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마스・호르스피르드
토마스・호르스피르드(Thomas Horsfield M. D., 1773년 5월 12일 – 1859년 7월 24일)은 아메리카 합중국의 의사, 박물학자이다.인도네시아에서 일해, 많은 식물, 동물에 대해서, 기재했다.후에, 런던의 동인도회사 박물관의 학예원이 된[1][2].
목차
약력
펜실베이니아주의 베들레햄에서 태어난[3].할아버지의 Timothy Horsfield, Sr. (1708- 1773)(은)는 리버풀 출생으로 1725년에 뉴욕에 이민으로서 건너 온 인물로 정육점을 경영한 후, 펜실베이니아에 이주해, 치안 판사를 맡아 선주민으로부터 개척민을 지키는 군의 장교를 맡은 인물이다.모라비아 교회의 학교에서 배운 후, 펜실베이니아 대학에 입학해, 오토 교수(John Frederick Otto?)의 아래에서 약학을 배워, 유독 담쟁이덩굴의 연구를 해 졸업한[1].
1790년에 중국에 항해하는 상선의 선의가 되어 쟈와 등 기 항해해, 약용 식물에 강한 흥미를 안았다.1801년, 바타비아의 네델란드 식민지군의 군의관이 되어 인도네시아의 식물, 동물에 흥미를 가져, 나폴레옹 전쟁의 결과, 네델란드령 동인도가에 1911년에, 영국의 동인도회사의 쟈와 부지사, 토마스・랏후르즈의 통치를 받게 되면, 친구가 된 랏후르즈의 의뢰로 동식물의 채집을 실시하게 되었다.1816년에 네델란드의 지배가 회복하면, 수마트라로 옮겨, 1819년에 건강을 해치고, 런던으로 돌아온[1].
런던에서도 랏후르즈와 교류해, 런던의 동인도회사 박물관의 학예원에게 임명되어 동양학자의 위르킨스(Charles Wilkins) 아래에서 일했다.동인도회사 박물관에서 잠길 때까지 일해, 지질학, 식물학, 동물학, 곤충학의 분야에서 일했다.1820년에 런던・린네 협회의 펠로우로 선택되어 후에 부회장을 맡았다.1826년에 창립된 런던 동물학회의 사무장보를 맡아 1828년에는 왕립 협회의 회원으로 선택되었다.1833년에 창립된 왕립 런던 곤충 학회의 창립자의 한 사람으로 있다. [4].
저작
- An experimental dissertation on the Rhus vernix, Rhus radicans and Rhus glabrum, commonly known in Pennsylvania by the names of poison-ash, poison-vine and common sumach. Cist, Philadelphia 1798.
- Impressions of dried plants from Java. 1812.
- Systematic arrangement and description of birds from the island of Java. 1820.
- The History and antiquities of Lewes and its vicinity. Baxter, Lewes 1824.
- Zoological Researches in Java and the Neighbouring Islands. Kingsbury, Parbury & Allen, London 1821□1824.
- A descriptive catalogue of the lepidopterous insects contained in the Museum of the Honourable East India Company. Parbury & Allen, London 1828/29.
- The history, antiquities and topography of the county of Sussex. Baxter, Lewes 1835.
- Plantae javanicae rariores, descriptae iconibusque illustratae, quas in insula Java, annis 1802□1818. Allen, London 1838-52.
- Essay on the cultivation and manufacture of tea in Java. Cox & sons, London 1841.
- A catalogue of the lepidopterous insects in the Museum of the Hon. East-India Company. Allen, London 1857-59.
학명에 호르스피르드의 이름이 붙여진 생물의 일부
- 요트유비리크가메(Agrionemys horsfieldii)
- ISO 제주직박구리(Myophonus horsfieldii)
- 인드르리쵸우(Myophonus horsfieldii)
참고 문헌
- ^ a b c Mcnair, JB (1942). "Thomas Horsfield—American Naturalist and Explorer". Torreya 42 (1): 1–9 .
- ^ John Bastin, D. T. Moore (1982). "The geological researches of Dr Thomas Horsfield in Indonesia, 1801-1819". Bulletin of the British Museum of Natural History (Historical series) 10 (3): 75–115 .
- ^ Horsfield, Thomas (1773-1859), physician and naturalist by D. T. Moore in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online (accessed 21 July 2008)
- ^"Thomas Horsfield (1773 - 1859)". Royal Netherlands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15년 7월 19일 열람.
This article is taken from the Japanese Wikipedia 토마스・호르스피르드
This article is distributed by cc-by-sa or GFDL license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Wikipedia.
In addition, Tranpedia is simply not responsible for any show is only by translating the writings of foreign licenses that are compatible with CC-BY-SA license information.
0 개의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