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파시아
아스파시아(희랍어:□σπασ□α영어: Aspasia [ae□spe□□i□, -zi□, -□□, -□□][1][2];기원 전 470년[3][4] – 기원 전 400년)[3][5]는 아테네에서 영향력을 가지고 있던 이오 니어인 여성으로, 고대 그리스의 정치가 페리클레스의 애첩이다.두 명의 사이에는 소페리클레스라고 하는 아들이 있었지만, 두 명이 정식으로 혼인 관계를 묶고 있었는가는 불명하다.프르타르코스에 의하면, 아스파시아의 집은 아테네의 지의 집결지화해, 철학자 소크라테스를 시작으로 하는 다수의 저명한 작가・사상가가 방문해 소크라테스도 아스파시아의 가르침에 영향을 받고 있었다고 생각할 수 있다.철학자 Platon이나 아리스트파네스, 쿠세노폰 등 동시대의 작가들의 저서에도 아스파시아에 관한 기술을 볼 수 있다.성인 하고 나서는 거의 그리스에서 지냈지만, 아스파시아의 일생에 대해 상세까지 완전하게 알고 있는 부분은 거의 없다. 학자안에는 아스파시아는 유곽을 경영해 자신도 창녀를 실시하고 있었다고 하는 견해를 나타내는 사람도 있다.역사학적 관점에서 보면 아스파시아의 존재는 고대 그리스의 여성을 고찰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그렇다고 하는 것도, 당시의 여성에 관한 일은 거의 알지 않고, 「아스파시아가 알면 인간이 반 알았다와 다름없다」라고 하는 학자도 있는만큼인[6].
목차
출자・아테네로 옮길 때까지
이오 니어 지방의 미레 토스(현터키・아이딘주)로 태어난다.이 시대에 아스파시아 정도의 높은 교양을 몸에 걸칠 수 있는 것은 유복한 집의 사람에게 한정되어 있었다.그 때문에 그녀가 유복한 집의 출생인 것은 분명하지만, 부친의 이름이 아크시오코스인 것을 제외하면 가족에 관해서는 거의 모르는다.아스파시아는 전쟁 포로로부터 노예가 된 카리아인이라고 소개하는 고대의 자료도 있지만, 현재 그것은 잘못이다라는 견해가 강한[7].
아스파시아가 아테네에 이주한 경위는 불명하지만, 4 세기에 제작된 묘석으로부터 아크시오코스와 아스파시우스에 대한 기술이 있는 비문이 발견되면, 역사가 피터・K・빅 네루가 아스파시아 가족의 배경 및 아테네와의 관계의 해명에 나섰다.그의 설을 더듬으면, 아스파시아와 스칸보니다에(Scambonidae) 가의 아르키비아데스 2세(인가의 유명한 아르키비아데스의 할아버지에 해당하는 인물)에 어떠한 접점이 있던 가능성이 떠오른다.그렇다고 하는 것도, 아르키비아데스 2세는 기원 전 460년에 도편 추방에 의해서 아테네를 쫓겨 미레 토스로 망명하고 있던 가능성이 있다[3]. 할아버지 아르키비아데스가 망명해 미레 토스에 가, 거기서 아크시오코스가의 딸(아가씨)와 결혼 한 것이 아닐까라고 빅 네루는 추측하고 있다.아무래도 아르키비아데스는 아내와 그 여동생의 아스파시아를 따르고 아테네에 돌아온 것 같아서 , 빅 네루는 부부의 사이로 할 수 있던 제일자의 이름이 아크시오코스(인가의 유명한 아르키비아데스의 백부에 해당한다)이며, 제2자가 아스파시오스이다고 하는 설을 제창하고 있다.페리클레스는 아르키비아데스 일가와 친밀한 관계에 있어, 아르키비아데스 일가를 개입시키고 아스파시아와 만난 것은 아닐까 말한 주장도 빅 네루는 하고 있는[8].
아테네에서의 생활
고대의 작가나 현대의 학자의 사이에 논쟁이 끊어지지 않는 부분이지만, 아테네에서 아스파시아는 헤타이라가 되어 유녀가게를 경영하고 있던 가능성이 있는[9][10]. 헤타이라의 여성은 고급 창녀로서 일하는데 더해 프로의 고급 연예인으로서 활약하고 있었다.헤타이라는 보통 빗나간 미모를 갖추어 받을 수 있어가 아니고, 교양이 있어(아스파시아와 같은 고수준의 교양을 가지는 여성도 많이 있던), 자립한 생활을 보내 세금을 납부하고 있었다고 하는 점으로 일반적인 아테네 여성과는 구별을 분명히 하고 있던[11][12]. 헤타이라는 아마 자유로운 여성이라는 것에 가장 가까운 존재였던 것일 것이다.그 아테네 사회에서도 특히 화려한 존재감을 발하고 있던 헤타이라가 아스파시아이며, 헤타이라의 전형예에 해당할 것이다[11][13]. 프르타르코스에 의하면, 아스파시아는 이오 니어로 유명했던 또 한사람의 헤타이라・타르게리아라고 비교되었다고 하는[14].
아테네에서는 법적 제약에 의해, 결혼하면 가정에 묶이는 것이 여성이 전통적으로 더듬어 온 숙명으로서 있었다.그러나 아테네인이 아닌 것과 아마 헤타이라라고 하는 직업 덕분에도 있지만, 아스파시아는 그 제약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아테네의 시민사회에도 참가할 수 있었다.기원 전 440년대 전반에는 정치가 페리클레스와 애인 관계가 되어, 페리클레스가 전처와 이혼 후(기원 전 445년)는 페리클레스와 동거를 개시했다.단 그녀가 정식으로 페리클레스의 아내가 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껏 논의가 나뉘고 있는[15]. 두 명의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소페리클레스가 기원 전 440년에 태어난 것은 틀림없는 것 같지만, 만약 아스파시아가 기원 전 428년에 리시크레스의 아이를 출산한 것이면, 아스파시아는 상당히 젊은 연령으로 소페리클레스를 낳은 것이 되는[16].
이오 니어 사회에 있어 아스파시아는 그 미모로 주목받아 받을 수 있어가 아니고, 오히려 화술이나 조언의 재능으로 주목을 끌고 있던[10].프르타르코스의 기술에 의하면, 아스파시아는 방종한 생활을 보내고 있었는데도 관련되지 않고 아테네의 남자들은 아내를 동반해 아스파시아의 이야기를 들으러 갔다고 하는[14][17].
사람들의 비난・재판
페리클레스, 아스파시아 및 그 동료들은 영향력을 가지고 있던 뿐으로 비난으로부터 피하는 것은 할 수 없었다.그렇다고 하는 것도, 아테네의 민주정하에서는 탁월한 재능을 가진 사람이어도 절대적인 지배는 할 수 없기 때문에인[18].아스파시아가 페리클레스와 관계를 가져, 정치적으로도 꽤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던 것에는 여러가지 반향이 있었다.아스파시아는 사모스 전쟁 직후의 몇 년간인가는 특히 지지가 낮았다고 예일 대학의 역사학자 도널드・케이 암은 생각하고 있는[19].기원 전 440년에 사모스섬에서 프리에네(뮤카레의 산기슭에 위치하는 이오 니어의 고대 도시)를 둘러싼 싸움이 발발했다.전국이 악화되면, 미레 토스의 사람들은 사모스와의 소송을 제기하기 위해 아테네로 온[20].아테네 사람들이 양자에게 정전을 요구해 아테네에서 중재 재판을 하도록(듯이) 제기를 했지만, 사모스측은 그것을 거부했다.그것을 받아 페리클레스는 사모스에 군대를 파견하는 법령을 가결한[21].그러나 그것을 실행하는 것은 곤란하고 사모스가 패배할 때까지 아테네의 사람들은 많은 희생을 강요당했다.프르타르코스에 의하면, 아스파시아가 미레 토스 출신이므로 사모스 전쟁에 책임을 느껴 그 상태를 본 페리클레스가 아스파시아에 기꺼이 받으려고 사모스와 싸울 것을 결정해 사모스를 공격했던 것이라고 사람들은 생각한 것 같다[14].
페로포네소스 전쟁(기원 전 431년~기원 전 404년) 발발전에 페리클레스, 그와 가장 친한 동료 서, 그리고 아스파시아는 일련의 개인 공격이나 법적 비난을 받게 된다.특히 아스파시아는, 페리클레스의 성적 도착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아테네의 여성을 타락으로 이끌고 있다고 비난 당했다.프르타르코스에 의하면, 아스파시아는 불경죄로 희극 시인 헤르밉포스에 기소되어 재판에 회부할 수 있었다고 하는[22].아마 이러한 비난은 모두 말해져가 없는 중상에 지나지 않았지만, 아테네의 주도자 페리클레스에 있어서는 이 사건 그 자체가 타격이 되었다.페리클레스가 드물게 감정을 드러내 호소한 덕분에 아스파시아는 무죄가 되었지만 페리클레스의 친구의 한 사람으로 있는 페이디아스는 옥중사 해 버렸다.또 다른 친구의 아나크사고라스는 신교를 이유로 해 민회(아테네인의 집회)로부터 비난을 받은[23].아스파시아의 재판과 석방은 나중에 꾸며낼 수 있었던 사건이며 「이 사건 중(안)에서 정말로 아스파시아가 말해진 중상, 아스파시아에 걸칠 수 있었던 용의, 추잡한 농담이 가공의 재판이라고 하는 형태에 변화해 전해졌다」라고의 견해를 케이 암은 나타내 보이고 있는[19].British Columbi 대학 고전과교수 앤터니・J・포드렉키(Anthony J. Podlecki)의 주장에 의하면 프르타르코스 혹은 그에게 그 정보를 전한 사람이 어떤 희극의 한 장면을 실화와 착각 한 가능성이 높은[24].비유해 이 이야기가 사실이라고 생각했더니, 페리클레스의 도움의 유무에 관계없이 아스파시아에 위해가 미치는 것은 없었을 것이다와 케이 암은 주장하고 있는[25].
「아카르나이의 사람들」이라고 하는 작품 중(안)에서 아리스트파네스는 페로포네소스 전쟁의 원인은 아스파시아에 있다고 하고 있다.아리스트파네스의 할말에 의하면, 페리클레스의 발포한 메가라포령이라는 것이 있어 메가라 상인은 아테네나 그 동맹시와는 무역해선 안 된다고 하는 내용이었지만, 이 포령은 아스파시아의 경영하는 유곽에서 일하고 있던 창녀들이 메가라인에 유괴되었던 것에 대하는 보복으로서 낸 포령이라고 하는[9].아리스트파네스가 스파르타와의 사이에 전쟁이 일어났던 것에 책임감을 느끼고 있는 인물로서 아스파시아를 그린 것은, 그 전에 미레 토스와 사모스와의 사이에 일어난 사건의 기억을 반영시켰기 때문에 인지도 모른다[26].또 프르타르코스는 에우포리스나 쿠라티노스 등 다른 희극 시인들의 아스파시아를 조소할 것 같은 논평을 보고하고 있는[14].포드렉키에 의하면 사모스섬의 두리스는 아스파시아가 사모스 전쟁도 페로포네소스 전쟁도 선동 했다는 생각을 나타내 있던 것 듯하는[27].
아스파시아는 「현대판 옴파레이」, 「데이 귀 네이라」, 「헤라」, 「헬레네-」 등 다양한 평가를 받아지고 있던[28]. 페리클레스와 관계가 있었던 것에 관계해 한층 더 비난을 받았다고 아테네 수컷이 보고하고 있는[29].페리클레스 자신의 아들 쿠산티포스마저도 정치적 야망을 안고 있었기 때문에인가, 부친의 가정 사정에 접해 주저하는 일 없이 부친을 비난 한[23].
페리클레스와 사별 이후
기원 전 429년, 아테네의 페스트로 불리는 전염병이 유행해, 페리클레스는 자매 그리고 전처와의 사이에도 받고 있던 적출 남자 파라로스와 쿠산티포스 양쪽 모두가 앞서간다.그 때문에 페리클레스는 마음이 약해지는에 따르고 눈물을 흘리게 되어, 아스파시아가 곁에서 그를 지지했더니 그 상처가 치유될 것은 없었다.페리클레스가 죽기 직전, 아테네 시민은 페리클레스와 아스파시아의 사이에서 태어난 반아테네인의 소페리클레스를 아테네 시민으로 해 정식적이다 유산상속 인으로 할 수 있도록(듯이) 기원 전 451년제정의 시민권법을 변경하는 것을 허가한[30].이 결정은 부모님 모두 아테네인이 아니면 아테네 시민으로 인정하지 않는다고 하는 시민권법을 발안한 것이 페리클레스 본인인 것을 생각하면 더욱 더 놀랄 만한 것인[31].페리클레스 본인도 기원 전 429년의 가을에 전염병에 걸려 병사했다.
프르타르코스는 자신의 저서속에서 아이스키네스・소크라티크스(Aeschines Socraticus)가 저술한 아스파시아와의 대화편(현재는 소실)을 인용해, 페리클레스의 사후 아스파시아는 아테네의 장군으로 민주주의 지도자 리시크레스와 함께 생활해 새로운 아이를 벌어 리시크레스를 정치의 제일인자로 했다고 하는 취지의 일을 쓰고 있는[14].기원 전 428년에 리시크레스가 전사한[32][33]의에 수반해 당시의 사람들의 기록도 끊어졌기 때문에[17], 아들의 소페리클레스가 장군으로 선택되었을 때나 아르기누사이의 해전 후에 소페리클레스가 처형되었을 때에 아스파시아가 생존이었는가 어떤가 등, 그 후의 아스파시아의 모습은 불명하다.많은 역사학자가 추정되어 있는 아스파시아의 몰년은 기원 전 401년-기원 전 400년이지만, 이것은 아이스키네스의 「아스파시아」라고 하는 이야기의 구조로부터 생각할 수 있는 그녀의 연보를 생각한 결과, 소크라테스가 기원 전 399년에 처형되기 전에는 아스파시아는 죽는다고 생각할 수 있는 것이 토대가 되고 있는[3][5].
문학상의 기술
고대 철학서
아스파시아에 관한 기술은 Platon이나 쿠세노폰, 아이스키네스・소크라티크스, 안티스테네스등의 저술한 철학서로 보여진다.Platon은 아스파시아의 지성과 기지에 감격해, 「향연」의 등장 인물 디오티마의 모델로 했다고 하는 설도 학계에 존재하지만, 디오티마는 실제는 역사상 실재한 인물의 이름이다고 하는 설도 있는[34][35].펜실베이니아 대학 철학과 교수 찰스・칸에 의하면, 많은 점에 대해 디오티마는 Platon이 아이스키네스의 「아스파시아」를 투영 시킨 인물인[36].
「메네크세노스」 중(안)에서 Platon은 아스파시아가 페리클레스와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을 풍자 해[37]아스파시아가 많은 웅변가를 기른 것을 빈정대는 듯하게 주장할 때에 소크라테스의 생전 남긴 말을 인용하고 있다.소크라테스는 페리클레스의 화술에 있어서의 명성에 의문을 불러 그리고 아스파시아가 아테네의 페리클레스를 길렀기 때문에 페리클레스는 안티 폰이 기른 누구보다 수사가 뛰어났을 것이다라고 빈정대는 듯하게 전하는 것을 의도하고 쓰고 있어[38]페로포네소스 전쟁의 추도연설도 아스파시아가 원고를 쓴 덕분이라고 말해 당시 그 연설의 영향으로 페리클레스가 숭배되고 있던 것도 비난 하고 있는[39].칸은 또, Platon은 페리클레스와 소크라테스에 수사 학자를 가르친 스승으로서의 아스파시아의 모티프를 아이스키네스로부터 취해 왔다고도 말하고 있는[36].Platon의 「아스파시아」와 아리스트파네스의 「여자의 평화」는 어느 쪽의 작중 인물로부터 아테네의 여성들의 실제의 지위 읽어낼 수 없기는 하지만, 당시의 여성이 연설하는 것은 용서되지 않는다고 하는 관습에 분명하게 반한 예외적인 작품이며[40]트루 맨 주립 대학 역사과교수의 마르사・L・로즈도 설명하고 있는 대로 「개가 소송하거나 새가 정치를 실시하거나 하는 것이 희극 중(안)에서 밖에 있을 수 없는 것과 같고, 여성이 열변을 터는 것이 희극 이외에서 만났을 리가 없다」 것이는[41].
쿠세노폰은 「소크라테스의 추억(메모 라비 리어)」 「가정론(오이코노미크스)」라고 하는 2개의 저서로 아스파시아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모두 아스파시아에 조언을 요구하면 좋으면 소크라테스가 크리트브로스에 추천하는 장면이 있다.「소크라테스의 추억」으로는 중매인은 소개하는 남자의 좋은 점을 성실하게 전해야 한다고 쓰는에 해당되고 아스파시아를 인용하고 있는[42].「가정론」으로는 소크라테스가 부부 사이에서의 가계의 변통에 의해 자세하기 때문에와 아스파시아가 말하는 것에 따르는 장면이 있는[43].
아이스키네스・소크라티크스와 안티스테네스는 각각 아스파시아의 이름으로부터 소크라테스 대화편의 제목을 취했다(단 현재는 모두 단편이 남아 있을 뿐되고 있다).아이스키네스・소크라티크스의 「아스파시아」에 대해 중요한 사료로서 남아 있는 저작의 저자는 아테네 수컷, 프르타르코스, 그리고 Cicero이다.이 대화편에서는, 카리아스에 아스파시아에 그의 아들 힙포니크스를 지도받도록(듯이) 소크라테스가 권해 카리아스가 여성에게 지도를 부탁하는 것에 주눅이 들면 느낌 주저하면, 아스파시아는 페리클레스의 활약에 공헌해, 페리클레스의 사후는 리시크레스에 좋은 영향을 준 여성이라고 전한다고 하는 장면이 있다.대화편의 일부는 Cicero가 라틴어로 보관하고 있었던 것이다가, 그 보관된 부분에서 아스파시아는 「여자 소크라테스」로서 등장해, 쿠세노폰의 최초의 아내 그리고 쿠세노폰(여기서 채택하는 쿠세노폰은 역사상 유명한 쿠세노폰과는 딴사람이다)이 자기 인식을 통하고 덕을 얻기 위해 어떻게 하면 좋은가 고민하고 있던 것을 상담에 응했다고 하는 기술이 있는[36][44].아이스키네스는 아스파시아를 훌륭한 교육자・지도자라고 소개해, 헤타이라로서의 그녀의 높은 지위는 그 덕의 높이 고라고 설명하고 있는[45].아이스키네스의 「아스파시아」에 있는 어느 에피소드도 단순한 꾸며낸 일이 아니고, 갑자기 믿기 어려운 이야기이라고 칸은 말하는[46].
안티스테네스의 「아스파시아」의 단편은 불과 3밖에 잔존하고 있지 않는[3].이 대화편안에는 상당한 중상적 내용도 포함되어 있지만, 페리클레스의 일생에 관련한 일화도 수록되고 있는[47].안티스테네스는 아스파시아 뿐만 아니라 페리클레스 일가 전원을(아들들도 포함해) 비난 하고 있던 것 같다.철학자 안티스테네스는 위대한 정치가 페리클레스가 고덕인 생활은 아니고 쾌락에 빠지는 생활을 선택했다고 생각해 비판하고 있는[48].그 때문에 아스파시아는 성적 쾌락에 빠진 생활의 권화라고 표현되고 있는[45].
현대문학
현대문학에 대해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는 작품안에도 아스파시아는 등장하고 있다.20 세기에 활약한 유명한 소설가나 시인안에도 아스파시아가 페리클레스와 연애 관계에 있던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작품을 만든 사람은 많다.특히 19 세기의 로망 주의자나 20 세기의 역사 소설가는 페리클레스와 아스파시아의 에피소드로부터 무진장의 인스피레이션을 받고 있다.예를 들면 노예제 폐지론을 주창하고 있던 미국의 소설가・저널리스트의 리디아・마리아・차일드는 1835년, 페리클레스와 아스파시아가 보낸 날들을 그린 고대 로망 소설 Philothea를 발표했다.이 소설은 등장하는 여성(특히 아스파시아)을 매우 아름답고 섬세하게 그렸기 때문에 마리아의 작품 중(안)에서 가장 성공을 거두어 가장 완성도의 높은 작품으로 되어 있는[49].
1836년에는 영국의 작가・시인 월터・사베지・란다가 그의 책 중(안)에서 가장 유명한 작품의 하나인 Pericles and Aspasia를 발표했다.이 작품으로는 고대 아테네인의 모습을 가공의 편지를 통해 그리고 있어 그 편지안에는 대량의 시도 쓰여져 있다.작품에 등장하는 편지는 실제의 사실에 충실하지 않은 부분도 자주 볼 수 있지만, 페리클레스 시대의 시대정신을 파악하려는 자세는 볼 수 있는[50].로버트・하마링도 아스파시아의 매력에 자극을 받은 소설가・시인의 한 사람으로 있다. 그는 1876년에 Aspasia를 발표했지만, 이것은 페리클레스 시대의 작법이나 윤리관을 그린 소설로, 문화적・역사적 흥미에 근거하는 작품이다.로망 주의 운동에 영향을 받은 이탈리아의 시인 쟈코모・레오 펄 디는 「아스파시아시리즈(the circle of Aspasia)」로서 유명한 5편의 시를 발표했다.이러한 시는 레오 펄 디 자신이 퍼니・타르죠니・툿트티라고 하는 여성에게 여물어야할 않는 짝사랑을 하고 있었다고 하는 안타까운 체험으로부터 태어난 시인.레오 펄 디는 이 여성을 페리클레스의 반려에게 연관되어 아스파시아라고 불렀던 것이다[51].
1918년, 소설가겸극작가 조지・클램・쿡은 자신 첫 장편극 「아테네의 여자들」을 제작했다.이 작품은 아스파시아가 평화 운동의 일환으로서 스트라이크를 주도해 실시하는 모습이 그려져 있는[52].쿡은 반전을 테마로 한 작품을 그리스를 무대로 해 그렸던 것이다[53].미국의 작가 가트르드・애서턴은 The Immortal Marriage(1927년)라고 하는 작품 중(안)에서 페리클레스와 아스파시아의 이야기를 채택해 사모스 전쟁이나 페로포네소스 전쟁, 아테네의 페스트의 유행했던 시기에 관한 묘사도 가고 있었다.아스파시아와 페리클레스의 역사적 관계를 그린 작품은 그 밖에 테일러・코드 웰의 Glory and the Lightning(1974년)등이 있는[54].2011년에는 이탈리아의 작가 진드기 에러・맛트가 전기적 에세이 Aspasia maestra e amante di Pericle를 발표해, 2012년에는 고전적인 스타일의 극Desiderata Aspasia. Rapsodia mediterannea를 제작했다.
아스파시아의 평판과 그에 대한 평가
아스파시아의 평판은 페리클레스가 손에 넣은 영예나 명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55].프르타르코스는 아스파시아를 정치적으로도 학문적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 인물로 인정해 「그리스에서 제일의 남자가 기뻐하는, 그리고 철학자들이 화제로 해 계속 길게 칭찬하는 난투를 한 여성」이라면 칭찬의 뜻을 나타내고 있는[14].이 전기 작가 프르타르코스가 말하는데 밤과 아스파시아는 너무 유명하고, 페르시아왕아르타크세르크세스 2세와 전쟁한 소큐로스마저도, 자신의 애인의 한 사람으로 원래는 미르트로 불리고 있던 여성에게 아스파시아라고 하는 이름을 준 것 같다.이 여성은 큐로스 왕자가 싸워 승리했을 때에 잡혀 국왕의 아래에서 연행되어 그 후 국왕에 다대한 영향을 준 인물인[14]. 르키아노스는 아스파시아를 「현자의 거울」, 「칭찬에 적합한 오린피안중에서도 특히 훌륭한 인물」이라고 칭해, 「그녀의 정치의 지식과 견식, 그녀의 날카롭게 빈틈이 없는 님과 선견지명」에 찬사를 보내고 있는[56]. 고대 시리아어의 어떤 문헌에는, 아스파시아가 연설의 원고를 서로 작성하는 남자에게 법정에서 그것을 읽어 내리도록 지시했다고 있어, 아스파시아의 수사 학자에 있어서의 명성을 입증하는 증거가 되고 있는[57].아스파시아는 10 세기에 비잔트 제국에서 사용되고 있던 스다 사전이라고 하는 백과사전 중(안)에서 「어휘력이 뛰어났다」소피스트로 수사 학자를 가르치고 있었다고 쓰여져 있는[58].
이상과 같은 평가를 받고, 펜시르바니아 주립 대학 교수 시릴・그렌이 주장하는 것에는, 아무래도 아스파시아는 고대 그리스에서 그 존재를 국가 기관에서 인식되고 있던 유일한 여성이며, 페리클레스의 연설의 작성에도 종사하고 있던 것은 틀림없는 것 같다[59].아스파시아는 양가의 젊은 여성을 위해서 아카데미를 열거나 소크라테스식 문답법을 짜내거나까지 했다고 생각하는 학자도 있는[60][61].그렇지만 노스웨스탄 대학 고전 교수 로버트 W・워렌스는 「아스파시아가 페리클레스에 연설의 방식을 가르쳐 그러므로 웅변가나 철학자로부터 지지를 받고 있었다는 등이라고 하는 농담을 사실로 인정할 수는 없다」라고 역설하고 있다.그가 말하려면 Platon이 아스파시아에 지적 역할을 준 것은 고대그리스 희극을 참고로 했기 때문에라고 하는[62]. 케이 암은 아스파시아를 「아름답고, 자립하고 있어, 기지가 풍부한 젊은 여성으로, 그리스에서 가장 뛰어난 사람들이라고 회화해도 승부에 지지 않고, 어떤 문제라도 남편과 논의해 해명할 수 있던 여성」이라고 표현하고 있는[63]. 고전 학자로 켄트 대학 사회인류학과교수 러저・저스트의 생각해에 의하면, 아스파시아는 예외적인 인물이지만, 아스파시아의 예를 보는 것 만으로는 남성 수준의 지성과 사회적 지위를 손에 넣을 수 있었던 여성이 헤타이라가 되어야 했다고 하는 사실을 소리 드높게 강조하려면 충분한[10]. 철학자 그리고 신학교에서 교수를 맡는 시스터의 프르덴스・알렌(Prudence Allen)의 이야기에 의하면, 아스파시아는 삿포의 시로부터 번쩍이고, 여성들이 철학자가 될 가능성을 한 걸음전에 움직였던 것이다[37].
아스파시아에 관한 정보의 역사적 확증
네델란드의 역사가 죠나・렌더링의 지적에 있는 대로[64]아스파시아에 관해서 알려져 있다고 여겨지는 것의 대부분은 어디까지나 가설에 지나지 않는다고 하는 큰 문제점은 여전히 남아 있다.고대 그리스의 역사가 트키디데스의 서적에는 아스파시아에 관한 기술은 없고, 문학가나 철학자 등 역사 고증에는 전혀 주위를 기울이지 않는 듯한 사람들이 적은 신빙성의 낮은 표현이나 추측을 단서로 할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상인[40][62].그 때문에 아스파시아는 테아노와 같은 양처였다고 하는 기술도 있으면 타르게리아와 같은 유녀이며 창녀였다고 하는 기술도 있다고 하는 바람으로, 아스파시아의 인물상에는 어느 정도 모순된 기술도 볼 수 있는[65].이상의 이유로부터 현재 학자의 사이에 아스파시아의 생애에 관한 정보의 역사적 확실성은 의문시되고 있는[62].
「현재는 아스파시아에 관한 역사적 사실은 거의가 확정되어 있지 않고 확정 할 수 있어 야자 없다」라고 워레스는 말하고 있는[62].이 때문에 아이오와 주립 대학 고전마나부 교수 마데렌・M・헨리-(Madeleine M. Henry)도, 「고대보다 전해져 온 아스파시아의 생애는 각색이나 잘못이 포함되어 심하고 터무니없음 차 마시기 내기인 물건이기 때문에 거의 완전하게 실증 불가능하고, 20 세기가 되어도 그러한 전언은 계속 변화하고 있다」라고의 견해를 주장하고 있어 최종적으로는 「아스파시아의」생애를 그저 몇 안 되는 가능성에 걸어 추적할 수 밖에 할 수 없는[66]이라는 결론을 냈다.찰스・W・포르나라(Charles W. Fornara)와 고전 역사학 교수 로렌・J・사몬즈(Loren J. Samons II)는 「우리가 아는 한, 아스파시아의 진짜 모습은 전언에 의해서 만들어낼 수 있었던 그녀의 인간상 이상의 모습인지도 모른다」라고 말하고 있는[28].
각주
- ^ Ondrej Kase, "Alternative Pronunciation in English", 2013, p. 28.
- ^ "Aspasia". Random House Webster's Unabridged Dictionary.
- ^ a b c d e D. Nails, The People of Plato, 58-59
- ^ P. O'Grady, Aspasia of Miletus
- ^ a b A.E. Taylor, Plato: The Man and his Work, 41
- ^ M. Henry, Prisoner of History, 9
- ^ J. Lendering, Aspasia of Miletus
- ^ P.J. Bicknell, Axiochus Alkibiadou, Aspasia and Aspasios.
- ^ a b Aristophanes, Acharnians, 523-527
- ^ a b c R. Just, Women in Athenian Law and Life",144
- ^ a b"Aspasia". Encyclopaedia Britannica. (2002).
- ^ A. Southall, The City in Time and Space, 63
- ^ B. Arkins, Sexuality in Fifth-Century Athens
- ^ a b c d e f g Plutarch, Pericles, XXIV
- ^ M. Ostwald, Athens as a Cultural Center, 310
- ^ P.A. Stadter, A Commentary on Plutarch's Pericles, 239
- ^ a b H. G. Adams, A Cyclopaedia of Female Biography, 75-76
- ^ Fornara-Samons, Athens from Cleisthenes to Pericles, 31
- ^ a b D. Kagan, The Outbreak of the Peloponnesian War, 197
- ^ Thucydides, I, 115
- ^ Plutarch, Pericles, XXV
- ^ Plutarch, Pericles, XXXII
- ^ a b Plutarch, Pericles, XXXVI
- ^ A.J. Podlecki, Pericles and his Circle, 33
- ^ D. Kagan, The Outbreak of the Peloponnesian War, 201
- ^ A. Powell, The Greek World, 259-261
- ^ A.J. Podlecki, Pericles and his Circle, 126
- ^ a b Fornara-Samons, Athens from Cleisthenes to Pericles, 162-166
- ^ Athenaeus, Deipnosophistae, 533c-d
- ^ Plutarch, Pericles, XXXVII
- ^ W. Smith, A History of Greece, 271
- ^ Thucydides, III, 19
- ^ For year of death, see OCD "Aspasia"
- ^ K. Wider, "Women philosophers in the Ancient Greek World", 21-62
- ^ I. Sykoutris, Symposium (Introduction and Comments), 152-153
- ^ a b c C.H. Kahn, Plato and the Socratic Dialogue, 26-27
- ^ a b P. Allen, The Concept of Woman, 29-30
- ^ Plato, Menexenus, 236a
- ^ S. Monoson, Plato's Democratic Entanglements, 182-186
- ^ a b K. Rothwell, Politics & Persuasion in Aristophanes' Ecclesiazusae, 22
- ^ M.L. Rose, The Staff of Oedipus, 62
- ^ Xenophon, Memorabilia, 2, 6.36
- ^ Xenophon, Oeconomicus, 3.14
- ^ Cicero, De Inventione, I, 51-53
- ^ a b C.H. Kahn, Aeschines on Socratic Eros, 96-99
- ^ C.H. Kahn, Plato and the Socratic Dialogue, 34
- ^ Bolansee-Schepens-Theys-Engels, Biographie, 104
- ^ C.H. Kahn, Plato and the Socratic Dialogue, 9
- ^ E.A. Duyckinc-G.L. Duyckinck, Cyclopedia of American Literature, 198
- ^ R. MacDonald Alden,Readings in English Prose, 195
- ^ M. Brose, A Companion to European Romanticism, 271
- ^ D.D. Anderson, The Literature of the Midwest, 120
- ^ M Noe, Analysis of the Midwestern Character
- ^ L.A. Tritle, The Peloponnesian War, 199
- ^ K. Paparrigopoulos, Ab, 220
- ^ Lucian, A Portrait Study, XVII
- ^ L. McClure, Spoken like a Woman, 20
- ^ Suda, article Aspasia
- ^ C. Glenn, Remapping Rhetorical Territory , 180-199
- ^ C. Glenn, Locating Aspasia on the Rhetorical Map, 23
- ^ Jarratt-Onq, Aspasia: Rhetoric, Gender, and Colonial Ideology, 9-24
- ^ a b c d R.W. Wallace, Review of Henry's book
- ^ D.Kagan, Pericles of Athens and the Birth of Democracy, 182
- ^ Aspasia of Miletus at livius.org
- ^ J.E. Taylor, Jewish Women Philosophers of First-Century Alexandria, 187
- ^ M. Henry, Prisoner of History, 3, 10, 127-128
출전
Primary sources (Greeks and Romans)
- Aristophanes, Acharnians. See original text in Internet Archive
- Athenaeus, Deipnosophistae. Translated by the University of Wisconsin Digital Collections Center
- Cicero, De Inventione, I. See original text in the Latin Library.
- Diodorus Siculus, Library, XII. See original text in Perseus program.
- Lucian, A Portrait Study. Translated in sacred-texts
- Plato, Menexenus. See original text in Perseus program.
- Plutarch, Pericles. See original text in Perseus program.
- Thucydides, The Peloponnesian War, I and III. See original text in Perseus program
- Xenophon, Memorabilia. See original text in Perseus program
- Xenophon, Oeconomicus. Translated by H.G. Dakyns.
Secondary sources
- Adams, Henry Gardiner (1857). A Cyclopaedia of Female Biography. Groombridge.
- Alden, Raymond MacDonald (2005). "Walter Savage Landor". Readings in English Prose of the Nineteenth Century. Kessinger Publishing. ISBN 0-8229-5553-9.
- Allen, Prudence (1997). "The Pluralists: Aspasia". The Concept of Woman: The Aristotelian Revolution, 750 B.C. - A.D. 1250. Wm. B. Eerdmans Publishing. ISBN 0-8028-4270-4.
- Anderson, D.D. (2001). "The Origins and Development of the Literature of the Midwest". Dictionary of Midwestern Literature: Volume One: The Authors by Philip A Greasley. Indiana University Press. ISBN 0-253-33609-0.
- Arkins, Brian (1994). "Sexuality in Fifth-Century Athens". "Classics Ireland" 1. 2006년 8월 29일 열람..
- "Aspasia". Encyclopaedia Britannica. (2002).
- Bicknell, Peter J. (1982). "Axiochus Alkibiadou, Aspasia and Aspasios". "L'AntiquiteClassique" 51 (3): 240-250.
- Bolansee, Schepens, Theys, Engels (1989). "Antisthenes of Athens". Die Fragmente Der Griechischen Historiker: A. Biography. Brill Academic Publishers. ISBN 90-04-11094-1.
- Brose, Margaret (2005). "Ugo Foscolo and Giacomo Leopardi: Italy's Classical Romantics". In Ferber, Michael. A Companion to European Romanticism. Blackwell Publishing. ISBN 1-4051-1039-2.
- Duyckinck, G.L., Duyckinc, E.A. (1856). Cyclopedia of American Literature. C. Scribner.
- Fornara Charles W., Loren J. Samons II (1991). Athens from Cleisthenes to Pericles.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Glenn, Cheryl (1997). "Locating Aspasia on the Rhetorical Map". Listening to Their Voices. Univ of South Carolina Press. ISBN 1-57003-172-X.
- Glenn, Cheryl (1994). "Sex, Lies, and Manuscript: Refiguring Aspasia in the History of Rhetoric".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45 (4): 180-199.
- Gomme, Arnold W. (1977). "The Position of Women in Athens in the Fifth and Fourth Centuries BC". Essays in Greek History & Literature. Ayer Publishing. ISBN 0-8369-0481-8.
- Henry, Madeleine M. (1995). Prisoner of History. Aspasia of Miletus and her Biographical Tra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508712-7.
- Kagan, Donald (1991). Pericles of Athens and the Birth of Democracy. The Free Press. ISBN 0-684-86395-2.
- Kagan, Donald (1989). "Athenian Politics on the Eve of the War". The Outbreak of the Peloponnesian War.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ISBN 0-8014-9556-3.
- Kahn, Charles H. (1997). "Antisthenes". Plato and the Socratic Dialogu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64830-0.
- Kahn, Charles H. (1994). "Aeschines on Socratic Eros". In Vander Waerdt, Paul A. The Socratic Movement. Cornell University Press. ISBN 0-8014-9903-8.
- Just, Roger (1991). "Personal Relationships". Women in Athenian Law and Life. Routledge (UK). ISBN 0-415-05841-4.
- Loraux, Nicole (2003). "Aspasie, l'etrangere, l'intellectuelle". La Grece au Feminin (in French). Belles Lettres. ISBN 2-251-38048-5.
- Mazzon, Daniela, Aspasia maestra e amante di Pericle, EdizioniAnordest, 2011 (in Italian) EAN9788896742280
- Mazzon, Daniela, Desiderata Aspasia. Rapsodia mediterranea, one-act drama, 2012 (in Italian)
- McClure, Laura (1999). "The City of Words: Speech in the Athenian Polis". Spoken Like a Woman: Speech and Gender in Athenian Drama.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0-691-01730-1.
- McGlew, James F. (2002). "Exposing Hypocrisie: Pericles and Cratinus' Dionysalexandros". Citizens on Stage: Comedy and Political Culture in the Athenian Democracy.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ISBN 0-472-11285-6.
- Monoson, Sara (2002). "Plato's Opposition to the Veneration of Pericles". Plato's Democratic Entanglements. Hackett Publishing. ISBN 0-691-04366-3.
- Nails, Debra (2000). The People of Plato: A Prosopography of Plato and Other Socratics.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0-87220-564-9.
- Onq, Rory; Jarratt, Susan (1995). "Aspasia: Rhetoric, Gender, and Colonial Ideology". In Lunsford, Andrea A. Reclaiming Rhetorica. Berkeley: Pittsburgh: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ISBN 0-7661-9484-1.
- Ostwald, M. (1992). "Athens as a Cultural Center".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edited by David M. Lewis, John Boardman, J. K. Davies, M. Ostwald (Volume V).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23347-X.
- Paparrigopoulos, Konstantinos (-Karolidis, Pavlos)(1925), History of the Hellenic Nation (Volume Ab). Eleftheroudakis (in Greek).
- Podlecki, A.J. (1997). Perikles and His Circle. Routledge (UK). ISBN 0-415-06794-4.
- Powell, Anton (1995). "Athens' Pretty Face: Anti-feminine Rhetoric and Fifth-century Controversy over the Parthenon". The Greek World. Routledge (UK). ISBN 0-415-06031-1.
- Rose, Martha L. (2003). "Demosthenes' Stutter: Overcoming Impairment". The Staff of Oedipus.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ISBN 0-472-11339-9.
- Rothwell, Kenneth Sprague (1990). "Critical Problems in the Ecclesiazusae". Politics and Persuasion in Aristophanes' Ecclesiazusae. Brill Academic Publishers. ISBN 90-04-09185-8.
- Smith, William (1855). "Death and Character of Pericles". A History of Greece. R. B. Collins.
- Southall, Aidan (1999). "Greece and Rome". The City in Time and Spa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78432-8.
- Stadter, Philip A. (1989). A Commentary on Plutarch's Pericles.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ISBN 0-8078-1861-5.
- Sykoutris, Ioannis (1934). Symposium (Introduction and Comments) -in Greek. Estia.
- Taylor, A. E. (2001). "Minor Socratic Dialogues: Hippias Major, Hippias Minor, Ion, Menexenus". Plato: The Man and His Work. Courier Dover Publications. ISBN 0-486-41605-4.
- Taylor, Joan E. (2004). "Greece and Rome". Jewish Women Philosophers of First-Century Alexandria.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925961-5.
- Tritle, Lawrence A. (2004). "Annotated Bibliography". The Peloponnesian War. Greenwood Press. ISBN 0-313-32499-9.
- Wider, Kathleen (1986). "Women philosophers in the Ancient Greek World: Donning the Mantle". "Hypatia" 1 (1): 21-62.
참고 문헌
- Atherton, Gertrude (2004). The Immortal Marriage. Kessinger Publishing. ISBN 1-4179-1559-5.
- Becq de Fouquieres, Louis (1872). Aspasie de Milet (in French). Didier.
- Cecilia, Cozzi (2014). Aspasia, storia di una donna (in Italian). David and Matthaus. ISBN 978-88-98899-01-2.
- Dover, K.J. (1988). "The Freedom of the Intellectual in Greek Society". Greeks and Their Legacy. New York: Blackwell.
- Hamerling, Louis (1893). Aspasia: a Romance of Art and Love in Ancient Hellas. Geo. Gottsberger Peck.
- Savage Landor, Walter (2004). Pericles And Aspasia. Kessinger Publishing. ISBN 0-7661-8958-9.
외부 링크
|
|
This article is taken from the Japanese Wikipedia 아스파시아
This article is distributed by cc-by-sa or GFDL license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Wikipedia.
In addition, Tranpedia is simply not responsible for any show is only by translating the writings of foreign licenses that are compatible with CC-BY-SA license information.
0 개의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