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7월 6일 수요일

SH2 도메인

SH2 도메인

사람 P56-Lck의 SH2 도메인

SH2 도메인(Src homology 2 domain)은 대략 100 아미노산잔기로부터 되는 단백질 도메인의 하나로, 암유전자 유래의 단백질 Src와 Fps의 공통 배열로서 발견되었다.

같은 구조를 가지는 단백질은 후에 시그널 전달에 관련되는 단백질 등, 세포간 단백질보다 다수 발견되었다.

목차

결합과 인산화

SH2는 표적 유전자의 모티프로 존재하는 인산화치로신에 결합한다.SH2 도메인은, 현재 알려져 있는 가장 큰 인산화 치로신 인식 도메인인[1].

인산화 치로신은 시그널 전달 시에 치로신키나제에 의해서 생성된다.이와 같이 치로신키나제에 의한 인산화는 SH2 도메인을 가지는 단백질이 결합하는 스위치가 된다.진핵생물의 진화의 과정에서 치로신키나제와 SH2 도메인이 동시기에 출현하는 것부터도, 이 2개의 관계의 깊이가 물어진다.

다양성

SH2 도메인은 효모에는 존재하지 않고, 진화 우에하라 생동물변형균의 사이 근처에서 가능했다고 생각되고 있는[2].

바이오 인포메틱스를 이용한 연구에 의하면, 사람에는 110의 단백질에 120의 SH2 도메인이 있어, 진화를 통해서 급속히 퍼져 온 것을 아는[3].

마우스로도 많은 SH2 도메인의 구조가 풀려 각각의 녹아웃의 연구도 행해지고 있는[4].

기능

많은 시그널 전달 단백질이, 세포 내국재나 효소 활성의 발현에 대해서 이러한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에 의한 조정을 받고 있다.

SH2 도메인과 시그널 전달에 있어서의 그 여러가지 역할의 발견은, 복잡한 시그널 네트워크를 구축하는데 생물이 어떻게 도메인간의 상호작용을 이용했는지라고 하는 중요한 개념으로 연결되었다.

출전

  1. ^ Pawson, T., Gish, G., Nash, P. (2001). SH2 domains, interaction modules and cellular wiring. Trends in Cell Biology 11(12): 504-511.
  2. ^ Eichinger, L. et al. (2005). The genome of the social amoeba Dictyostelium discoideum. Nature 435, 43-57.
  3. ^ Liu et al. (2006), The Human and Mouse Complement of SH2 Domain Proteins – establishing the boundaries of phosphotyrosine signaling. Molecular Cell 22: 851-868.
  4. ^ the SH2 domain

외부 링크

This article is taken from the Japanese Wikipedia SH2 도메인

This article is distributed by cc-by-sa or GFDL license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Wikipedia.

Wikipedia and Tranpedia does not guarantee the accuracy of this document. See our disclaimer for more information.

In addition, Tranpedia is simply not responsible for any show is only by translating the writings of foreign licenses that are compatible with CC-BY-SA license information.

0 개의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