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 플라스틱(소행성)
가스 플라스틱 951 Gaspra | |||||||
---|---|---|---|---|---|---|---|
![]() | |||||||
갈릴레이가 촬영한 가스 플라스틱 (색은 강조되고 있다) | |||||||
가부호・별명 | 1916 S45 | ||||||
분류 | 소행성 | ||||||
궤도의 종류 | 소혹성대 (후로라족) | ||||||
발견 | |||||||
발견일 | 1916년7월 30일 | ||||||
발견자 | G. N. 네위민 | ||||||
궤도 요소와 성질 원기:2008년 11월 30일(JD 2,454,800.5) | |||||||
궤도 장반경(a) | 2.210 AU | ||||||
근일점거리(q) | 1.827 AU | ||||||
원일점 거리(Q) | 2.592 AU | ||||||
이심율(e) | 0.173 | ||||||
공전주기(P) | 3.28 년 | ||||||
궤도 경사각(i) | 4.10 도 | ||||||
근일점 인수(ω) | 129.51 도 | ||||||
승교점노랑경(Ω) | 253.20 도 | ||||||
평균근점각(M) | 353.10 도 | ||||||
물리적 성질 | |||||||
3축 지름 | 18.2 ×10.5 ×8.9 km[1] | ||||||
표면적 | 525 km2 | ||||||
질량 | 2 - 3×1016 kg(추정) | ||||||
평균 밀도 | ~2. 7 g/cm3(추정)[2] | ||||||
표면 중력 | ~0. 002 m/s2(추정) | ||||||
탈출속도 | ~0. 006 km/s(추정) | ||||||
자전 주기 | 7.042 시간[3] | ||||||
스펙트럼 분류 | S | ||||||
절대 등급(H) | 11.46 | ||||||
알베도(반사능) | 0.22[4] | ||||||
표면 온도 |
| ||||||
색지수(B-V) | 0.870 | ||||||
색지수(U-B) | 0.554 | ||||||
■Project■Template |
가스 플라스틱(951 Gaspra)은, 소혹성대의 내연 근처에 있는 S형 소행성.1916년에 그리고리・네위민에 의해서 콩새 이즈 천문대에서 발견되었다.네위민은 막심・Gorki나 리플렉스 카메라・톨스토이와 같은 그의 동시대인도 방문한 흑해 연안의 보양지 가스 플라스틱에 연관되어 명명했다.
1991년 10월 29일, 목성으로 향하는 도중의 갈릴레이가 가스 플라스틱의 근처를 통과해, 소행성에 대한 첫 접근 관측을 행했다.
목차
특징
가스 플라스틱의 표면에는 다수의 작은 크레이터 외에, 반다스의 넓고 평탄한 지역이나 구덩이가 있다.그 하나, Dunne Regio는 높낮이차이 200 m이하, 5×7 km의 평탄한 지역이다.이것들이 충돌에 의해서 형성되었는지, 가스 플라스틱의 어머니 천체가 파괴되었을 때의 단면의 자취인가 확실한 (일)것은 모른다.가스 플라스틱의 중력은 약하게 불균형이므로, 충돌 크레이터는 자연스럽게 그러한 평탄하고 불균형인 형태가 되기 위해, 확정하는 것은 어렵다.평탄한 면과 구덩이에 의해서, 가스 플라스틱은 매우 모난 형상을 하고 있다.
가스 플라스틱은 S형 소행성 중(안)에서도 특히 캔 런석이 풍부하다답다(표면에는 캔 런석과 휘석이 4대 1에서 7대 1의 비율로 포함되어 있는[5]).위의 화상에 비치고 있는 부분의 뒤편에 미묘한 색 변화를 볼 수 있지만, 알베도나 색이 외와 두드러져 다른 곳은 않다.
가스 플라스틱의 표면에는, 예를 들면(253) 마티르드로 볼 수 있는 별자체의 반경에 필적하는 크기의 크레이터는 없다.그 이유로서는, 후로라족과 가스 플라스틱을 낳은 충돌이 천문학상의 스케일로는 비교적 최근 일어났기 때문에, 그것 이후에 큰 크레이터를 할 수 있을 기회가 없었다고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크레이터 형성율의 분석에 의해서, 표면은 대략 2 천만년부터 3억년을 거치고 있는 것이 나타나는[6].
가스 플라스틱의 표면에는 폭 100 - 300 m, 길이 2.5 km, 깊이 수십 m의 도랑을 볼 수 있다.그것은 소행성의 충돌에 의해서 가스 플라스틱이 후로라족의 다른 천체와 함께 형성되었던 것에 관계하고 있을지도 모른다.또, 그것들이 있는 것은 가스 플라스틱이 라브르파일은 아니고 오히려 단일체인 것을 시사한다.도랑은 아마 그 아래에 있는 암석을 파괴한 충돌에 의해서 형성되었다.화성의 위성 포보스에는 더욱 현저한 도랑의 모임을 볼 수 있다.몇개의 도랑에 구멍이 열려 있는 모습은, 표면이 레고리스로 덮여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을지도 모르는[6].
가스 플라스틱의 표면을 레고리스가 어느 정도 가리고 있는지는 아직 완전하게는 이해되지 않고, 논쟁의적으로 되어 있다.눈에 보이는 색 변화가 적은 것은, 상당한 레고리스에 덮여 있는 것을 나타낸다.또, 국지적인 지형과 미묘한 색 변화동안에는 상관관계를 볼 수 있어 이것은 레고리스가 낮은 장소에 천천히 이동하는 것에 의해서 일으켜지는 것이 제창되었다.그러나, 추정되고 있는 레고리스의 기원을 설명하는 것은 어렵다.제일에, 가스 플라스틱의 탈출속도는 매우 작기 때문에, 충돌에 의해서 분출한 파편의 상당한 부분이 어떻게 해 빠져 나와 좌도에 계속 머물 수 있었는지를 이해하는 것은 어렵다.만약 가스 플라스틱이 다공질로 최초부터 대량의 레고리스가 있으면, 그것은 경감될지도 모르지만, 이번은 레고리스가 어째서 거기에 있었는지를 설명해야 한다.가능한 해석의 하나는, 가스 플라스틱 자신과 후로라족을 형성한 충돌 시에 그것들을 얻었을지도 모른다고 하는 것이다.2번째로, 모든 크레이터로부터 분출한 물질은 가스 플라스틱을 두께 10 m의 레고리스로 가리는데 충분하다고 추측해지고 있었다.그러나, 몇개의 크레이터는 이것보다 깊지만, 그 벽면에는 전혀 구조적인 차이를 볼 수 없는[7].
가스 플라스틱의 극은 적경 0시 40분±10분 , 적위 27±2도의 방향을 향하고 있는[1].이것은 황도좌표계로(β,λ) = (21о, 20о), 축경사각 72도에 동일하다.
갈릴레이는 후라이바이때, 작은 가스 플라스틱으로부터 궤도에 현저한 영향을 받는 만큼 근처를 통하지 않았기 때문에, 가스 플라스틱의 질량에 대해서는 전혀 정보를 얻을 수 없었다.
탐사
갈릴레이는 1991년 10월 29일에, 8 km/s (18,000 mph)의 속도로 가스 플라스틱으로부터 1,600 km떨어진 곳을 통과했다.57장의 화상을 지구에 보내, 가장 근처에서 찍힌 화상은 5,300 km로부터의 것이었다.가장 해상도의 좋은 화상은 약 54 m/pixel이었다.후라이바이때는 남극의 주위의 지역이 안보였지만, 소행성의 나머지 80 %를 촬영한[6].
접근전에는 가스 플라스틱의 위치가 약 200 km의 오차로 밖에 알지 않고, 카메라의 시야각이 약 5도 밖에 없었기 때문에, 갈릴레이가 70,000 km이하까지 접근한 다음은 어느 방향을 향하면 소행성의 화상을 잡을 수 있을지 몰랐다.이것으로는 만남이 과학적으로 남아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게 되어 버린다.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갈릴레이 우주기 팀은 접근하는 동안에 얻을 수 있던 화상을 이용해 가스 플라스틱의 위치의 오차를 보정하는 광학 항법을 행했다.이것은 눈부신 성공을 거두어 5,300 km라고 하는 근거리로 화상을 얻을 수 있었다.가장 가까운 위치에서는 아직 충분히 정확한 방향이 알려지지 않고, 가스 플라스틱의 화상을 적어도 1장 얻기 위해서 실제로는 51장의 연속 사진을 촬영한[6].같은 광학 항법 기술은, 그 이후에 행해진 모든 소행성에 대한 우주기의 후라이바이로 사용되고 있다.
지형
가스 플라스틱의 평탄한 지형(Regio)은 이 소행성과 관계의 깊은 천문학자나 과학자로부터 이름이 붙여졌다.Dunne Regio(제임스・댄), Neujmin Regio(그리고리・네위민), Yeates Regio(쿠레인・Yeats)가 있다.
크레이터는 세계 각국의 온천 마을로부터 이름이 붙여졌다.그 하나는 일본의 벳푸의 이름을 붙일 수 있고 있다.
각주
- ^ a b c P. C. Thomas, J. Veverka, D. Simonelli, P. Helfenstein, B. Carcich, M. J. S. Belton, M. E. Davies, C. Chapman (1994). "The Shape of Gaspra". Icarus 107 (1): 23-36. doi:doi:10.1006/icar. 1994.1004.
- ^ Krasinsky, G. A.; Pitjeva, E. V.; Vasilyev, M. V.; Yagudina, E. I. (July 2002). "Hidden Mass in the Asteroid Belt". Icarus 158 (1): 98-105. doi:10.1006/icar. 2002.6837. .
- ^ PDS lightcurve data
- ^ Supplemental IRAS Minor Planet Survey
- ^ J.C. Granahan F.P. Fanale, & M.S. Robinson (1994). "A Galileo Multi Spectral Instrument Analysis of 951 Gaspra". Abstracts of the 25th Lunar and Planetary Science Conference, held in Houston, TX, 14-18 March 1994: 453.
- ^ a b c d Veverka, J.; Belton, M.; Klaasen, K.; Chapman, C. (1994). "Galileo's Encounter with 951 Gaspra: Overview". Icarus 107 (1): 2-17. doi:10.1006/icar. 1994.1002.
- ^ M.J.S. Belton et al (1992). "Galileo Encounter with 951 Gaspra: First Pictures of an Asteroid". Science 257: 1647 .
관련 항목
외부 링크
This article is taken from the Japanese Wikipedia 가스 플라스틱(소행성)
This article is distributed by cc-by-sa or GFDL license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Wikipedia.
In addition, Tranpedia is simply not responsible for any show is only by translating the writings of foreign licenses that are compatible with CC-BY-SA license information.
0 개의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