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10월 3일 월요일

모릿트・하우프트만

모릿트・하우프트만

Moritz Hauptmann

모리트(또는 모릿트)・하우프트만(Moritz Hauptmann, *1792 10월 13일 드레스덴 – †1868년 1월 3일 Leipzig)는 독일음악 이론가・음악 교사・작곡가바이오리니스트.

목차

약력

드레스덴에서 태어나 바이올린을 솔츠에, 피아노를 프란츠・란스카에, 작곡을 그로세와(컬・마리아・폰・베버의 라이벌이었던) 프란체스코・모르락키에 사사.그 후 루이・슈포아의 훈도를 받아 바이오리니스트나 작곡가로서의 학습을 완성하고 있어 그 후도 슈포아와는 깊은 우정으로 연결되게 되었다.1812년에 슈포아의 궁정 악단에 바이올린 연주자로서 입단.그 후 러시아 제국에 가, 1821년까지 오로지 개인택의 가정교사로 하고 있어 구두인가의 계약을 맺어, 또 음악적인 관심을, 주로 음향학을 주제로 하는 수학적인 연구에 대체했다.독일로 돌아오면, 1822년캇셀 궁정 악단에 배속되어 다시 악단의 지휘자의 슈포아와 활동을 모두 하고 있다.요즘에 처음으로 작곡이나 음악 이론의 지도를 시작해 페르디난트・다비드요한・프리드리히・부루크 뮐러등을 지도했다.한시기는 건축가로서도 고용되었지만, 결국은 음악의 길로 나아가게 되어, 비극적인 그랜드 오페라《마티르데"Mathilde"》를 작곡 했다.

1842년에 하우프트만은, 게바트하우스 관현악단의 악단의 지휘자 페릭스・Mendelssohn=발트 루디의 추천장을 얻고, Leipzig토마스 교회 부속학교의 칸톨로 취임해, 평생 그 지위에 있었다.그리고 얼마 되지 않은 1843년에는, Leipzig 음악원의 음악 이론의 교수로 취임하고 있다.1850년에는, 오토・연사와 공동으로 바흐 협회를 설립해, 그 초대회장을 맡았다.「 구바흐 전집」의 최초의 3권을 편집했던 것도 하우프트만이다.토마스칸톨 재임중에, 교육자로서의 독자적인 재능이 전개되어 많은 열심인(그리고 다소나마 두드러진 재능의) 문인들 덕분에 그 명성은 주지의 것이 되었다.

1868년 1월 3일에 75세에 Leipzig에 영면했다.1873년에, Leipzig 서부의 교외(바흐거리"Bachstrassenviertel")에 있는 골목이, 모리트・하우프트만의 이름을 기념하여 「하우프트만 거리"Hauptmannstrasse"」라고 명명되었다.드레스덴의 미크텐 지구(Mickten)에도 「하우프트만 거리」라고 불리는 가로가 있지만, 역시 하우프트만의 이름을 기념하여 있다.

작품

하우프트만의 작품이나 활동은, 이제 와서는 잊어 떠나져 버리고 있다.

작곡가로서의 하우프트만은, 오로지 합창곡이나 리트, 모텟트를 직접 하고 있어 성악을 위한 종교음악이나 세속 음악을 작곡 했다.작품은, 느긋하게 한 독창성보다, 균형감이나 직공 기술이 발휘되고 있다.그 중에서도 특필에 적합한 것은, 2개의 미사곡이나 혼성 합창을 위한 2개의 가곡집(작품 32로 작품 47), 그리고 중창용의 수많은 악곡(파트 송)이다.

음악 이론가나 음악 교육자로서는, 특히 19 세기 후반에 있어 두드러진 명성을 얻었다.학술 연구의 성과인 저서 「화성법과 리듬의 일종의 본질"Die Natur der Harmonik und Metrik"」(1853년)은, 자연과학에 의해서 락식을 논증하려고 하는 시도로서 당시는 매우 주목을 끌었다.

음악 작품

  • 합창곡
    • "Wunderbar ist mir geschehn"
    • 하늘의 빛"Himmelslicht"
    • 떠돌이인의 밤의 노래"Wandrers Nachtlied"
    • 밤이 온"Die Nacht ist gekommen"
    • 봄의 사랑"Fruhlingsliebe"
    • 5월의 노래"Mailied"
    • 밤의 휴식"Abendruhe"
    • 너무 빠른 봄"Fruhzeitiger Fruhling"
    • 주요해요, (듣)묻게 우리 기원을"Herr, hore mein Gebet"
    • Gebet"Gott sei uns gnadig"
    • 우리 영혼이야 주를 칭송해서"Lobe den Herrn, meine Seele"
    • 찬미했고 하늘의 황후"Salve Regina"
    • Morgengesang"Komm, lasset uns"
    • 신의 새끼양 되는 그리스도야"Christe, du Lamm Gottes"
    • 실높은 쪽곳의 비호를 향케라는 자는"Wer unter dem Schirm des Hochsten"
    • 우리 영혼은 주를 칭송하는"Lauda anima mea Dominum"
    • "Salvum fac regem, Domine (Verleih uns Frieden, Herr und Gott)"
    • 우리 영혼은 신의 어전에 가라앉아(시편 제 62번 제 2장 및 제7장)"Meine Seel ist stille zu Gott"(nach Psalm 62, 2+7) 작품53-1 (카르스 출판사보다 간행(출판 번호 CV 2092))
  • 독창 가곡
    • 연작 가곡《Petrarca 가곡집"Petrarca-Lieder"》작품 29(2005년에 베이렌라이타보다 간행(출판 번호 H 7934))

저작물

  • Die Natur der Harmonik und der Metrik: zur Theorie der Musik. Nachdr. der Ausg. Leipzig, Breitkopf und Hartel, 1853. Hildesheim; Zurich; New York: Olms, 2002. ISBN 3-487-11703-7.
    • (영문판) The nature of harmony and metre. New York: Da Capo Press, 1991, Reprint of the ed. London, Sonnenschein, 1893. ISBN 0-306-76298-6.

주요한 문인

출전・참고 문헌

  • Robert Eitner (1880), "Hauptmann, Moritz"(독일어), Allgemeine Deutsche Biographie (ADB), 11, Leipzig: Duncker & Humblot, pp. 81□83 
  • Riedel, Horst: StadtlexikonLeipzig von A□Z. 1. Auflage, ProLEIPZIG 2005, S. 224
  • Stadtarchiv Leipzig (Hrsg.): LEXIKON Leipziger Strassennamen. Leipzig: Verlag im Wissenschaftszentrum 1995, S. 98
  • Hauptmann, Moritz: The Letters of a Leipzig Cantor (2 vols.). London: Novello, Ewer and Co., 1892 [1]
  • Hauptmann, Moritz: The nature of harmony and metre. New York: Da Capo Press, 1991, Reprint of the ed. London, Sonnenschein, 1893. ISBN 0-306-76298-6. [2]
  • Jorgenson, Dale A. Moritz Hauptmann of Leipzig. Studies in History and Interpretation of Music, Vol. 2. Lewiston, NY: The Edwin Mellen Press, 1986.
  • Mason, William. Memories of a Musical Life. New York: The Century Company, 1902. [3]

 이 기사에는 아메리카 합중국내에서 저작권이 소멸한 다음 백과사전 본문을 포함한다: Chisholm, Hugh, ed. (1911). "요기사명". Encyclopaedia Britannica (11 th ed. ). Cambridge University Press. 

외부 링크

This article is taken from the Japanese Wikipedia 모릿트・하우프트만

This article is distributed by cc-by-sa or GFDL license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Wikipedia.

Wikipedia and Tranpedia does not guarantee the accuracy of this document. See our disclaimer for more information.

In addition, Tranpedia is simply not responsible for any show is only by translating the writings of foreign licenses that are compatible with CC-BY-SA license information.

0 개의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