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1월 18일 수요일

안토와느・알노-

안토와느・알노-

안토와느・알노-

안토와느・알노-(Antoine Arnauld, 1612년 2월 6일- 1694년 8월 8일)는, 프랑스신학자, 철학자, 수학자, 논리학자, 언어학자.잘세니즘의 중심적 인물.동명의 아버지와 구별하기 위해(때문에), 「대알노-」(이)라고 불린다.루이 14세외무 대신을 맡은 시몬・알노-・드・폰폰누는 조카에 해당된다.

목차

생애

파리로 태어나 소르본누 대학에서 신학을 배워, 잘세니즘에 심취한다.소르본누 시대에 집필한 예수회 비판의 대표적 저술에 「예수회사들의 윤리 신학」이 있다.잘세니슴 탄압의 움직임 속에서 1656년에 소르본누를 쫓겨 이후 폴・로와이얄 수도원에서 저항 운동을 조직 한다.수도사의 교육을 위해서 「폴・로와이얄 문법」(1660년, 란스로와의 공저), 「폴・로와이얄 논리학」(1662년, 니콜과의 공저)을 저술 했다.1677년에 예수회나 신교도와의 논쟁을 재개했지만, 1679년의 비호자의 죽음을 계기로 스페인령 네 델 랜트에 망명해, 브뤼셀에서 객사 했다.

실적

동시대의 철학자와의 논쟁

알노-는 자기의 사상을 직접 표명한 저작은 거의 남기지 않았지만, 그 논쟁서는 방대한 양이 되어, 논쟁 상대의 사상의 명확화에 공헌한 의의도 크다.

데카르트의 「성찰」을 읽어 반론을 집필해( 제4 논박), 데카르트 자신에게도 높게 평가되었다.그는 가장 빠르게 데카르트 철학을 받아 들인 학자의 한 사람으로 있어, 대표적인 데카르트 주의자로 여겨진다.

그 생애에 걸치는 논쟁중에서도, 마르브란슈와의 논쟁(주로 신학과 형이상학의 관계를 둘러싼다)은 특히 유명하다(1683-85해).또 철학사상에 있어 중요한 것은, 라이프닛트와의 편지 왕래이다.그는, 후자의 형이상학의 진가를 가장 빨리 인정한 학자의 혼자라도 있다.

종교적 활동

잘세니슴의 이론적 지도자로서 예수회카르바파와의 논쟁을 실시했다.

저술 활동

피에르・니콜과의 공저로서 나온 La logique, ou l'art de penser(1662년)는, 「폴・로와이얄 논리학」으로서 유명하고, 20 세기에 이르기까지 기초적인 교과서로서 읽어 이어졌다.

1660년에, 문법가인 크러드・란스로(Claude Lancelot, 1616년-1695년)와의 공저로서 파리의 피에르・르・쁘띠사로부터 출판된 「일반・이성 문법:부화술의 제기초 Grammaire generale etraisonnee, les fondements de l'Art de Parler」는 일반적으로는 「폴・로와이얄 문법」으로서 유명하다.

참고 문헌

외부 링크

The links are to the Gallica version.

  • De la frequente communion ouLes sentimens des peres, des papes et des Conciles, touchant l'usage des sacremens de penitence et d'Eucharistie, sont fidelement exposez. Paris : A. Vitre, 1643. Full text in original French : [1]
  • Grammaire generale et raisonnee : contenant les fondemens de l'art de parler, expliques d'une maniere claire et naturelle. Paris : Prault fils l'aine, 1754. Full text in original French : [2]
  • La logique ou L'art de penser : contenant outre les regles communes, plusieurs observations nouvelles, propresaformer le jugement. Paris : G. Desprez, 1683. Full text in original French : [3]

This article is taken from the Japanese Wikipedia 안토와느・알노-

This article is distributed by cc-by-sa or GFDL license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Wikipedia.

Wikipedia and Tranpedia does not guarantee the accuracy of this document. See our disclaimer for more information.

In addition, Tranpedia is simply not responsible for any show is only by translating the writings of foreign licenses that are compatible with CC-BY-SA license information.

0 개의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