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시마타이샤
미시마타이샤 (미시마 다이샤) | |
---|---|
무전(앞)과 배전(왼쪽 안쪽) | |
소재지 | 시즈오카현 미시마시 오미야초 니쵸메 1번 5호 |
위치 | 북위 35도 7부 20.66초 동경 138도 55부 7.79초 좌표: 북위 35도 7부 20.66초 동경 138도 55부 7.79초 |
주제신 | 오오야마기명 적우 여덟 겹 고토시로누시노카미 |
사격등 | 진묘쵸우에 기록되어 있는 일사(나고야와 코베대) 이즈노쿠니 이치노미야 이즈노쿠니 소샤 구국가에서 일정한 격식의 신사에 타이샤 별표 신사 |
창건 | 미상 |
본전의 양식 | 미마사류조 |
예제 | 8월 16일 |
주된 제사 | 밭갈이 제사(1월 7일) 농작물의 풍흉을 점침 제사(1월 15일) 봉 쏘아 맞혀 제사(1월 17일) 잡귀를 쫓기 위해 활시윗소리를 식(절분의 날) 말을 달리며 활을 쏘아 과녁 맞 제사(8월 17일) |
지도 | |
미시마타이샤(봐 해 또 의사, 미시마 다이샤)는, 시즈오카현 미시마시 오미야초에 있는 신사.진묘쵸우에 기록되어 있는 일사(나고야와 코베 타이샤)、이즈노쿠니이치노미야, 이즈노쿠니소샤。구사격은 국가에서 일정한 격식의 신사에 타이샤에서, 현재는 신사본청의 별표 신사.
목차
개요
시즈오카현 동부의 이즈 반도 기초부, 미시마시의 중심부에 자리잡는다.경내 입구의 오토리앞을 동서로 큐우토우 카이도, 남쪽으로 구시모다 가도가 달린다.주변은 이즈노쿠니의 중심부로서 코우다가 있던 땅에서, 후에 미시마타이샤의 몬젠쵸로서 발달, 어느덧 지명도 타이샤에 유래해 「미시마」라고 칭해지게 되었다고 여겨진다.
회사명의 「미시마」란 이즈오오시마・미야케지마등으로부터 완성되는 이즈제도를 가리킨다고 말해져 주제신은 이즈제도의 개척신이다.당사는, 고대에는 이즈제도의 분화를 외경심타사람들로부터 독실하게 숭경되었다.중세에 들어가면, 이즈노쿠니의 이치노미야로서 미나모토노요리토모 시작해 많은 무가로부터의 숭경을 모았다.근세 이후는 미시마가 토카이도의 여인숙마을로서 발달했던 것에 따라, 토카이도를 왕래하는 서민으로부터도 독실하게 신앙된 신사이다.
경내에서는 본전・폐전・배전이 나라의 중요문화재에, 킨모크세이가 나라의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또 사 보로는, 호조 마사코의 봉납과 전해지는 국보의 「매화 금칠한 그림 손궤」를 시작으로 하고, 다수의 소장품이 나라의 중요문화재나 시즈오카현 지정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회사명
회사명은 전쟁 전은 「미시마 신사」라고 칭했지만, 전후는 「미시마타이샤」를 칭하고 있다.역사적으로는, 사료상에서 다음 호칭이 보이는[1].
- 미시마 다이샤/미시마타이샤( 「속일본후기」[원 1])
- 이즈 미시마 신사/이즈 미시마 신사( 「엥기식」신명부[원 2])
- 미시마사/미시마사( 「아즈마카가미」, 기타바타케 아키이에 문서, 호조 우지쓰나 문서)
- 미시마궁/미시마궁(야타베가 문서등 )
통설로는, 「미시마」의 호칭은 이즈제도에 대한 존칭 「섬(봐 섬)」에 유래한다고 여겨지는[2][3][주 1].이즈제도를 가리키는 지명의 「미시마」로서는, 옛날에는 나라시대의 연호 13년(731년)[원 3]에 「이즈 미시마」의 기재가[3], 헤이안 시대의 「일본에서 부르는 이름 유취초」로는 이즈노쿠니 카모군에 「미시마 시골(봐 섬호)」의 기재가 보이는[3].덧붙여 별설로서 이요 쿠니이치궁의 오야마즈미 신사(오미시마신)를 유래로 하는 설도 있는[4].
현재의 진좌지의 지명은 「미시마」이지만, 이것은 앞의 이즈제도를 가리키는 「미시마」란 달라, 고대의 사료에는 안보이는 지명인[5].당지는, 고대에는 이즈노쿠니의 코우다가 있던 것으로부터 「코우다(이렇게)」라고 칭해진[5].그리고 미시마신이 코우다에 모셔진 후, 13 세기말무렵부터 타이샤를 기념하여 지명도 「미시마」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여겨지는[5].
이하본항으로는, 칸나로서는 회사명을 모방해 「미시마」의 표기를 사용하지만, 사료의 인용으로는 상용한자체를 사용하는 관계상 「미시마」의 표기를 사용해 해설한다.
제신
제신은 다음 2주[주 2].
-
- 오오야마기명(오오야마 죄만 일)
- 적우 여덟 겹 고토시로누시노카미(죄는이나 금년로누 해 의 것인지 봐)
2기둥은 「미시마 대신(봐 섬의 이리)」또는 「미시마 신의 이름 밑에 붙이는 칭호(봐 해 마 매우 성씨응)」라고 총칭되는[2][6].본지불은 약사 여래[7].
제신에 대해
미시마타이샤의 제신에 관해서는, 옛날에는 오오야마기명제신설・고토시로누시노카미 제신설이 존재했다.오오야마기명설은, 가마쿠라 시대의 「가마쿠라중기의 기행문」에 시작해 「백과 홍 성쇠기」 「일본서기의 현존최고 주석서」 「21사기」 「일본 서기찬소」등의 제사료로 보이는 설인[8].미시마신이 이요 쿠니이치궁의 오야마즈미 신사(오미시마신)에 유래한다고 하는 전설에 근거해[9], 고토시로누시노카미설이 주창될 때까지는 넓게 정착하고 있던[10].한편의 고토시로누시노카미설은, 에도시대 후기의 히라타 아츠시윤의 「고사전」으로의 주장에 시작하는 설인[9].무로마치 시대의 「22사 유래」에 「도파 여덟 겹 고토시로누시노카미(중략) 이즈 카모군좌미시마 코우, 이요국좌미시마신동체좌운」이라고 있는 기재에 근거하는[9].
에도시대까지의 제신은 오오야마기명으로 되어 있었지만, 에도막부 말기에 고토시로누시노카미설이 국학자의 지지를 얻었기 때문에, 메이지 6년(1873년)에 고토시로누시노카미로 고칠 수 있었던[11].그 후 타이쇼기에 들어가 오오야마기명설이 재부상했기 때문에, 2주설이 쇼와 27년(1952년)에 제정되고 현재에 이르고 있는[11].
근년의 연구로는, 미시마신은 「도신」즉 이즈제도의 신을 의미한다고 하고, 상기 2설 모두 후세의 부회로 하는 견해가 유력시 되는[12][13][14][15].이 안에서, 분화의 번성한 이즈제도로 원시적인 조도신・항해신으로서 모셔진 것이 「미시마신」의 시작이다고 하는[15].그리고 「미시마」의 소리로부터, 후세에 다른 신에 연결시킬 수 있었다고도 추측되고 있는[15].
역사
창건
창건은 미상[17].후술과 같이 「엥기식」신명부에는 이즈노쿠니 카모군(이즈 반도 남부・이즈제도)의 소재라고 기재되어 현재지(당시는 타가타군)와 상위한 것부터, 천좌설・군명 오기설등의 제설이 제창되고 있는[18].문헌상에서 현재지의 진좌가 확실한 것은, 「아즈마카가미」지쇼 4년(1180년)의 기사[원 4]로부터인[19].
현재 통설로서 알려지는 것은, 처음 카모군 미시마 시골(이즈제도나[3]), 후카모군 타이샤시골 시라하마(이코나비명신사 부근이나[20]), 한층 더 타가타군 오가와 시골의 이즈노쿠니부(현사지)로 천좌(일설에 권청)했다고 하는 설인[7].한편의 군명 오기설로는, 「엥기식」의 기재를 의심해, 태고보다 당지에 진좌로 하는[21].이상외, 「미시마」의 칸나로부터 이요 쿠니이치궁의 오야마즈미 신사(오미시마신)와의 관계를 상정하는 설도 있다.
개사
고대
사료의 초견은 나라시대의 연호 2년(758년)[원 5]로, 「이즈 미시마신」에 대해서 10월 2일에 봉호 9호가, 12월에 봉호 4호를 하사할 수 있고 있는[7].국사에서는 헤이안초기의 연호 9년(832년)의 기사[원 6]에 대하고, 미시마신・이코나비명신(이코나비명신사)의 2신이 땅 2,000정에 신궁2원・지3곳을 만드는 등 많은 신이를 나타냈다고 해서, 나고야와 코베에 맡고 있는[22][주 3].동기사의 3일전의 기사[원 7]으로는, 가뭄의 원인이 「이즈노쿠니신」노수리이라고 기록되고 있지만, 이 「이즈노쿠니신」은 미시마신・이코나비명신과 동일신으로 하는 설도 있는[23].
「속일본후기」의 기사[원 1]에 의하면, 죠와 5년(838년) 7월 5일밤에 코우즈시마(코즈시마)에서 격렬한 분화가 발생했다.운세의 결과, 그것은 미시마신의 뒤 황후가 위계(신계)를 받았음에도 관련되지 않고, 본후인 아와신(아와명:아와생명 신사)에는 소식이 없는 것에 대하는 분노에 의하는 것이라고 보여진[24].동기사에서는 「후후」에 관한 구체적인 언급은 없지만, 이것은 이코나비명을 가리킨다고 여겨지는[25][주 3].이 기사를 받아 약1개월 후[원 8]에는, 아와명과 물기나명(아와신의 미코가미:모노이미나노미코토 신사)의 신계가 무위로부터 종고이하에 오른[26].
그 후, 미시마신은 가죠 3년(850년)[원 9]에 종고이상의 신계를 하사할 수 있던 후, 인수 2년(852년)[원 10]에 종4위하, 천안 3년(859년)[원 11]에 종4위상, 죠간 6년(864년)[원 12]에 마사시위하, 죠간 10년(868년)[원 13]에 종삼위를 하사할 수 있었던[7].
연장 5년(927년) 성립의 「엥기식」신명부[원 2]로는, 이즈노쿠니 카모군에 「이즈 미시마 신사 나고야와 코베 오츠키 츠기신상」으로서, 나고야와 코베 타이샤에 참석하는 것과 동시에 월차제・10월17일에 행하는 궁중행사에 폐백에 맡은 취지가 기재되어 있는[7].또, 「엥기식」주세료[원 14]에 의하면, 「미시마신료」로 해서 2,000다발이 내려지고 있던[7].
죠헤이 연간(931년-938년) 무렵의 「일본에서 부르는 이름 유취초」로는 이즈노쿠니 카모군에 「타이샤시골(주인 해라 호)」의 지명이 보이지만, 이것은 이즈 미시마 신사・이코나비명신사에 근거하는 향명으로 여겨지는[20][주 4].
중세부터 근세
중세에 들어가면, 미시마사는 이즈노쿠니에서 이치노미야의 지위에 자리 매김된 것 외(초견은 겐무 원년(1334년)), 이즈노쿠니의 소샤도 겸했다고 여겨지는[27].「이즈노쿠니 신계장」(야스나가2년(1343년) 이전 성립)으로는 「정일위 미시마 신의 이름 밑에 붙이는 칭호」라고 기재되어 있는[7].
『아즈마카가미』지쇼 4년(1180년)의 기사[원 4]에 의하면, 미나모토노요리토모는 군사를 일으킴 직전에 아다치성장에 대해서 미시마사에의 봉폐를 명해 그 우시로야마목겸륭의 토벌해 잡기를 행한[7].또, 뢰조는 동년에 헤이케군과의 싸움이기 때문에 서쪽을 향할 때에도 미시마신을 볐다고 하는[7].이러한 전승 기원으로 보이도록(듯이), 미시마사는 미나모토노요리토모로부터 독실하게 숭경되어 뢰조에서는 지쇼 4년(1180년) 10월에 미소노・카와라 타니・나가사키의 카미료의 기부, 겐랴쿠 2년(1185년) 6월에 임시제료로 해서 강변골짜기・미소노의 기부, 동년 8월에는 방생회료로 해서 누카타・나가사키의 기부, 문치 4년(1188년) 정월에 참예, 겐큐 6년(1195년)에 진바・검의 봉납을 한[11].뢰조가 열린 가마쿠라막부는, 미시마사를 쓰루가오카하치만궁이나 2소 곤겐(이즈산 신사・하코네 신사)과 함께 신앙하고 있는[7].뢰조이후도 가마쿠라막부 장군은 대대 미시마사에 참예 있어, 특히 4 대장군・후지와라노 요리쓰네는 가장 많은 참예를 행한[7].
이 시대, 가마쿠라막부의 장군・댁인은 토카이도를 종래의 아시가라월은 아니고 하코네월을 이용한[28].이것에 의해서 하코네로가 활성화 해, 하코네 앞에 위치하는 미시마사에는 수많은 여행자가 참예 한[28].토카이도의 기행문에는 반드시 미시마사가 기록되고 있어 「가마쿠라중기의 기행문」의 작자(미상)나, 다케자키스에나카( 「몽고내습 두루마리그림」상권), 아부쓰니( 「16일밤 일기」 「부목초」), 레이제이 다메스케・아스카이 마사아리( 「부목초」), 한결같은( 「한결같은 성회」), 후 후카쿠사원니조( 「과는 도화 충분해」)등이 참예의 모습을 묘사하고 있는[28]. 남북조 시대에 들어간 쟁란이 증가하면, 미시마사로는 전승 기원을 실시하는 예를 많이 볼 수 있던[29].미시마사는 무로마치 막부・가마쿠라 구보로부터도 독실한 숭경을 받았기 때문에, 샤료 기부가 종종 되고 있던[29].
전국시대에는 당지를 치료한 고호죠우시의 보호를 받아 고호죠우시에게서는 축조의 지원도 행해진[30].에이로쿠 11년(1568년)의 갑상준삼국 동맹 해소에 수반해 당지는 대타케다씨의 최전선이 되었기 때문에, 종종 병화를 당했다고 여겨지는[30].고호죠우시는 적극적으로 미시마사의 축조를 지원했지만, 그것이 고호죠우시에게 있어서의 무거운 짐이 되었다고도 말해지는[30].
에도시대, 에도 막부에서는 문녹 3년(1594년)에 샤료 330석이 기부 된(토지 분할은 제주 100석, 고마도우 25석, 오사카베 대부 20석, 관청 근무면 25석, 소우자인 55석등 )[30].게이쵸 9년(1604년)에는 게다가 200석이 더해지고 에도시대를 통해서 합계 530석을 가지고 있던[30].
근대 이후
메이지 유신 후, 메이지 4년(1871년)에 근대 사격 제도에 대해 국가에서 일정한 격식의 신사에 타이샤에 참석해, 「미시마 신사」라고 칭한[18].전후는 「미시마타이샤」라고 개칭해, 신사본청의 별표 신사에 참석하고 있다.
신계
- 육국사에 있어서의 신계봉서의 기록[7][31]
- 헤이안초기의 연호 9년(832년) 5월 22일, 나고야와 코베에 맡는( 「일본서기의 현존최고 주석서」소 인 「일본 후기」전해지지 않는 글)[원 6][주 3] - 표기는 「미시마신」.
- 가죠 3년(850년) 10월 7일, 종고이상( 「일본 몬토쿠 천황 실록」)[원 9] - 표기는 「미시마신」.
- 인수 2년(852년) 12월 15일, 종4위하( 「일본 몬토쿠 천황 실록」)[원 10] - 표기는 「미시마 대신」.
- 헤이안 초기의 연호 원년(854년) 6월 26일, 종4위하( 「일본 몬토쿠 천황 실록」)[원 15] - 표기는 「미시마 대신」.인수 2년 기사와 내용은 중복.
- 천안 3년(859년) 1월 27일, 종4위하로부터 종4위상( 「일본 삼대 실록」)[원 11] - 표기는 「미시마신」.
- 죠간 6년(864년) 2월 5일, 종4위상으로부터 마사시위하( 「일본 삼대 실록」)[원 12] - 표기는 「미시마신」.
- 죠간 10년(868년) 7월 27일, 마사시위하로부터 종삼위( 「유취국사」)[원 13] - 표기는 「미시마신」.
- 육국사 이후
- 정일위( 「이즈노쿠니 신계장」) -표기는 「미시마 신의 이름 밑에 붙이는 칭호」.
년 | 미시마신 | 아와명 (본후) | 물기나명 (아와명의 아이) | 이코나비명 (후후) |
---|---|---|---|---|
832년 | 나고야와 코베 (종고이하?)[주 3] | -- | -- | 나고야와 코베 (종고이하?)[주 3] |
838년 | (코즈시마 분화) | |||
840년 | -- | 무위 →종고이하 | 무위 →종고이하 | -- |
850년 | 종고이상 | 종고이상 | 종고이상 | 종고이상 |
852년 | 종4위하 | 정고이하 | 정고이하 | 정고이하 |
854년 | 종4위하 | 정고이하 | 정고이하 | 정고이하 |
859년 | 종4위하 →종4위상 | -- | -- | -- |
864년 | 종4위상 →마사시위하 | -- | -- | -- |
868년 | 마사시위하 →종삼위 | -- | -- | -- |
신명부 | 나고야와 코베대 | 나고야와 코베대 | 나고야와 코베대 | 나고야와 코베대 |
신계장 | 정일위 | 일품 | 정일위? [주 5] | 일품 |
신관
미시마타이샤의 제주직은, 이즈노쿠니조의 후예를 칭하는 야타베씨(나 먹어 해)가 대대 세습하는[33].
이즈노쿠니조에 대해 「선대구사본기」[원 16]으로는, 진구 고고때에 젊은 건명(원인가 사나워져 마셔 일)이 쿠니조니임지라레타 라고 하여, 이 젊은 건명은 모노노베련조・천모명(엿의 미호 이 봐 일)의 8세손이다고 하는[34].야타베씨에게 전해지는 계도 「이즈노쿠니조이즈숙녜계도」로는, 초대에 천모명, 제9대에 젊은 다기명(젊은 건명을 가리킨다)을 기재하는[33].
야타베씨는, 원래는 쿠사카베 곧(풀벽이 내려 쿠사카베씨)에서 만났다고 여겨지는[35].「속일본기」에서는 나라시대의 연호 14년(742년)[원 17]에 외종7위하의 쿠사카베 곧 익인(마스사람;계도로는 제19대)이 「이즈노쿠니조이즈 곧(있지 않고의 지방관 있지 않고가 내려 이즈씨)」성을 받은[35].또, 보귀 2년(771년)[원 18]에 외종고이하의 이즈노쿠니조이즈 곧 호미나(그대인;계도로는 익인의 아이)가 종고이하를 받았다고 기재되는[35].
계도에 의하면, 그 후예의 이즈관성( 제30대)이 미시마 제주가 된 이후, 대대 미시마사의 제사에 종사했다고 하는[33].이즈구항( 제33대)때에는 구항에 아이가 없었기 때문에, 남동생 쿠니모리( 제34대)가 「동 제주 고로 대부」를, 막내 아우의 정성이 「서코베주시로 대부」를 칭하고 후를 이은[36].고와 5년(1103년)의 쿠니모리의 미야지 보임을 나타내는 문서는 현재에도 남아 있는[33](다만 검토 여지가 있는 사료로 여겨지는[7]).그 다음은 도쿄대학부・서대부가 줄서서 미시마사의 사무를 분담해, 서대부는 니노미야 하치만신을 모신 신사의 제주도 겸무했다고 하는[36].도쿄대학남편과 서대부는 대대 계승되었지만, 남북조기 이후는 서대부는 몰락해 도쿄대학남편만된[36].이후의 제주직은 도쿄대학남편의 세습이 되어, 일족은 겐로쿠 연간(1688년-1704년)에 성을 「야타베」로 고친 다음, 현재의 미야지( 제70대)에 이르고 있는[33].
사승으로서는 번뇌원(베츠토우), 대덕원・룡보원・법쇼인(역승)의 4 탑두가 있던[18].또, 진구우지에게는 「코쿠분지」의 칭도 보이는[37].
신전 축조
미시마타이샤는 원래는 시모다시 시라하마에 소재했다고 한다.「일본 후기」전해지지 않는 글[원 6]으로는 사지에 관한 다음 기재가 있지만, 이것은 시라하마 진좌시의 묘사로 여겨진다.
" | 이즈노쿠니 말씀을 올림.미시마신.이코나비신.2전예나고야와 코베.차신색후카야최고엄.평조지지.2천정허.작신궁2원.연못3곳.신이지사.불가승계. | " |
—「일본 후기」전해지지 않는 글 헤이안초기의 연호 9년 5월 22일조[31] |
미시마시역으로의 소재를 나타내는 최고의 사료는 「아즈마카가미」지쇼 4년(1180년) 기사[원 4]인[19].가마쿠라 시대의 「한결같은 성회(한결같은 고승회전)」 제6권에서는, 홍안 5년(1282년)에 한결같은이 참예 했을 때의 누문・배전・누문(칸도)・폐전・본전으로부터 되는 신전이 그려져 있는(다만 「한결같은 성회」에는 건축 사학적으로 의의가 있다)[37].현재, 그 모습은 미시마타이샤 호모쓰칸에 모형으로 재현되고 있다.
가마쿠라 시대 이후의 문서로 보이는 축조・수복 연차는, 문치 3년(1187년), 겐에이 원년(1206년), 가테이 원년(1235년), 문영 9년(1272년), 쇼안 4년(1302년), 가랴쿠 4년(1329년), 연문 3년(1358년), 오안 3년(1370년), 에이토쿠 2년(1382년), 오에이 13년(1406년), 오에이 25년(1418년), 다이에이 6년(1526년), 게이쵸 9년(1604년), 에도초기의 연호 13년(1636년), 쇼오 3년(1654년), 간분 11년(1671년), 쇼토쿠 원년(1711년), 호레키 5년(1755년), 야스나가5년(1776년), 너그러운 정치 8년(1796년), 문화 9년(1812년), 에도말기의 연호 3년(1832년), 케이오 4년(1868년), 타이쇼 12년(1923년), 쇼와 10년(1935년)[38].
상기의 쳐 특히, 에도 막부 3 대장군・도쿠가와 이에미쓰에 의한 에도초기의 연호기의 축조로 대규모 신전이 정돈된[38].그 후의 에도기의 신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료는 많아, 그림으로는 오층탑이나 고마도우・경장이라고 하는 불교 시설도 보인다.그러나 요시나가 7년(안정 원년, 1854년)에 발생한 안정 토카이 지진에 의해서 대부분은 도괴했기 때문에, 신전은 에도막부 말기의 케이오 4년(1868년)에 걸쳐 재건된[39].그 다음은, 타이쇼 12년(1923년)의 관동 대지진, 쇼와 5년(1930년)의 북 이즈 지진에 의한 피해의 수복을 거치고 현재에 이르고 있는[39].
경내
경내의 넓이는 14,057평(4.6 헥타르)[40].그 밖에 경계 외지로서 약 2,200평(0.72 헥타르)을 소유하는[40].
신전
(나라의 중요문화재)
주요 신전은, 본전・폐전・배전으로부터 되는 곤겐조의 복합 신전이다.타이샤측에서는 이것들을 「저택(투덜거리지 않아)」이라고 총칭한다.모두 에도시대 말기의 요시나가 7년(안정 원년, 1854년)의 안정 토카이 지진 후에 재건된 것으로, 케이오 2년(1866년) 9월 9일에 락 이루었다.경내에 있는 주된 건조물도, 동시기의 메이지 원년(1868년)에 걸친 재건이다.[41]
신전의 형식은, 에도초기의 연호 연간(1624년-1645년)의 도쿠가와 이에미쓰 축조시를 답습한 것으로 여겨진다.본전은 미마사류조로, 동카와라부키.폐전은 도리 간수 미마, 량간 일실, 홑겹, 양하조로, 동판즙.배전은 도리 간수7간, 량간4간, 홑겹, 입안방조, 정면 물떼새 파풍 첨부, 향배 미마, 채곡선형으로 된 박공 첨부로, 동카와라부키.본전・폐전・배전 모두 총거시라키조로, 국내 유수한 규모의 신전이다.또 본전겨드랑이 미닫이의 진구 고고의 설화에 근거하는 조각을 시작으로 하고, 본전의 내법상의 소벽, 본전과 배전의 마고등의 요소에 조각이 베풀어지고 있지만, 이것들은 이즈노쿠니 명공 오자와희도, 스루가노쿠니 명공 고토 요시오사무양이 서로 경쟁해 완성시킨 것이라고 한다.이것들 신전 3전은, 에도시대를 대표하는 건조물이다고 하여 나라의 중요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42][43][41]
배전전에 지어지고 있는 무전(부 나오지 않아)은, 본전등과 동시기의 케이오 2년(1866년) 12월 18일의 재건.옛날에는 「불전」이라고 불리는 카라키 기도를 실시하는 장소에서 만났지만, 후에 무용의 봉납이 주가 되었으므로 「무전」이라고 칭해지게 되었다고 한다.현재는, 무용외 각종 제사에서도 사용된다.무전에는, 중국・원대에 곽거경편찬의 「24효」를 기본으로 한 조각이 순등 되고 있다.이 무전은 미시마시 지정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44][45]
칸도(해 도 )도 또한, 본전등과 동시기의 케이오 3년(1867년) 8월 10일의 재건.저택과 같이 총거조이다.무전과 함께 미시마시 지정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46][45]
그 외 , 경내에는 진바사(전후 완성), 총문(저택의 가장 바깥쪽의 문)(쇼와 6년(1931년) 완성), 구총문(저택의 가장 바깥쪽의 문)의 예능전(케이오 4년(1868년) 2월 11일 완성), 영빈관등의 신전이 있는[45].
사 총
저명한 노목으로서 칸도내에 킨모크세이(금목서)가 있다.이 수목은 우스기모크세이(박 노랑 물푸레 나무)의 웅목으로, 수령 약 1,200년, 나무의 높이 10미터 이상을 측정하는 노목・거목이다.「2도 피어」의 성질을 가지지만, 특히 2번째의 9월 하순부터 10 월상순에 있어서는 담황색의 꽃으로 만개가 된다.이 킨모크세이는 나라의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자세한 것은 「미시마 신사의 킨모크세이」를 참조).[47][48]
또, 경내에 퍼지는 고장을 지키는 신 숲은 「미시마타이샤사총」으로서 미시마시 지정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49]
그 외
- 카미케(영묘한 지혜) -「아즈마카가미」[원 19]에 의하면 미나모토노요리토모가 이 연못에서 방생회를 행했다고 하는[50].「한결같은 성회」에서도 그려져 있는[50].
- 신시카조노(해 여섯 엔)
- 뢰조의자석, 호조 마사코 의자석-진바사의 근처에 소재.
- 우석(소 있어 해) -미시마 시치코쿠의 하나.사무소 근처에 소재.
- 저주석-옛날은 토카이도에 있어 교통 정리의 역할을 담당했다고 하는[51].경내 입구 근처에 소재.
섭말사
현재의 섭말사는, 섭사 2사・말사 13사의 합계 15사(모두 경내사)[40].옛날에는 그 밖에도 다수의 섭말사가 있었지만, 현재는 사실상 독립하고 있는[40].
섭사
- 와카미야 신사
- 「원인가 봐나 신사」.옛날에는 「하치만신을 모신 신사」 「와카미야 하치만신을 모신 신사」 「와카미야사」등이라고도 칭해진[52].제신의 물기나내명은 미시마신의 미코가미에서, 코즈시마의 모노이미나노미코토 신사의 제신이다.
- 옛날에는 「원트신」이라고 불린 지주신으로, 타이샤서쪽의 니노미야마을에 자리잡았다고 한다(니시와카쵸의 와카미야 신사 부근이라고 추정.이전 시기 불명)[53][36].샤케는 서대부로, 「아즈마카가미」[원 19]로는 「니노미야 하치만신을 모신 신사」에 료소를 첨부스기사가 보이는[54].가마쿠라 시대 중기의 서대부 몰락과 함께 쇠퇴, 후 「와카미야」라고 칭해지게 되어, 한층 더 타이샤 경내에 옮겨진[54].이 천좌와 함께 산노미야의 아사마 신사가 니노미야에 격상되었다고 하는[54].현재의 신전은 케이오 4년(1868년) 8월 20일의 재건[52].
- 사지 이전에 관한 전승으로서 미시마신이 지주신의 와카미야 야와타에 고일파분만의 토지를 양보하도록 부탁해, 와카미야 야와타가 승낙하면, 미시마신은 고속을 풀어 한 개씩 고리로 해 광대한 사지를 점유 하기에 이르렀다고 전해지는[19].
- 용모 신사
-
- 제신:반시뱀비매명, 구이도비명, 이가모비명, 좌기타마비명, 이나미내비명, 우파이명-미시마신의 후신 6기둥.총칭해 「용모 6기둥」이라고도[53].
- 예제:11월 14일
- 「보는 째신사」.6기둥은 미시마신의 후신으로, 「용모(봐 째)」란 「왕비(봐 째)」를 의미한다고도 말해지는[55].옛날에는, 본사 예제의 전전 일에 막부로부터 봉헌된 옥렴을 용모 신사의 앞에서 건네주는 의례를 했다고 하는[52].현재의 신전은 케이오 4년(1868년) 9월 3일의 재건[52].
말사
- 동 5사
- 무전의 동방에 자리잡아 다음 5사를 모신다.제신은 모두 미상.
- 서5사
- 무전의 서방으로 자리잡아 다음 5사를 모신다.동 5사같이, 제신은 미상.
- 불토카미사
- 「은들 에도신사」.통칭 「포 시마씨」[52].경내 니시카타, 사쿠라카와가 흘러드는 연못 나카노시마에 자리잡는다.당사는 쿠니시에 의해서 이 땅에 봉재 되어 쿠니시의 타이샤 참배때는 반드시 당지에서 불제를 행했다고 하는[52].「한결같은 성회」로는 상당한 규모의 신전이 그려져 있는[52].현재의 신전은 쇼와 11년(1936년) 7월 8일의 개축[52].본전은 신사 건축 양식, 배전은 입안방조[52].
- 이쓰쿠시마 신사
-
- 제신:시저 시마희명。
- 예제:1월 1일
- 경내 남방의 카미케 나카노시마에 자리잡는다.호조 마사코의 권청이라고 전하는[52].
- 이즈영혼 신사
- 「이즈타진심응이다」.이즈 출신의 전몰자 2372기둥을 모신다.
원섭말사
일찌기 미시마타이샤에 속한 섭말사.아래와 같이는 모두 타이샤경외에 소재하는 원섭사에서, 현재는 독립한다.
미시마타이샤의 원섭사(이하로 모두일까는 불명)[57].
- 아사마 신사
- 「선언 신사」.옛날에는 미시마타이샤8소 별궁의 1소에서 만난[58].진묘쵸우에 기록되어 있는 일사 「이가모비매명신사」론사로 거론되지만, 유력시는 되어 있지 않다.이즈산 신사의 본지불・11면센쥬천안관음의 불명 「선언」으로부터 「아사마」의 칸나에 전와 했다고 여겨지는[56].이 아사마 신사는 원래는 산노미야였지만, 니노미야 하치만신을 모신 신사가 타이샤 경내에 천좌시라고 후니노미야가 되었다고 하는[54].예제는 7월 15일・16일[59].
- 6곳 왕자 신사
-
- 진좌지:미시마시 히노데초6-90(위치)
- 제신:미시마신의 미코가미 6기둥
- 사격:신계장 「정고이상 6곳 왕자」
- 「여섯 짊어지자 자인이다」.칸나는 자세하지 않고, 미시마신의 미코가미이다라는 봐 전해지는[60].
- 양원신사
- 「이네기는들 신사」.옛날에는 미시마타이샤8소 별궁의 1소에서 만난[61].일설에, 양원신사의 땅이 스루가노쿠니에 편입된 것에 의해 나카지마에 천사, 후같은 곳에 도쿠가와 이에미쓰가 저택을 영위하기에 즈음해 현재지에 천좌했다고도 말하는[63].경내에는 미시마 시치코쿠의 하나 「와석」이 있는[63].예제는 7월 5일[59].
- 히로세 신사
- 「히로 세인이다」.락수원내의 연못 나카노시마에 자리잡는[63].일대가 코마츠노미야의 별저가 되었으므로 한때는 아사마 신사 경내에 천좌했지만, 후락수원이 공원이 되는 것과 동시에 원내에 재건된[63].예제는 7월 14일(락수원의 공원 기념일)[64].
- 일우신사
- 「히먹신사」.옛날에는 미시마타이샤8소 별궁의 1소에서 만난[59].예제는 5월 15일[61].
- 천신사
- 「바꾸지 않아는」.메이지 24년(1891년)에 부근의 야와타사・아타고사・곡신 신사・야마가미사를 합사[66].예제는 9월 25일[66].
- 와카미야 신사
-
- 진좌지:미시마시 니시와카초8-7(위치)
- 제신:혼다 별명
- 사격:구촌사(마을의 수호신을 모신 당)
- 「원인가 봐나 신사」.쿠니시 권청의 하치만 신사이면 좋은 「와카미야 하치만신을 모신 신사」라고 칭해진[67].경내 섭사의 와카미야 신사와의 관계는 미상( 「증정 즈슈지고」로는 언급 없음).타이쇼 11년(1922년), 같은 쿠니시 권청이라고 전하고 있던 천신사를 합사[68](현재는 경내사).예제는 5월 15일・16일[68].
- 카모 카와카미사
- 「카모가와 신사」.옛날에는 「기온사」라고 칭해진[58].타이쇼 4년(1915년)에 미야마치의 10 기둥 신사를 합사해 「카모 카와카미사」라고 개칭한[61].미시마타이샤 및 미시마 숙소의 귀문(도호쿠)의 신으로서 숭경되는[61].7월 8일에 미시마타이샤의 무전에 천황의 행차 해, 7월 15일에 미시마의 악역제를 실시하는 제사가 옛부터 행해지고 있는[61].예제는 4월 10일[58].
- 다가 신사
- 「타가 신사」.옛날에는 「타가와 신사(전하신사)」라고도[64].예제는 10월 15일[64].
- 우내 신사
- 「우 없는 신사」.진묘쵸우에 기록되어 있는 일사 「아미 도뢰기다지명 신사」또는 「이나미□별명 신사」의 론사로 거론되지만, 유력시는 되어 있지 않다.좌내 신사와 함께 미시마타이샤의 고몬 수호신[69].양 회사는 시모다 가도의 좌우에 자리잡았다고 하는[69].예제는 10월 18일[69].
- 좌내 신사
-
- 진좌지:미시마시 나카지마자 서쪽310-2(위치)
- 제신:아미 도뢰기다지명
- 사격:진묘쵸우에 기록되어 있는 일사 「아미 도뢰기다지명 신사」론사, 진묘쵸우에 기록되어 있는 일사 「부이신사」론사, 구촌사(마을의 수호신을 모신 당)
- 「없는 신사」.우내 신사와 함께 미시마타이샤의 고몬 수호신[69].아래는 나카지마자 소노다에 자리잡았지만, 메이지 19년(1886년)의 화재에 의해 현재지에 천좌한[69].예제는 7월 17일[69].
제사
연간 제사
예제
미시마타이샤의 예제(레 있어 차이)는, 매년 8월 16일에 행해진다.예제 자체는 16일이지만, 각종 제사가 15일의 섭사・와카미야 신사의 예제에 시작해 17일까지 거행해지는[71].미시마타이샤에서는 옛부터 4월・8월・11월의 2의 서일에 대제를 했지만, 아키하루에 들어와 특히 8월의 제가 예제에 정해진[71].4월・11월의 제는, 현재도 「서제」로서 계속 되고 있다.8월 15일부터 17일의 3일간은 미시마시내에서도 「미시마 여름 축제」라고 칭하고, 미나모토노요리토모의 출진을 본뜬 행렬이 개최되는 것 외에 장식한 수레가 나와 「미시마잡자(미시마바야자)」(시즈오카현 지정 무형 민속 문화재)이 피로되는 등 가장 활기를 보이는[71].
특수 제사
- 밭갈이 제사
- 1월 7일。정월에 오곡풍양을 비는 예축제사.본전에서 「전제」를 행한 후 무전으로 실시한다.제사로는 무용 저택의 안앙에 황 오히려를 깔고 타도코로로 해, 토우치에 시작해 파종이나 정월보름새벽의 새몰이까지를 모의적으로 연기한다.종반으로는 천둥소리로서 북을 울려 소나기를 당하는 소행을 실시한다(기우를 의미한다).이 제사로부터, 미시마신에 농경신의 성격을 보는 지적도 있다.제사는 시즈오카현 지정 무형 민속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72][73]
- 농작물의 풍흉을 점침 제사
- 1월 15일。「죽안 믿어」.신년에 작물의 수확을 점치는 제사.제사의 전에는 「팥죽제」로서, 팥의 죽안에 떡을 나누어 넣어 각종 신찬과 함께 올리는 제를 실시한다.그리고 농작물의 풍흉을 점침으로서 이 죽안에 작물의 이름을 쓴 시노타케의 통을 넣어 밥해, 죽통에의 죽의들이 상태로부터 작물의 수확 운세를 실시한다.[74]
- 봉 쏘아 맞혀 제사
- 1월 17일。「편사진글자」.신년에 못된 병 해산을 비는 제사.본전에서 「봉 쏘아 맞혀 제」를 행한 후 사격장에서 실시한다.제사로는 대적으로 화살을 발사하고 평온을 빈다.제사의 뒤에 대적을 찢어내 재난 없애의 부적으로 하는 습관이 있다.[75]
- 잡귀를 쫓기 위해 활시윗소리를 식
- 절분의 날。「째 있어 원지나무」.악령 해산을 비는 제사.본전에서 「입춘 전날밤 볶은 콩을 뿌려 악제」를 행한 후 무전으로 실시한다.제사로는 무용 저택의 안앙에 제단을 마련해 축사 주상의 후활의 현을 울린다.이것에 의해서 악의가 불 깨진다고 한다.[76]
- 말을 달리며 활을 쏘아 과녁 맞 제사
- 8월 17일(예제 다음날).천하 태평・오곡풍양을 빌어 말을 달리며 활을 쏘아 과녁 맞을 봉납하는 제사.제사는 헤이안 시대부터 계속 되면 좋은, 기록에서는 미나모토노요리토모가 문치 원년(1185년) 6월에 말을 달리며 활을 쏘아 과녁 맞을 봉납했던 것이 보인다.옛날에는 4월・8월의 서제와 6월 20일의 연 3회 행해졌다고 하지만, 메이지 초년에 폐절 했다.그 후 쇼와 59년(1984년)에 재흥 되고 현재에 이르고 있다.[77]
문화재
국보
- 매화 금칠한 그림 손궤일구(공예품)
- 가마쿠라 시대, 미나모토노요리토모의 아내・호조 마사코의 봉납과 전해지는 손궤.세로 25.8 센티미터, 옆 34.5 센티미터, 높이 19.7 센티미터로, 대표적인 가마쿠라 시대의 금칠한 그림 공예품이다.궁합조의 상자로, 뚜껑에는 갑번화가가 있어, 전형적인 카마쿠라기의 손궤의 기형을 나타낸다.개표와 몸측면에는 옻칠 위에 금 칠한 것(있어 족자)[주 6]에 매수, 궤장, 비안, 물새등을 금은박 그림으로 나타내, 매화꽃에는 은의평문(우박도 )[주 7]을 이용한다.개표에는 그림중에 잊혀지도록(듯이) 은의평문으로 「영・전・금・장・안・행」의 6 문자가 가라앉혀지고 있지만, 이것은 백거이(백낙천)가 친구와 승진을 이룬 경사를 쓴 한시( 「백씨문집」수록)의 시의 의미를 나타낸 것이어, 「영전금장화련 꽃받침채동능포안추행」(영은 금장을 전언꽃은 꽃받침을 련(개등) 자거나 채는 능포를 움직여 기러기는 행을 추() 우」라고 하는 싯귀에 유래한다.
- 손궤내에는 이하의 내용품(화장 도구) 일식을 납입할 수 있고 있어 이것들도 상자와 함께 국보로 지정되어 있다.
- 백동거울 1면, 금칠한 그림경상 1합, 금칠한 그림치흑상 2합, 금칠한 그림 백분상자 1합, 금칠한 그림훈물 상자 2합, 나전빗 18장, 나전빗잔결 4장, 평상투 2개, 은축립스틱 솔 1개, 은축미작 1개, 은가위 1개, 은섭 1개, 은계 1개, 은발식 4장(부:은국형원 1구, 금동 선형상자 1합, 금동국문상 1합, 꼰 끈 잔결 1철, 봉투 잔결 1철)
- 이 손궤는, 카마쿠라기에 성행하는 금은박 그림의 기법을 구사한 이 시대를 대표하는 옻나무 공예품이며, 내용품을 간직하는 손궤로서는 현존 최고의 것이다.메이지 33년 4월 7일에 당시의 후루야시로절보존법에 근거해 국보로 지정, 쇼와 27년 11월 22일에 문화재 보호법에 근거해 국보로 지정.[78][79][80][81][82]
- 현재는 도쿄 국립 박물관에 기탁중에서, 미시마타이샤 호모쓰칸에는 3년반 걸쳐 재현된 복원품이 전시되고 있다.
중요문화재(나라 지정)
- 본전, 폐전 및 배전(부공사의 내용을 적은 패 1장)(건조물)
- 칼명종충(공예품)
- 가마쿠라 시대 초기, 비젠국 후쿠오카 한 글자파의 종충에 의한 일본도.인장 81.8 센티미터로, 헤이안 시대 말기의 풍조를 남긴다.본도는, 메이지 20년에 구궁내성으로부터 미시마타이샤에 기부 된 것인.메이지 45년 2월 8 히사시정.[84][85][86]
- 단도명미시마 신의 이름 밑에 붙이는 칭호 타인불여지사다하루 3년 후지와라우행(공예품)
- 호신용 단도명사가미노쿠니주추의이즈 미시마 신의 이름 밑에 붙이는 칭호봉배사토송천세정성(공예품)
- 카미모토묵서 반야 심경 미나모토노 요리이에붓(서적)
- 미시마타이샤 야타베가 문서 592통(고문서)
나라의 천연기념물
- 미시마 신사의 킨모크세이 쇼와 9년 5월 1 히사시정.[97][47]
시즈오카현 지정 문화재
- 유형 문화재
- 일본 서기 및 구서(서적)
- 무로마치 시대, 오에이 35년(1428년, 쇼쵸 원년)의 봉납으로, 「미시마 오늘 본서기」라고 칭해진다.「일본 서기」는 전30권으로부터 완성되지만, 본서에서는 권 1으로부터 권 3까지(일본의 신화 시대상, 일본의 신화 시대하, 진무 덴노기)와 구서 3권(나카진불해제・신구 결정, 21사 수호기)이 보존된다.유출부의 일부는 국학원대학도서관에 있다.양해・쾌존・중존・진존(조필) 등 4명이 오에이 35년(1428년)에 타이샤에 일정 기간 머물며 기도하고 서사를 실시해, 원주・시주의 원본이 봉납했다고 보여진다.쇼와 24년 4월 13일에 나라의 중요미술품에 인정[98], 쇼와 55년 11월 28일에 시즈오카현 지정 유형 문화재로 지정.[99][100]
- 일본 서기 및 구서(서적)
- 무형 민속 문화재
- 미시마타이샤의 토우치-쇼와 47년 3월 24 히사시정.[101][102]
미시마시 지정 문화재
- 유형 문화재
- 천연기념물
- 미시마타이샤사총-헤세이 3년 3월 4 히사시정.[49]
그 외
관계 사항
미시마묘예신
위 | 국군 | 진묘쵸우에 기록되어 있는 일사수 | 시골 평균 |
---|---|---|---|
1 | 이즈모노쿠니 이즈모군 | 58좌 | 7.25좌 |
1 | 이세노쿠니 와타라이군 | 58좌 | 4.46좌 |
3 | 야마토국 타카이치군 | 54좌 | 7.7좌 |
4 | 이세노쿠니 타키군 | 52좌 | 7.43좌 |
5 | 이즈모노쿠니의우군 | 48좌 | 6.0좌 |
6 | 이즈노쿠니 카모군 | 46좌 | 9.2좌 |
6 | 오미국 이카군 | 46좌 | 5.75좌 |
8 | 에츠젠국 츠루가군 | 43좌 | 7.0좌 |
고대, 이즈노쿠니의 제사에는 거듭되는 이즈제도의 화산활동이 깊게 관계했다.그 활동은 7 세기 중반부터 8 세기 처음에 걸쳐와 9 세기에 각각 피크를 맞이했다고 여겨지는[108].당시의 화산활동은 사람들에게 있어서 중대한 관심사로, 그 분화는 신의 업이라고 보여지고 있던[108].그 때문에, 이즈노쿠니에서는 화산에 관련한 다수의 신사가 모셔지는 것과 동시에, 점의 기술도 발달한[109].
당시의 제사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료로서 헤이안 시대의 「엥기식」신명부가 있다.동장으로는 이즈노쿠니에 전국 9 위상 바로 그 92좌의 진묘쵸우에 기록되어 있는 일사를 싣지만, 1군 근처로 했을 경우에는 진묘쵸우에 기록되어 있는 일사가 많은 일로 알려진 이세노쿠니・이즈모노쿠니도 크게 웃도는[110].이즈노쿠니에서도 특히 카모군(이즈 반도 남부와 이즈제도)이 중요시되었다고 보여져 카모군에는 이즈노쿠니의 반수의 46좌가 기재되지만, 1시골 근처에서 보면 전국에서도 내민 밀도가 되는( 오른쪽표 참조)[107].이 46좌중 20수좌는 이즈제도의 진좌로 여겨지는[110].그러한 신들 중(안)에서도 필두로 자리 매김된 것이 「이즈 미시마 신사」, 현재의 미시마타이샤인[110].「미시마」란 「섬」의 이유로 여겨지도록(듯이), 「미시마신」이란 이즈제도 전체를 상징하는 신을 의미한다고 여겨지는[110].
미시마신에 대해서는 「속일본후기」[원 1]에 대하고, 본후로서 아와 코우, 아와신의 미코가미로서 물기나내명, 그 외에 후후(이코나비명으로 여겨진다)가 있던 취지의 기재가 있는[110].신명부 기재의 신들도, 동기사와 같이 미시마신의 묘예에 자리 매김되었다고 생각되고 있는[111].신명부로 보이지 않는 묘예신의 연고 관계를 고증하는 사료로서는, 중세에 기록된 「미야케기」가 알려진[111].「미야케기」는 이즈 지방의 신들에 관한 재수・본지물로, 소재의 칸나에게는 신명부와의 일치도 볼 수 있는 것부터, 묘예신의 유추에 사용되고 있다.신명부나 「미야케기」로부터 미시마묘예신과 고증되는 신들의 일람은 다음 대로[112](적자는 여신).현재의 비정사는 각각 「이즈노쿠니의 진묘쵸우에 기록되어 있는 일사 일람」 「미야케기」를 참조.
신분 | 신명부・국사 | 미야케기 |
---|---|---|
미시마신 | 이즈 미시마 신사 나고야와 코베대 | 미시마 신의 이름 밑에 붙이는 칭호 |
근위대 | - | 와카미야 |
- | 검의 자 | |
- | 용모 | |
오오시마의 처자 | 반시뱀비매명신사 아치고명신사 파 치명신사 | 날개 분의대황후 네 곳(타로 왕자) 적은 곳(지로 왕자) |
니이지마의 처자 | 구이도비명신사 다기미카들 생명 신사 | 미토의 입의 대황후 오미야 왕자(다이조우 왕자) 남동생3 왕자 |
코즈시마의 처자 | 아와생명 신사 나고야와 코베대 모노이미나노미코토 신사 나고야와 코베대 | 나가하마의 어전 끊지 않는다 타우 없다 |
하치죠지마의 처자 | 우파이명신사 허지기명신사 | 88의 황후 고로 왕자 |
미쿠라지마의 처자 | 모신미상 이대□화기생명 신사 | - |
토시마의 처자 | 모신미상 아두사와기명신사 | - |
신분 | 신명부・국사 | 미야케기 |
---|---|---|
미야케지마의 처자 | 이코나비명신사 나고야와 코베대 아미 츠와기명신사 수도사와기명신사? | 천지 이마미야의 황후 팥고물이군요 있어(밥왕자) 만이군요 있어(술왕자) |
이가모비매명신사 | 가 있어의 황후 4자(명칭 불명) | |
이나미내비명신사 | 니노미야 어전 원한자 니노미야 | |
좌기타마비명신사 남자 생명 신사 가미명신사 야스생명 신사 □양명신사 지리태의명신사 히사요시혜명신사 편관명신사 파 야지명신사 | 하치오지의 남의 어머니를 부르는 경어 돈 야스 (이)라고 있어 순서 쿠라 분 굉장히 거치지 않는 두 |
년 | 기사 내용 | 원전 | |
---|---|---|---|
분화 관계 | 제사 관계 | ||
649년 | 이즈의 「흥도」가 분화한다, 라고 하는[주 9] | 「이즈노쿠니 미시마 제주 계도」 | |
680년 | 북과 같은 소리가 동방으로부터 들린다, 라고 한다 | 「일본 서기」텐무천황 9년(680년) 2월 18일조 | |
伊豆国が駿河国から分立か | 『扶桑略記』天武天皇9年(680年)7月条 | ||
戌刻から子刻にかけて東方が明るくなる、という | 『日本書紀』天武天皇9年(680年)11月3日条 | ||
684年 | 夕方、東方に鼓のような音が鳴る、 伊豆の島の西北二面が隆起して1つの島となる、 鼓のような音は神がこの島を造る音か、という | 『日本書紀』天武天皇13年(684年)10月14日条 | |
704年 | 伊豆大島が噴火する、という | 矢田部宿禰金築を三島神主とする、 神官を興島から大島に移す、という | 「이즈노쿠니 미시마 제주 계도」 |
742年 | 日下部直益人に伊豆国造伊豆直姓を与える | 『続日本紀』天平14年(742年)4月10日条 『伊豆国造伊豆宿禰系図』 | |
758年 | 三島神に封戸13戸 | 『新抄格勅符抄』10 大同元年(806年)牒 | |
832年 | 旱害があり、内裏の占いで伊豆国の神の祟が原因とされる | 『日本後紀』逸文天長9年(832年)5月19日条 (『日本紀略』・『釈日本紀』所引) | |
三島神・伊古奈比咩命を名神となす | 『日本後紀』逸文天長9年(832年)5月22日条 (『釈日本紀』所引) | ||
838年 | 上津島(神津島)噴火 | 『続日本後紀』承和7年(840年)9月23日条 | |
伊豆・遠江・駿河等16国、降灰を報告 | 『続日本後紀』承和5年(838年)9月29日条 | ||
840年 | 伊豆国、上津島(神津島)噴火後の状況を報告 | 『続日本後紀』承和7年(840年)9月23日条 | |
阿波神・物忌奈乃命に従五位下 | 『続日本後紀』承和7年(840年)10月14日条 | ||
841年 | 伊豆国の地震等の祟により、神功皇后陵等に宣命使を派遣 | 『続日本後紀』承和8年(841)5月3日条 | |
同上について、伊勢神宮にも宣命使を派遣 | 『続日本後紀』承和8年(841)6月22日条 | ||
伊豆国の地震に対して使いを出して救援 | 『続日本後紀』承和8年(841)7月5日条 | ||
850年 | 阿米都和気命・伊太豆和気命・阿豆佐和気命・佐岐多麻比咩命に従五位下 | 『日本文徳天皇実録』嘉祥3年(850年)6月4日条 | |
三島神に従五位上 | 『日本文徳天皇実録』嘉祥3年(850年)10月7日条 | ||
伊古奈比咩命神・阿波神・物忌奈乃神に従五位上 | 『日本文徳天皇実録』嘉祥3年(850年)10月8日条 | ||
伊古奈比女・安房・物忌奈三神を官社となす | 『日本文徳天皇実録』嘉祥3年(850年)11月1日条 | ||
852年 | 三島大神に従四位下、 阿波咩命神・物忌寸奈命神・伊古奈比咩命神に正五位下、 阿米都和気命神・伊太豆和気命神・阿豆佐和気命神・波布比咩命神に従五位上 | 『日本文徳天皇実録』仁寿2年(852年)12月15日条 | |
854年 | 三島大神に従四位下、 阿波咩命神・物忌奈命神・伊古奈比咩神に正五位下、 阿米都和気命神・伊太豆和気命神・阿豆佐和気命神・波布比咩命神に従五位上 | 『日本文徳天皇実録』斉衡元年(854年)6月26日条 | |
859年 | 三島神に従四位上 | 『日本三代実録』貞観元年(859年)正月27日条 | |
864年 | 三島神に正四位下 | 『日本三代実録』貞観6年(864年)2月5日条 | |
868年 | 三島神に従三位 | 『類聚国史』16 貞観10年(868年)7月27日条 | |
886年 | 多祁美賀賀神に従五位下 | 『日本三代実録』仁和2年(886年)11月25日条 | |
887年 | 伊豆国、新生島(新島)図を献上 | 『日本紀略』『扶桑略記』仁和3年(887年)11月2日条 | |
927년 | 『延喜式』成立、神名帳では賀茂郡に46座を記載 | 『延喜式』神名帳 伊豆国条 | |
1112年 | 東方鳴動、富士山噴火の噂 | 『中右記』天永3年(1112年)10月22日・23日・24日・29日条 | |
伊豆国から沖合海中の鳴動を知らせる解文 | 『殿暦』天永3年(1112年)11月24日条 | ||
伊豆国の海上神火につき、神祇官・陰陽寮が占う | 『中右記』天永3年(1112年)11月27日条 |
三島暦
三島暦(みしまこよみ)は、三嶋大社の暦師・河合家(大社の下社家とされる)から頒布された暦[115]。起源不詳ながら古くから使用された暦で、伊豆地方を中心に東海・関東・甲信地方に広まった[115]。初出は『空華日用工夫略集』応安7年(1374年)3月4日条[115]、最古の暦は永享9年(1437年)の版暦[115]。
現地情報
所在地
参拝時間
付属施設
- 宝物館
- 開館時間:午前9時 - 午後4時30分(入館受付は午後4時まで)
- 拝観料:一般500円/大学生・高校生400円/小中学生300円
交通アクセス
- 鉄道
- バス
- 沼津登山東海バスで「大社前」バス停下車 (徒歩すぐ)
- 車
- 静岡県道22号三島富士線沿いに三嶋大社駐車場(有料)
- 大晦日から正月三が日、および三島夏祭り期間中(毎年8月15日 - 8月17日)は、境内駐車場は閉鎖(観光バスのみ利用可)。
- 静岡県道22号三島富士線沿いに三嶋大社駐車場(有料)
- レンタサイクル
周辺
- 伊豆国分寺 - 境内には国分寺創建当時の塔跡が残る。
脚注
注釈
- ^ 「御島」が具体的にどの島を指すかについては、伊豆諸島の総称とする説、大島を指す説、三宅島を指す説、大島・三宅島・新島の3島を指す説などがある (静岡県の地名(平凡社) 2000年, p. 90)。
- ^ 祭神2柱の記載は、社誌・公式サイト等における三嶋大社の公式表記による。『増訂豆州志稿』では、主祭神に加えて4柱を配祀するとする。その中で、4柱のうち2柱は伊古奈比咩命・阿波咩命とするが、ほか2柱は未詳という (増訂豆州志稿 巻八上, p. 28) 。
- ^ a b c d e 『日本後紀』逸文の天長9年条に神階叙位の記載は無いが、『続日本後紀』承和7年条の「後后が冠位を授かった」ことに対する本后(阿波命)の怒りの記事から、この頃に従五位下の叙位が推測される (伊古奈比咩命神社(社誌) 1943年, p. 46-48)。
- ^ 奈良時代の木簡では「稲梓郷(いなずさごう)」が見えており、この稲梓郷を踏襲して平安時代に大社郷が成立したとされる (静岡県の地名(平凡社) 2000年, p. 91)。
- ^ 『伊豆国神階帳』記載の「正一位天満天神」が、物忌奈命神社の遥拝所とされる天神社(三嶋大社元摂社)に比定されることによる。
- ^ 沃懸地(いかけじ)とは、漆工芸の技法の一つで、文様の地となる部分に金の細粉を密に蒔き付けたもの。
- ^ 平文(ひょうもん)とは漆工芸の技法の一つで、器面に金、銀などの薄板を文様の形に切り抜いたものを貼付するもの。
- ^ 盗難の時期は、文化庁編『国宝・重要文化財総合目録』(第一法規、1980)および文化庁文化財保護部監修『文化財保護行政ハンドブック 美術工芸品編』(ぎょうせい、1998)p.126、による。
- ^ この「興島(おきのしま)」は、『静岡県史』では三宅島または八丈島に (静岡県史 通史編 1994年, p. 614)、『静岡県の歴史』では三宅島に比定される (三嶋大社(平凡社) 2000年, p. 103)。
原典
- ^ a b c 『続日本後紀』承和7年(840年)9月23日条。
- ^ a b 『延喜式』神名帳 伊豆国賀茂郡条。
- ^ 『続日本紀』天平13年(741年)3月9日条。
- ^ a b c 『吾妻鏡』治承4年(1180年)8月17日条。
- ^ 『新抄格勅符抄』10(神事諸家封戸)大同元年(806年)牒(神道・神社史料集成参照)。
- ^ a b c 『釈日本紀』巻15所引『日本後紀』逸文 天長9年(832年)5月22日条(神道・神社史料集成参照)。
- ^ 『釈日本紀』巻15所引『日本後紀』逸文 天長9年(832年)5月19日条(神道・神社史料集成参照)。
- ^ 『続日本後紀』承和7年(840年)10月14日条。
- ^ a b 『日本文徳天皇実録』嘉祥3年(850年)10月7日条(神道・神社史料集成参照)。
- ^ a b 『日本文徳天皇実録』仁寿2年(852年)12月15日条(神道・神社史料集成参照)。
- ^ a b 『日本三代実録』貞観元年(859年)正月27日条(神道・神社史料集成参照)。
- ^ a b 『日本三代実録』貞観6年(864年)2月5日条(神道・神社史料集成参照)。
- ^ a b 『類聚国史』16(神祇16神位4) 貞観10年(868年)7月27日条(神道・神社史料集成参照)。
- ^ 『延喜式』26(主税上) 出挙本稲条(神道・神社史料集成参照)。
- ^ 『日本文徳天皇実録』斉衡元年(854年)6月26日条(神道・神社史料集成参照)。
- ^ 『先代旧事本紀』「国造本紀」伊豆国造条。
- ^ 『続日本紀』天平14年(742年)4月10日条。
- ^ 『続日本紀』宝亀2年(771年)3月22日条。
- ^ a b 『吾妻鏡』元暦2年(1185年)4月20日条。
出典
- ^ 三嶋大社(社誌) 2001年, p. 3.
- ^ a b 三嶋大社(社誌) 2001年, p. 4.
- ^ a b c d 静岡県の地名(平凡社) 2000年, p. 90.
- ^ 三島郷(角川) 1982年.
- ^ a b c 静岡県の地名(平凡社) 2000年, p. 97.
- ^ 公式サイト & 三嶋大社について.
- ^ a b c d e f g h i j k l m 三嶋大社(平凡社) 2000年, p. 103.
- ^ 伊豆三島神社(式内社) 1981年, p. 5-6.
- ^ a b c 伊豆三島神社(式内社) 1981年, p. 5.
- ^ 伊古奈比咩命神社(社誌) 1943年, p. 19.
- ^ a b c 三嶋大社(国史) 1992年.
- ^ 伊古奈比咩命神社(社誌) 1943年, p. 24.
- ^ 伊豆三島神社(式内社) 1981年, p. 6.
- ^ 神野 三嶋大社(神々) 1987年, p. 289.
- ^ a b c 伊豆諸島(平凡社) 2002年, p. 37.
- ^ 伊豆三島神社(式内社) 1981年, p. 8.
- ^ 三嶋大社(社誌) 2001年, p. 8.
- ^ a b c 三嶋大社(角川) 1982年.
- ^ a b c 神野 三嶋大社(神々) 1987年, p. 286.
- ^ a b 静岡県の地名(平凡社) 2000年, p. 91.
- ^ 『三島市史』を代表とする説(神野 三嶋大社(神々) 1987年, p. 284より)。
- ^ 伊古奈比咩命神社(平凡社) 2000年.
- ^ 伊古奈比咩命神社(社誌) 1943年, p. 44.
- ^ 伊古奈比咩命神社(社誌) 1943年, p. 46-47.
- ^ 伊古奈比咩命神社(社誌) 1943年, p. 47.
- ^ 坂口 物忌奈命神社・阿波命神社(神々) 1987年.
- ^ 中世諸国一宮制 2000年, p. 160,162.
- ^ a b c 三嶋大社(平凡社) 2000年, p. 104.
- ^ a b 三嶋大社(平凡社) 2000年, p. 105.
- ^ a b c d e 三嶋大社(平凡社) 2000年, p. 107.
- ^ a b 神道・神社史料集成.
- ^ 伊古奈比咩命神社(社誌) 1943年, p. 50-52.
- ^ a b c d e 三嶋大社(社誌) 2001年, p. 6-7.
- ^ 『国造制の研究 -史料編・論考編-』八木書店、2013年、p. 79。
- ^ a b c 『日本古代氏族人名辞典 <普及版>』(吉川弘文館、2010年)伊豆氏項。
- ^ a b c d 中世諸国一宮制 2000年, p. 161.
- ^ a b 三嶋大社(平凡社) 2000年, p. 106.
- ^ a b 三嶋大社(社誌) 2001年, p. 60.
- ^ a b 三嶋大社(社誌) 2001年, p. 61.
- ^ a b c d 三嶋大社(社誌) 2001年, p. 62.
- ^ a b 本殿(公式サイト).
- ^ a b 三嶋大社本殿、幣殿及び拝殿 - 国指定文化財等データベース(文化庁)
- ^ 三島市 & 三嶋大社本殿、幣殿及び拝殿.
- ^ 舞殿(公式サイト).
- ^ a b c 境内のご案内(公式サイト).
- ^ a b 三島市 & 三嶋大社舞殿・神門.
- ^ a b 三島市 & 三嶋大社のキンモクセイ.
- ^ 三嶋大社の金木犀(公式サイト).
- ^ a b 三島市 & 三嶋大社社叢.
- ^ a b 三嶋大社(社誌) 2001年, p. 63.
- ^ 三嶋大社(社誌) 2001年, p. 55.
- ^ a b c d e f g h i j k l 境内説明板。
- ^ a b c 増訂豆州志稿 巻八上, p. 34.
- ^ a b c d e f g h i 中世諸国一宮制 2000年, p. 162.
- ^ 増訂豆州志稿 巻八上, p. 5.
- ^ a b c d e f 増訂豆州志稿 巻八上, p. 35.
- ^ 元摂社の記載は『増訂豆州志稿 巻八上』君澤郡節、『三島市史 下』第7章第2節における各社の解説に基づく。各社の読み・鎮座地は、静岡県神社庁の三島市の神社一覧のページ[1]による。
- ^ a b c 三島市誌 下 1988年, p. 558.
- ^ a b c d 各所説明板(三嶋大社境外)。
- ^ 三島市誌 下 1988年, p. 557.
- ^ a b c d e f 三島市誌 下 1988年, p. 559.
- ^ 増訂豆州志稿 巻八上, p. 36.
- ^ a b c d 三島市誌 下 1988年, p. 560.
- ^ a b c 三島市誌 下 1988年, p. 561.
- ^ 増訂豆州志稿 巻八上, p. 38.
- ^ a b 三島市誌 下 1988年, p. 562.
- ^ 三島市誌 下 1988年, p. 554.
- ^ a b 三島市誌 下 1988年, p. 555.
- ^ a b c d e f 三島市誌 下 1988年, p. 569.
- ^ 三嶋大社(社誌) 2001年, p. 35-38.
- ^ a b c 三嶋大社(社誌) 2001年, p. 39.
- ^ 三嶋大社(社誌) 2001年, p. 41-44.
- ^ 神野 三嶋大社(神々) 1987年, p. 290.
- ^ 三嶋大社(社誌) 2001年, p. 44-45.
- ^ 三嶋大社(社誌) 2001年, p. 45-47.
- ^ 三嶋大社(社誌) 2001年, p. 47-48.
- ^ 三嶋大社(社誌) 2001年, p. 48-52.
- ^ 梅蒔絵手箱 - 国指定文化財等データベース(文化庁)
- ^ 三島市 & 梅蒔絵手箱.
- ^ 公式サイト & 梅蒔絵手箱 付 内容品とも.
- ^ 『週刊朝日百科 日本の国宝』86(朝日新聞社、1998)、pp.9 - 189 - 190(解説執筆は奥村徹也)
- ^ 荒川浩和『漆工芸』(カラーブックス579)(保育社、1982)、p.19
- ^ 三島市 & 三嶋大社本殿・幣殿・拝殿.
- ^ 太刀〈銘宗忠/〉 - 国指定文化財等データベース(文化庁)
- ^ 三島市 & 太刀銘宗忠.
- ^ 公式サイト & 太刀.
- ^ 短刀〈表ニ三島大明神他人不与之/裏ニ貞治三年藤原友行ノ銘アリ〉 - 国指定文化財等データベース(文化庁)
- ^ 脇指〈銘相模国住秋義/伊豆三島大明神奉拝佐藤松千代貞成〉 - 国指定文化財等データベース(文化庁)
- ^ 三島市 & 脇差.
- ^ 公式サイト & 脇指.
- ^ 般若心経(源頼家筆) - 国指定文化財等データベース(文化庁)
- ^ 三島市 & 紙本墨書般若心経.
- ^ 公式サイト & 紙本墨書般若心経.
- ^ 三嶋大社矢田部家文書 - 国指定文化財等データベース(文化庁)
- ^ 三島市 & 三嶋大社矢田部家文書.
- ^ 公式サイト & 三嶋大社矢田部家文書.
- ^ 三島神社のキンモクセイ - 国指定文化財等データベース(文化庁)
- ^ 『重要美術品等認定物件目録』(思文閣、1972)、第3部p.28
- ^ 三島市 & 日本書紀並びに具書.
- ^ 公式サイト & 日本書紀並びに具書.
- ^ 三島市 & 三嶋大社のお田打.
- ^ 公式サイト & 田祭・御田打ち神事.
- ^ 三島市 & 三四呂人形.
- ^ 公式サイト & 大太刀.
- ^ 公式サイト & 後水尾院和歌懐紙.
- ^ 公式サイト & 三十六歌仙縫取絵額.
- ^ a b 伊古奈比咩命神社(社誌) 1943年, p. 62-63.
- ^ a b 伊豆国(平凡社) 2000年, p. 75.
- ^ 伊豆国(平凡社) 2000年, p. 75,76.
- ^ a b c d e 伊豆国(平凡社) 2000年, p. 76.
- ^ a b 伊古奈比咩命神社(社誌) 1943年, p. 62.
- ^ 足立鍬太郎 『道守』 伊古奈比咩命神社社務所、1918年、付録31-32。 - 『道守』(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189-190コマ参照。
- ^ 下田市史 資料編 2010年, p. 2-15.
- ^ 伊豆国(平凡社) 2000年, p. 75-76.
- ^ a b c d 三島暦(国史) 1992年.
参考文献・サイト
- 神社由緒書「三嶋大社」
- 境内説明板
史料
- 『増訂豆州志稿 巻八上』 秋山章纂修、萩原正平増訂。
- 『増訂増訂豆州志稿 巻八上』 (PDF) (早稲田大学図書館)参照。
書籍
- 三嶋大社発行書籍
- 『三嶋大社 <略史> (改訂版)』 三嶋大社、2001年。
- 自治体史
- 『三島市誌 上』 三島市誌編纂委員会編、三島市、1988年。
- 『三島市誌 下』 三島市誌編纂委員会編、三島市、1988年。
- 『静岡県史 通史編1』 静岡県、1994年。
- 『下田市史 資料編 1 -考古・古代・中世-』 下田市教育委員会編、下田市教育委員会、2010年。
- 百科事典
- 『角川日本地名大辞典 22 静岡県』 角川書店、1982年。ISBN 4040012208。
- 「伊古奈比咩命神社」、「三嶋大社」、「三島郷」
- 『国史大辞典 第13巻』 吉川弘文館、1992年。ISBN 4642005137。
- 小和田哲男「三島」、岡田芳朗「三島暦」、福田以久生「三島神社文書」、三橋健「三嶋大社」
- 『日本歴史地名大系 13 東京都の地名』 平凡社、2002年。ISBN 4582490131。
- 「伊豆諸島」
- 『日本歴史地名大系 22 静岡県の地名』 平凡社、2000年。ISBN 4582490220。
- 「伊豆国」、「三嶋大社」、「伊古奈比咩命神社」
- 『角川日本地名大辞典 22 静岡県』 角川書店、1982年。ISBN 4040012208。
- 그 외
- 『伊古奈比咩命神社』 伊古奈比咩命神社、1943年。
- 『伊古奈比咩命神社』(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参照。
- 三橋健「三嶋大明神縁起」、『国学院大学紀要』第16巻、国学院大学、1978年、 83-125頁。
- 『式内社調査報告 第10巻』 式内社研究会編、皇學館大学出版部、1981年。
- 梅田義彦「伊豆三嶋神社」、鎌田純一「伊古奈比咩命神社」
- 『日本の神々 -神社と聖地- 10 東海』 谷川健一編、白水社、1987年。ISBN 4560022208。
- 神野善治「三嶋大社」、神野善治「伊古奈比咩命神社」、坂口一雄「物忌奈命神社・阿波命神社」
- 『中世諸国一宮制の基礎的研究』 中世諸国一宮制研究会編、岩田書院、2000年。ISBN 978-4872941708。
- 『伊古奈比咩命神社』 伊古奈比咩命神社、1943年。
サイト
- "미시마타이샤". 三嶋大社(公式サイト). 2014年4月8日閲覧。
- "ホーム > 子育て・教育 > 文化財 > 指定文化財一覧". 三島市. 2014年4月8日閲覧。
- "伊豆三島神社(伊豆国賀茂郡)". 國學院大學21世紀COEプログラム「神道・神社史料集成」. 2014年4月8日閲覧。
関連文献
史料
- 『三嶋大明神縁起』
- 『伊豆国三嶋神主家系図』
- 三嶋大社宮司家・矢田部家の家系図。
- 翻刻(一部):『下田市史 資料編 1 -考古・古代・中世-』 下田市教育委員会編、下田市教育委員会、2010年、462-463頁。
- 『伊豆国造伊豆宿禰系図』
- 同じく矢田部家の家系図。『伊豆国三嶋神主家系図』とは異なる系図を載せる。
文献
関連項目
外部リンク
This article is taken from the Japanese Wikipedia 미시마타이샤
This article is distributed by cc-by-sa or GFDL license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Wikipedia.
In addition, Tranpedia is simply not responsible for any show is only by translating the writings of foreign licenses that are compatible with CC-BY-SA license information.
0 개의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