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11월 9일 수요일

막스・베어(복서)

막스・베어(복서)

막스・베어
기본 정보
본명 Maximillian Adelbert Baer
통칭 Livermore Larupper[1]
Madcap Maxie
계급 헤비급
신장 189cm[1]
리치 206cm
국적 아메리카 합중국의 기 아메리카 합중국
생일 1909년2월 11일
출신지 네브래스카주 오마하
사망일 1959년 11월 21일(만 50세몰)
사망지 캘리포니아주 할리우드
스타일 정통
프로 복싱 전적
총시합수 79
승리 66
KO승리 51
패케 13
템플릿을 표시

막스・베어(Max Baer, 남성, 1909년 2월 11일- 1959년 11월 21일)는, 아메리카 합중국프로 복서, 배우.네브래스카주오마하출신.원세계 헤비급 왕자.

남동생에게 죠・루이스에 2도에 걸쳐 도전한 바디・베어, 아들에게 막스・베어・주니어가 있다.

목차

와 력

1929년 5월 16일, 프로 데뷔.

1930년 8월 25일, 프랑키・캠벨과 대전해, 5회 TKO 승리.베어의 펀치가 원인으로 캠벨은 다음 26일에 사망했다.

1932년 8월 31일, 어니・샤후와 대전해, 10회 판정승.샤후는 1933년 2월 10일의 프리모・카르네라와의 시합으로 KO 져 해, 2월 14일에 사망했지만, 당시의 스포츠 기자중에는, 베어와의 시합으로의 데미지를 원인으로 드는 것도 있던[2].

1933년 6월 8일, 원세계 헤비급 왕자 막스・슈메링과 대전해, 10회 TKO 승리.이 시합은 1933년의 링 매거진 파이트・오브・더・이어에 선출되었다.

1934년 6월 14일, 세계 헤비급 타이틀 매치에서 왕자 프리모・카르네라에 도전.11도의 다운을 빼앗은 다음의 11회 TKO 승리로 왕좌를 획득한[1].

1935년 6월 13일, 세계 헤비급 타이틀 매치에서 제임스・J・브라 도크와 대전.압도적 유리하다고 보여지고 있었지만, 15 R판정 패배를 마셔 왕좌로부터 함락 했다.이 시합은 1935년의 링 매거진 업 세트・오브・더・이어에 선출되어 2005년에는 브라 도크를 주역으로 한 영화 「신데렐라 맨」으로서 실사화 되었다.

1935년 9월 24일, 재기전에서 죠・루이스와 대전해, 4회 KO패배.이 시합은 1935년의 링 매거진 파이트・오브・더・이어에 선출되었다(2번째).

1938년 3월 11일, 토미・퍼와 대전해, 15회 판정승.이 시합은 1938년의 링 매거진 업 세트・오브・더・이어에 선출되었다.

1941년 4월 4일의 시합을 마지막으로 복싱으로부터 은퇴.

복서 은퇴 후는 배우로서 활동했다.

획득 타이틀

  • 뉴욕주 애슬래틱 커미션 인정 세계 헤비급 왕좌
  • NBA 인정 세계 헤비급 왕좌

각주

  1. ^ a b c 「복싱 헤비급 최강 전설」야구・매거진사, 2009년 5월 29일, 111페이지
  2. ^ John Kieran (1940년 3월 1일). "Sports of the times: Men are not horses". The New York Times. "As was learned later, Ernie went into the ring with a blood clot in his brain. This probably was the result of an earlier bout with Max Baer." 

관련 항목

외부 링크

전 왕자
프리모・카르네라
제15대 세계 헤비급 왕자

1934년 6월 14일- 1935년 6월 13일


다음 왕자
제임스・J・브라 도크

This article is taken from the Japanese Wikipedia 막스・베어(복서)

This article is distributed by cc-by-sa or GFDL license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Wikipedia.

Wikipedia and Tranpedia does not guarantee the accuracy of this document. See our disclaimer for more information.

In addition, Tranpedia is simply not responsible for any show is only by translating the writings of foreign licenses that are compatible with CC-BY-SA license information.

0 개의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