 | 기차 제조 | 사하 3256 | 1973년 3월 | ||||
쿠하 502 | 사하 3 | 1950년 6월 | 기차 제조 | 사하 3254 | 1973년 1월 | ||||
쿠하 503 | 사하 4 | 1950년 6월 | 기차 제조 | 쿠하 3659 | 1972년 9월 | ||||
쿠하 504 | 사하 5 | 1950년 6월 | 기차 제조 | 사하 3252 | 1972년 11월 | ||||
쿠하 505 | 사하 6 | 1950년 5월 | 기차 제조 | 쿠하 348 | 사하 5202 | 1974년 11월 | |||
쿠하 506 | 사하 7 | 1950년 5월 | 기차 제조 | 쿠하 346 | 쿠하 5401 | 1974년 6월 | |||
쿠하 507 | 사하 8 | 1950년 7월 | 우츠노미야 | 쿠하 347 | 쿠하 5604 | 1974년 4월 | |||
쿠하 508 | 사하 9 | 1950년 7월 | 우츠노미야 | 쿠하 355 | 사하 5203 | 1974년 9월 | |||
쿠하 509 | 사하 11 | 1950년 7월 | 우츠노미야 | 쿠하 356 | 쿠하 5403 | 1974년 8월 | |||
쿠하 510 | 사하 12 | 1950년 5월 | 일차도쿄 | 모하 5317 | 모하 5301 | 1974년 10월 | |||
쿠하 511 | 사하 13 | 1950년 5월 | 일차도쿄 | 모하 5318 | 모하 5302 | 1974년 11월 | |||
쿠하 512 | 사하 14 | 1950년 5월 | 일차도쿄 | 모하 5319 | 모하 5103 | 1974년 8월 | |||
쿠하 513 | 사하 15 | 1950년 5월 | 일차도쿄 | 쿠하 349 | 사하 5201 | 1974년 10월 | |||
쿠하 514 | 사하 16 | 1950년 5월 | 일차도쿄 | 모하 5324(2대) | 모하 5303 | 1974년 9월 | |||
쿠하 515 | 사하 17 | 1950년 5월 | 일차도쿄 | 쿠하 3651 | 1972년 1월 | ||||
쿠하 516 | 사하 18 | 1950년 5월 | 일차도쿄 | 쿠하 3653 | 1972년 3월 | ||||
쿠하 517 | 사하 19 | 1950년 5월 | 일차도쿄 | 쿠하 3652 | 1972년 2월 | ||||
쿠하 518 | 나로하 21729 | 1950년 7월 | 일차도쿄 | 쿠하 344 | 사하 5206 | 1975년 3월 | |||
쿠하 519 | 나하 22011 | 1950년 7월 | 일차도쿄 | 쿠하 345 | 쿠하 5406 | 1975년 2월 | |||
쿠하 520 | 나하 12523 | 1950년 7월 | 일차도쿄 | 쿠하 342 | 쿠하 5603 | 1974년 3월 | |||
쿠하 521 | 나하 12635 | 1950년 7월 | 일차도쿄 | 쿠하 343 | 쿠하 5402 | 1974년 7월 | |||
쿠하 522 | (신제 명의) | 1951년 3월 | 기차 제조 | 쿠하 340 | 쿠하 5602 | 1974년 2월 | |||
쿠하 523 | (신제 명의) | 1951년 3월 | 기차 제조 | 쿠하 341 | 쿠하 5601 | 1974년 1월 |
갱신 후 5000 접수대(5000계・초대)를 칭한 차량은, 1979년(쇼와 54년) 4월 1 일자로 3070 접수대(3070계)에 일제개번.
각주
주석
- ^토부에 재적한 최고의 객차는 1910년(메이지 43년) 제였지만, 이것들 통칭 「메이지 43년형」의 객차에 대해서는, 관동 대지진에서 재해 소실해, 차체 신제에 의해서 복구된 2량 이외는 전철화 개조의 대상외가 되고 있었다.
- ^다만, 이것들 48량은 그 후 전재나 사고에 의해서 폐차가 된 것도 존재하기 위해(때문에), 객차 개조 사하가 전차강체화의 대상이 된 것은 아니다.
- ^ a b쿠하 108은 트크 500형을 종차로 하지만, 당연한 일이면서 이것은 명의상의 것에 지나지 않는다.또, 쿠하 101, 102, 109는 모두 1920년(타이쇼 9년) 이후에 신제 된 「타이쇼 후기형」을 종차와 하기 위한(해), 동3량만 UF12대 범위를 사용했다.또한 「타이쇼 후기형」은, 최대폭은 지방철도 건설 규정에 따라서 철도원기본형 객차 상당한 8피트 10 1/2인치(≒2,705 mm)로서 설계되고 있었지만, 대 범위에 대해서는 동시기 제조의 철도성 대형 2 AB차에 준해 기본형 객차 표준의 UF11가 아니고, 보다 새로운 UF12를 채용하고 있었다.
- ^데하 10계 각 형식에 대해도, 1 형식 근처의 최대 양수는 8량이었기 때문이다.
- ^쿠하(사하) 101형 및 사하 80형은 800 mm.
- ^일본차량제조 W-2-18 D, 스미토모 금속공업 FS7, 기차 제조 KS-103의 3종류가 존재한다.모두 축거나 축 상자 지지 기구의 방식은 동일했지만 , 그 설계는 완전히 달라, 형강을 용접해 조립한 직선적이고 명쾌한 외관의 W-2-18 D, 독자 설계의 심플한 도대체 주조한 철강제 대차범위를 갖추는 FS7, 그리고 국철 TR47 그 자체라고 말해도 좋은 KS-103, 이라고 각각 특징적인 외관을 갖춘다.덧붙여 이것들은 모두 베개 용수철로서 복렬의 겹침 판 스프링을 탑재하고 있지만, 그 매수나 렬수는 각각 차이가 났다.
- ^주간 제어기의 상위로부터, 선두차로서의 운용은 불가능했었기 때문에이다.
- ^쿠하 550형(초대)은 쿠하 500형을 설계의 기본으로서 전체 길이를 1,600 mm연장한 것이어, 측창의 매수가 다른 것 이외는 외관상 완전히 동일했다.
- ^단자전압 750 V시 정격 출력 112.5 kW, 정격 회전수 1,188 rpm(전계 자석)
- ^쿠하 500형의 윙 용수철 현관 마루차가 구조상 매달아 하는 도중식의 주전동기를 탑재하는 것이 불가능했었기 때문에이다.덧붙여 모하 3264는 3000계에의 갱신에 임하여 예비품의 대차와 대체해 염출 한 대차를 쿠하 512에 전용하는 형태로 대차 교환이 실시되고 있다.
출전
참고 문헌
- 케이오 기쥬쿠 대학 철도 연구회 「사철 전철 가이드 북 1 토부・토큐・영단」세이분도 요시미츠사
- 탁자 시작해 「사철의 차량 24 토부 철도」고양이・퍼블리싱 ISBN 4-87366-307-5
- 「철도 픽토리얼」철도 도서 간행회
- 토부 철도 특집 각 호
This article is taken from the Japanese Wikipedia 토부 쿠하 101형 전철
This article is distributed by cc-by-sa or GFDL license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Wikipedia.
In addition, Tranpedia is simply not responsible for any show is only by translating the writings of foreign licenses that are compatible with CC-BY-SA license information.
0 개의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