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10월 14일 금요일

하야카와 마사시

하야카와 마사시

하야카와 마사시(하야카와 마사시, 1944년- )는, 일본의 연구자.전문은, 전자 환경학으로, 키워드는 전파와 환경.구체적인 테마는 전리권/자기권플라스마 파동과 자기권진단, 방탐, 대기 잡음(번개, 지구 온난화등)과 중간권 발광 현상, 환경 전자 공학(EMC), 지진 전자기학(지진예지학) 등[1].

아이치현나고야시출신.전기 통신대학 전기 통신 학부 전자 공학과교수를 거치고, 전기 통신대학 명예 교수[2],㈜하야카와 지진 전자기 연구소 대표이사[3].

목차

전문 분야

전문 분야는 전자 환경학(전파 이공학)으로, 구체적인 테마로서는;

  • 지구 주변(전리층/자기권) 플라스마중에서의 전자 잡음과 자기권의 진단
  • 대기중의 전자 잡음(세계번개 분포, 지구 온난화, 중간권 발광 현상)
  • 생활 공간으로의 전자 잡음(환경 전자 공학, EMC)
  • 지권으로부터의 전자기 현상과 지진예지

한신・아와지 대지진(1995년) 이후는, 전자기적 수법을 이용한 지진예지의 연구에 정력적으로 종사.4회 IWSE(Int. Workshop on Seismo Electromagnetics)를 국내에서 개최하는 등, 지진 전자기 연구를 추진해, 지진예지의 가능성을 나타냈다.

약력

1966년:나고야 대학 공학부 전기 공학 학과 졸업업
1968년:나고야 대학 대학원 공학 연구과 전기 공학 전공 석사과정 수료
1970년:나고야 대학 대학원 박사 과정 중퇴
1970년:나고야 대학 공전 연구소 조수
1975년:영국 셰필드 대학 물리학과객원 강사(1년)
1978년:나고야 대학 공전 연구소 강사
1979년:나고야 대학 공전 연구소 조교수
1980년:프랑스 국립 혹성 대기 환경 과학 연구소 객원 교수(2년)
1990년:나고야 대학 태양 지구 환경 연구소( 구공전 연구소) 조교수
1991년:전기 통신대학 스가다이라 우주 전파 관측소 교수
1995년:전기 통신대학 전자 공학과교수
2009년:전기 통신대학 정년 퇴관
2009년:전기 통신대학 명예 교수, 같은 대학학, 첨단 무선 커뮤니케이션 연구 센터특임교수
2010년:지진 해석 레버러토리 설립, 동레버러토리 소장
2011년:전기 통신대학, 첨단 무선 커뮤니케이션 연구 센터 객원 교수
2011년:㈜하야카와 지진 전자기 연구소 설립, 대표이사
2016년:지진 해석 레버러토리 소장 퇴임
현재:㈜하야카와 지진 전자기 연구소 대표이사
   전기 통신대학 명예 교수
   전기 통신대학 첨단 무선 커뮤니케이션 연구 센터 객원 교수
   일본 지진예지 학회 회장



















직무

1984-1993년:일본 학술 회의 전파 연구 연락 위원회 E분과 위원장(3기)
1993-1996년:URSI, E분과 Vice Chair
1996-1999년:URSI, E분과 Chair
1999-2001년:일본 대기 전기 학회 회장( 제16기)
2000-2006년:Radio Science, Co-editor
2005년:전자 정보 통신 학회 펠로우
2005년:전기 학회 상급 회원
2009-2013년:Journal of Atmospheric Electricity, Editor-in-Chief
1994, 1997, 2000, 2005년:International Workshop on Seismo Electromagnetics (IWSE) Chair
EMC, 스페이스, 전기/전자 공학, 지진 전자기 분야가 많은 국제 회의의 조직위원을 맡는다.








국제 학술잡지에의 공헌

Planetary and Space Science, Indian Journal of Radio and Space Science등의 Editorial board member.Journal of Atmospheric and Solar-Terrestrial Physics, Physics and Chemistry of the Earth, Journal of Atmospheric Electricity등의 다수의 국제잡지에서 특집호의 Guest Editor를 맡는다.

수상

  • 1983년:일본 지구 전자기학회, 타나카관상
  • 1989년:일본 대기 전기 학회상
  • 2003년:미츠비시 재단
  • 2000년:EMC(Wroclaw) 국제 회의 공로상
  • 2010년:인도 제 20회 S. N. Bose 기념 초대 강연

발표 논문

조사기관 「톰슨・로이터(Thomson Reuters) 사」의 학술 잡지 데이터 베이스 조사 결과에 의하면, 2000년~2010년의 10년간에 있고, 지진(earthquakes) 분야에 있어서의 발표 논문수는 하야카와가 세계 TOP 1.전자 환경학 전반에 걸쳐 700편초.이하는 최근의 대표적인 것.

  • Hayakawa, M., Y. Kasahara, T. Nakamura, F. Muto, T. Horie, S. Maekawa, Y. Hobara, A. A., Rozhnoi, M. Solovieva, and O. A. Molchanov, A statistical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lower ionospheric perturbations as seen by subionospheric VLF/LF propagation and earthquakes, J. Geophys. Res., vol. 115, A09305, doi:10. 1029/2009JA015143, 2010.
  • Shvets, A., and M. Hayakawa, Global lightning activity on the basis of inversions of natural ELF electromagnetic data observed at multiple stations around the world, Survey Geophys., vol. 32, issue 6, 705-732, DOI 10.1007/s10712-011-9135-1, 2011.
  • Hayakawa, M., Y. Hobara, A. Rozhnoi, M. Solovieva, K. Ohta, J. Izutsu, T. Nakamura, and Y. Kasahara, The ionospheric precursor to the 2011 March 11 earthquake based upon observations obtained from the Japan-Pacific subionospheric VLF/LF network, Terr. Atmos. Ocean. Sci., vol. 24, no. 3, 393-408, doi: 10.3319/TAO.2012.12.14.01(AA), 2013.
  • Sorokin, V. and M. Hayakawa, Generation of seismic-related DC electric fields and lithosphere-atmosphere-ionosphere coupling, Modern Appl. Sci., vol. 7, no. 6, 1-25, doi: 10.5539/mas.v7n6p1, 2013.
  • Ohta, K., J. Izutsu, A. Schekotov, and M. Hayakawa, The ULF/ELF electromagnetic radiation before the 11 March 2011 Japanese earthquake, Radio Sci., vol. 48, 589□596, doi:10.1002/ rds.20064, 2013.
  • Hayakawa, M., A. Rozhnoi, M. Solovieva, Y. Hobara, K. Ohta, A. Schekotov, and E. Fedorov, The lower ionospheric perturbation as a precursor to the 11 March 2011 Japan earthquake, Geomatics, Natural Hazards and Risk, vol. 4, no. 3, 275-287, doi:org/ 10.1080/19475705.2012.751938, 2013.

저서

  • 하야카와 마사시 「파동 공학」(코로나사) 1992년
  • 하야카와 마사시 「최신・지진예지학 전자파 비정상이고 아는, 그 징조」(쇼덴샤) 1996년
  • Hayakawa, M. and O. A. Molchanov (편) 「Seismo Electromagnetics: Lithosphere - Atmosphere - Ionosphere Coupling」(TERRAPUB) 2002년
  • Nickolaenko, A. P. and M. Hayakawa 「Resonances in the Earth-Ionosphere Cavity」(Kluwer Acad. Pub., Dordrecht) 2002년
  • Troyan, V. and M. Hayakawa 「Inverse Geophysical Problems」(TERRAPUB) 2002년
  • 하야카와 마사시 「왜 전자기로 지진의 직전 예지를 할 수 있을까」(일본 전문 도서 출판) 2003년
  • 일본 대기 전기 학회편(전반 총괄, 분담 집필) 「대기 전기학 개론」(코로나사) 2003년
  • Korovkin, N. V., V. L. Chechurin and M. Hayakawa 「Inverse Problems in Electric Circuits and Electromagnetics」(Springer) 2007년
  • Molchanov, O. A., and M. Hayakawa 「Seismo Electromagnetics and Related Phenomena: History and latest results」(TERRAPUB) 2008년
  • 하야카와 마사시 「지구 환경과 노이즈의 뜻밖의 관계」(기술 평론사) 2009년
  • Hayakawa, M. (편) 「Electromagnetic Phenomena Associated with Earthquakes」(Transworld Research Network) 2009년
  • 하야카와 마사시 「지진은 예지할 수 있다!」(KK베스트 셀러즈) 2011년
  • Hayakawa, M. (편) 「지진예지 연구의 최전선(The Frontier of Earthquake Prediction Studies)」(일본 전문 도서 출판) 2012년
  • Hayakawa, M. (편) 「Earthquake Prediction Studies: Seismo Electromagnetics」(TERRAPUB) 2013년
  • Nickolaenko, A. P. and M. Hayakawa 「Schumann Resonance for Tyros」(Springer) 2014년
  • Surkov, V. and M. Hayakawa 「Ultra and Extremely Low Frequency Electromagnetic Fields」(Springer) 2014년

외부 링크

각주

  1. ^하야카와 마사시 「지진은 예지할 수 있다!」(KK베스트 셀러즈) 2011년.
  2. ^전기 통신대학의 인물 일람
  3. ^"전기 통신대학 홈 페이지". 2016년 8월 30일 열람.
  4. ^"주식회사 하야카와 지진 전자기 연구소 교수의 수상". 2016년 8월 30일 열람.

This article is taken from the Japanese Wikipedia 하야카와 마사시

This article is distributed by cc-by-sa or GFDL license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Wikipedia.

Wikipedia and Tranpedia does not guarantee the accuracy of this document. See our disclaimer for more information.

In addition, Tranpedia is simply not responsible for any show is only by translating the writings of foreign licenses that are compatible with CC-BY-SA license information.

0 개의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