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3월 27일 월요일

징벌 사범

징벌 사범

징벌 사범(치우바개자판)은, 일본국 헌법이나 국회법의 규정에 근거하고, 원내의 질서를 어지럽혔다고 해서 중의원 혹은 참의원에게 소속하는 국회 의원에 대해서 징벌을 주는 것이 상당히로 보여지는 행위.징벌 사범에 대해서는, 각 원의 의장에 의해 징벌 위원회에 부탁 된 다음 본회의의 의논을 거친 후에 선고된다(국회 121조).의장 스스로가 징벌 사범으로 인정한 사건 혹은 각 위원회의 위원장이 징벌 사범으로 인정한 사건에 대해 의장이 직권으로 징벌 위원회에 부탁 하는 경우(중의원 규칙 234조, 참의원 규칙 234조)와 의원이 국회법 제 121조 3항의 규정에 근거해 징벌 동의를 제출하는 것으로 의장에 의해서 징벌 위원회에 부탁 되는 경우가 있다(중의원 규칙 235조・236조, 참의원 규칙 237조・238조).

목차

개요

중참 각 원은 헌법 제 58조 2항의 규정에 근거해, 원내의 질서를 어지럽혔다, 로 여겨지는 의원에 대해서 징벌을 줄 수 있다.그 때문에(위해) 제출되는 동의가 징벌 위원회에 교부하는 동의이다.의원 징벌권은 각 의원의 권능 중 자율적 운영권에 속해, 헌법 제 58조 2항본문은 「 양의원은, 각각 그 회의 그 외의 수속 및 내부의 규율에 관한 규칙을 정해 또, 원내의 질서를 보기 시작한 의원을 징벌할 수 있다.」라고 하고 있어 의원 징벌권은 그 대상 의원이 소속하는 의원이 독립하고 수속을 진행시키게 되어 있다(헌법 58조, 국회법 121조).

징벌의 사유

헌법 58조 2항은 징벌 사유에 대해 「원내의 질서를 어지럽혔다」라고 마셔 정하고 있다.덧붙여 일부의 구체적 행위에 대해서는 국회법 혹은 의원 규칙에 의해 징벌 사범으로서 부탁 하게 되어 있다.

  • 국회법
  1. 의원이 정당한 이유가 없어서 소집일부터 7일 이내에 소집에 응하지 않는다
  2. 정당한 이유가 없어서 회의 또는 위원회에 결석했다
  3. 청가의 기한을 넘겼다

이상의 이유에 의해 의장이 특히 초장을 발표해, 그 초장을 받은 날로부터 7일 이내에, 덧붙여 이유없이 출석하지 않는 사람(국회법 124조)

  • 중의원 규칙
    • 의장의 제지 또는 취소의 생명에 따르지 않는 사람(중의원 규칙 238조)
  • 참의원 규칙
    • 의장의 제지 혹은 발언 취소의 생명 또는 위원장의 제지 혹은 발언 취소의 생명에 따르지 않는 사람(참의원 규칙 235조)
    • 국회법 제 63조에 의해 공표하지 않는 것을 그 밖에 루 한 사람(참의원 규칙 236조)

징벌의 수속

징벌 사범에 대한 조치

  • 본회의에 대해 징벌 사범이 있을 때는, 의장은, 휴식을 선고해 혹은 산회・연회해 또는 사범자를 퇴장시킬 수 있다(중의원 규칙 233조, 참의원 규칙 232조).
  • 위원회에 대해 징벌 사범이 있을 때는, 위원장은, 이것을 의장에게 보고해 처분을 요구하지 않으면 안 된다(국회법 121조).
  • 회의 및 위원회외 의원 내부에 있어 징벌 사범이 있을 때는, 의장은 이것을 징벌 위원회에 교부한다(중의원 규칙 234조, 참의원 규칙 234조).

징벌 위원회에의 부탁

  • 의장에 의한 부탁
의원에 있어 징벌 사범이 있을 때는, 의장은, 먼저 이것을 징벌 위원회에 교부해 심사시킨다(국회법 121조 1항).또, 의원에 의해 징벌 동의가 제출되었을 때는, 의장은 속게이것을 회의에 첨부없으면 안 된다(중의원 규칙 236조 1항, 참의원 규칙 238조).징벌 동의에 대해서는, 의장은 토론을 이용하지 말고 의원의 결정을 뽑아, 이것을 징벌 위원회에 교부한다(중의원 규칙 237조, 참의원 규칙 238조).
  • 징벌 동의의 제출
의원은, 중의원에 있고는 40명 이상, 참의원에 있고는 20명 이상의 찬성으로 징벌의 동의를 제출할 수 있다(국회법 121조 3항).
  • 부탁・동의 제출의 기한
    • 원칙으로서 사범이 있던 날로부터 3일 이내에 제출한다(국회법 121조 3항).
    • 회기 종료일 또는 그 전날에 생긴 징벌 사범에 대한 예외(국회법 121조의 2)
    (1)의장이 징벌 위원회에 교부할 수 없었던 경우, (2) 징벌 위원회에 첨부 되어 폐회중 심사의 의결에 이르지 않았던 경우, (3) 위원회의 심사를 종료해 의원의 의결에 이르지 않았던 경우에 대해서는, 의장은 다음 국회의 소집의 날로부터 3일 이내에 이것을 징벌 위원회에 교부할 수 있다(동조 1항).
    (1)징벌의 동의를 제출하는 짬이 없었던 경우, (2) 동의가 제출되어 의결에 이르지 않았던 경우, (3) 징벌 위원회에 첨부 되어 폐회중 심사의 의결에 이르지 않았던 경우, (4) 위원회 심사를 종료해 의원의 의결에 이르지 않았던 것에 대해서는, 의원은 다음 국회의 소집의 날로부터 3일 이내에 징벌의 동의를 제출할 수 있다(동조 2항).
    다만, 이러한 예외 규정은, 중의원의 경우에는 중의원 의원 총선거 후 최초로 소집되는 국회에 대하고, 참의원의 경우에는 참의원 의원 통상 선거 후 최초로 소집되는 국회에 대하고, 전 국회의 회기 종료일 또는 그 전날에 있어서의 징벌 사범에 대해서는 적용되지 않는다(동조 3항).
    • 폐회중에 위원회 그 외 의원 내부에 있어 생긴 징벌 사범에 대한 예외(국회법 121조의 3)
    의장은 다음 국회의 소집의 날로부터 3일 이내에 이것을 징벌 위원회에 교부할 수 있다(동조 1항).또, 의원은 다음 국회의 소집의 날로부터 3일 이내에 징벌의 동의를 제출할 수 있다(동조 2항).

징벌 위원회로의 심사・본회의로의 의결

징벌에 상당하는지 아닌지 우선 징벌 위원회에서 심사되어 징벌 위원장에 의해 본회의에 보고된 후 본회의로의 의결이 된다.이 때, 의원은 자기의 징벌 사범의 회의 및 위원회에 열석 할 수 없다.단, 의장 또는 위원장의 허가를 얻고, 스스로 변명해 또는 다른 의원에 대변시킬 수 있다(중의원 규칙 239조, 참의원 규칙 240조).또, 징벌 위원회는 의장을 경유해 본인 및 관계 의원의 출석 설명을 요구할 수 있다(중의원 규칙 240조, 참의원 규칙 239조).

의원의 본회의에 대해 징벌을 의결했을 때는, 그것이 비밀회였을 경우에 대해도, 그 징벌의 선고에 대해서는, 의장은 공개의 회의장에서 해야 한다(중의원 규칙 247조, 참의원 규칙 247조).

징벌의 종류

징벌의 종류는 국회법 122조에 정해진다.

  • 공개 회의장에 있어서의 형량선고
  • 공개 회의장에 있어서의 진사
진사의 문안은 징벌 위원회가 기초 해, 그 보고서와 함께 이것을 의장에게 제출한다(중의원 규칙 241조, 참의원 규칙 241조).덧붙여 참의원 규칙으로는 형량선고의 경우에도 징벌 위원회가 기초 해, 그 보고서와 함께 이것을 의장에게 제출하게 되어 있다(참의원 규칙 241조).
  • 일정기간의 등원 정지
    • 등원 정지는 30일을 넘을 수 없다.단, 수개의 징벌 사범이 병발 했을 경우, 이미 등원이 정지된 사람에 대해 그 정지 기간내에 더욱 징벌 사범이 생겼을 경우에 대해서는 제외된다(중의원 규칙 242조, 참의원 규칙 242조).
    • 등원이 정지된 사람이 그 정지 기간내에 등원 했을 때는, 의장에 의해 퇴거가 명할 수 있다.그 생명에 따르지 않을 때는, 필요한 처분을 이루어, 더욱 징벌 위원회에 첨부 된다(중의원 규칙 244조, 참의원 규칙 244조).
  • 제명
    • 중의원 규칙으로는 「의원의 질서를 보기 시작해 또는 의원의 품위를 손상시켜 그 정상이 특히 무거운 사람」을 제명의 대상으로 해 정한다(중의원 규칙 245조).또, 참의원 규칙으로는 「의원을 시끄럽게해 또는 의원의 체면을 더럽혀, 그 정상이 특히 무거운 사람」을 제명의 대상으로 해 정한다(참의원 규칙 245조).
    • 의원을 제명하려면 , 출석 의원의 3분의 2이상의 다수에 의한 의결을 필요로 한다(헌법 58조 2항단서).징벌 위원회가 제명해야할 것으로서 보고되었지만, 본회의에서 출석 의원의 3 분의 2이상의 다수에 의한 의결의 요건을 채워지지 않았던 경우, 의원은 징벌 사범으로서 다른 징벌을 과 할 수 있다(중의원 규칙 246조, 참의원 규칙 246조).
    • 양의원은 제명된 의원으로 선거를 거쳐 다시 당선한 사람을 거절할 수 없다(국회법 123조).

본회의에 의한 징벌 위원회에의 부탁예

본회의의 징벌 위원회에의 부탁예
본회의
부탁 연월일
의원 의원 징벌 사유 징벌 위원회 본회의
의결 연월일 징벌 내용 의결 연월일 결과
1947년(쇼와 22년) 12월 5일 중의원 쿠라이시 타다오 12월 8일 30일간의 등원 정지 12월 9일 가결
1947년(쇼와 22년) 12월 5일 중의원 아리타 지로우 12월 8일 30일간의 등원 정지 12월 9일 가결
1947년(쇼와 22년) 12월 5일 중의원 야마구치 로쿠로우 다음 12월 8일 15일간의 등원 정지 12월 9일 가결
1948년(쇼와 23년) 12월 11일 중의원 토노사키 천세길 12월 12일 공개 회의장에 있어서의 진사 12월 12일 가결
1948년(쇼와 23년) 12월 13일 중의원 이즈미야마36 심의 미완료 폐안
1948년(쇼와 23년) 12월 18일 중의원 토노사키 천세길 12월 20일 공개 회의장에 있어서의 진사 12월 22일 가결
1948년(쇼와 23년) 12월 23일 참의원 나카니시 이사오 12월 23일 공개 회의장에 있어서의 형량선고 12월 23일 가결
1949년(쇼와 24년) 4월 19일 중의원 숲모모오 4월 21일 공개 회의장에 있어서의 진사 4월 23일 가결
1949년(쇼와 24년) 5월 20일 중의원 타치바나 토시오 5월 24일 30일간의 등원 정지 5월 25일 가결
1949년(쇼와 24년) 5월 20일 중의원 코니시 토라송 5월 24일 7일간의 등원 정지 5월 25일 가결
1949년(쇼와 24년) 5월 20일 참의원 호시노 칸바시수 5월 23일 공개 회의장에 있어서의 형량선고 5월 27일 가결
1949년(쇼와 24년) 5월 30일 참의원 카니에 쿠니히코 10월 31일 30일간의 등원 정지 10월 31일 가결
1949년(쇼와 24년) 5월 30일 참의원 이타노 카츠지 10월 31일 20일간의 등원 정지 10월 31일 가결
1949년(쇼와 24년) 5월 30일 참의원 나카니시 이사오 10월 31일 제명 10월 31일 부결
10월 31일※2 30일간의 등원 정지 10월 31일 가결
1949년(쇼와 24년) 5월 30일 참의원 가네코 요분 10월 31일 25일간의 등원 정지 10월 31일 가결
1949년(쇼와 24년) 12월 2일 중의원 스나마 카즈요시 12월 3일 공개 현장에 있어서의 진사 폐안
1950년(쇼와 25년) 4월 4일 참의원 시냇물친구3 4월 7일 제명 4월 7일 가결
1951년(쇼와 26년) 1월 31일 중의원 카와카미관일 3월 9일 공개 회의장에 있어서의 진사 3월 24일 가결
1951년(쇼와 26년) 3월 24일 중의원 카와카미관일 3월 26일 제명 3월 29일 가결
1952년(쇼와 27년) 3월 4일 중의원 카와사키 히데지 5월 16일 5일간의 등원 정지 (5월 23일) 철회
1952년(쇼와 27년) 3월 4일 중의원 가자하야 82 (5월 23일) 유보
1952년(쇼와 27년) 6월 12일 중의원 가자하야 82 6월 18일 공개 회의장에 있어서의 진사 6월 26일 가결
1952년(쇼와 27년) 6월 12일 중의원 숲모모오 6월 18일 공개 회의장에 있어서의 진사 6월 26일 가결
1952년(쇼와 27년) 7월 4일 참의원 이와마 마사오 심의 미완료 폐안
1952년(쇼와 27년) 7월 4일 참의원 겸암전일 심의 미완료 폐안
1952년(쇼와 27년) 7월 4일 참의원 미와 사다하루 심의 미완료 폐안
1952년(쇼와 27년) 7월 4일 참의원 스즈키 기요시1 심의 미완료 폐안
1952년(쇼와 27년) 7월 4일 참의원 에다 사부로 심의 미완료 폐안
1952년(쇼와 27년) 7월 4일 참의원 오카다 소지 심의 미완료 폐안
1952년(쇼와 27년) 7월 4일 참의원 쿠리야마 요시오 심의 미완료 폐안
1952년(쇼와 27년) 7월 4일 참의원 나카타 요시오 심의 미완료 폐안
1952년(쇼와 27년) 7월 4일 참의원 미즈하시등작 심의 미완료 폐안
1952년(쇼와 27년) 7월 4일 참의원 카와사키 여름 심의 미완료 폐안
1952년(쇼와 27년) 7월 4일 참의원 타카다나호자 심의 미완료 폐안
1952년(쇼와 27년) 7월 4일 참의원 오가사와라 후미남 심의 미완료 폐안
1952년(쇼와 27년) 7월 4일 참의원 키노시타원오 심의 미완료 폐안
1952년(쇼와 27년) 7월 4일 참의원 시마 키요시 심의 미완료 폐안
1952년(쇼와 27년) 7월 4일 참의원 우메츠금일 심의 미완료 폐안
1952년(쇼와 27년) 7월 4일 참의원 키쿠가와 타카오 심의 미완료 폐안
1952년(쇼와 27년) 7월 4일 참의원 요시다법 맑음 심의 미완료 폐안
1952년(쇼와 27년) 7월 31일 참의원 지바 마코토 심의 미완료 폐안
1952년(쇼와 27년) 7월 31일 참의원 모리사키 타카시 심의 미완료 폐안
1952년(쇼와 27년) 7월 31일 참의원 무라오 시게오 심의 미완료 폐안
1952년(쇼와 27년) 7월 31일 참의원 코우로봐 개 심의 미완료 폐안
1953년(쇼와 28년) 3월 2일 중의원 요시다 시게루 (3월 14일) 심의 미완료 폐안
1953년(쇼와 28년) 8월 4일 중의원 시노다 히로시작 8월 7일 공개 회의장에 있어서의 진사 8월 7일 가결
1953년(쇼와 28년) 8월 4일 중의원 숲3수2 8월 7일 징벌 사범에 해당하지 않고 8월 7일 가결
1953년(쇼와 28년) 8월 4일 중의원 쵸 마사미치 8월 7일 징벌 사범에 해당하지 않고 8월 7일 가결
1953년(쇼와 28년) 8월 4일 중의원 이토묘시로 8월 7일 징벌 사범에 해당하지 않고 8월 7일 가결
1954년(쇼와 29년) 6월 9일 중의원 제방 트르요 6월 15일 30일간의 등원 정지 6월 15일 가결
1954년(쇼와 29년) 6월 9일 중의원 야마구치 시즈에 6월 15일 30일간의 등원 정지 6월 15일 가결
1954년(쇼와 29년) 6월 9일 중의원 대석 요시에 6월 15일 30일간의 등원 정지 6월 15일 가결
1954년(쇼와 29년) 6월 9일 중의원 하기모토 사나워져 아이 6월 15일 30일간의 등원 정지 6월 15일 가결
1954년(쇼와 29년) 6월 9일 중의원 야마자키시남 6월 15일 30일간의 등원 정지 6월 15일 가결
1954년(쇼와 29년) 6월 9일 중의원 코바야시 스스무 6월 15일 30일간의 등원 정지 6월 15일 가결
1954년(쇼와 29년) 6월 9일 중의원 쵸 마사미치 6월 15일 30일간의 등원 정지 6월 15일 가결
1954년(쇼와 29년) 6월 9일 중의원 야마다장사 6월 15일 30일간의 등원 정지 6월 15일 가결
1954년(쇼와 29년) 6월 9일 중의원 3과의3 6월 15일 30일간의 등원 정지 6월 15일 가결
1954년(쇼와 29년) 6월 9일 중의원 니시무라 츠토무미 6월 15일 30일간의 등원 정지 6월 15일 가결
1954년(쇼와 29년) 6월 9일 중의원 아카마츠 이사무 6월 15일 30일간의 등원 정지 6월 15일 가결
1954년(쇼와 29년) 6월 9일 중의원 요코미치절 수컷 6월 15일 30일간의 등원 정지 6월 15일 가결
1954년(쇼와 29년) 6월 9일 중의원 가스가 잇코 6월 15일 30일간의 등원 정지 6월 15일 가결
1954년(쇼와 29년) 6월 9일 중의원 이나토미 다카토 6월 15일 30일간의 등원 정지 6월 15일 가결
1954년(쇼와 29년) 6월 9일 중의원 가쓰마타 세이이치 6월 15일 30일간의 등원 정지 6월 15일 가결
1954년(쇼와 29년) 6월 9일 중의원 사타케 신이치 6월 15일 30일간의 등원 정지 6월 15일 가결
1954년(쇼와 29년) 6월 9일 중의원 이케다정치 6월 15일 30일간의 등원 정지 6월 15일 가결
1954년(쇼와 29년) 6월 9일 중의원 타키의고 6월 15일 30일간의 등원 정지 6월 15일 가결
1954년(쇼와 29년) 6월 9일 중의원 오오니시 정도 6월 15일 30일간의 등원 정지 6월 15일 가결
1954년(쇼와 29년) 6월 9일 중의원 야마모토 고이치 6월 15일 30일간의 등원 정지 6월 15일 가결
1954년(쇼와 29년) 6월 9일 중의원 야마구치 길이 타로 6월 15일 30일간의 등원 정지 6월 15일 가결
1954년(쇼와 29년) 6월 9일 중의원 스기무라 오키지로우 6월 15일 30일간의 등원 정지 6월 15일 가결
1954년(쇼와 29년) 6월 9일 중의원 다카쓰 세이도 6월 15일 30일간의 등원 정지 6월 15일 가결
1954년(쇼와 29년) 6월 9일 중의원 들판학 6월 15일 30일간의 등원 정지 6월 15일 가결
1954년(쇼와 29년) 6월 9일 중의원 나리타 도모미 6월 15일 30일간의 등원 정지 6월 15일 가결
1954년(쇼와 29년) 6월 9일 중의원 시마우에선고로 6월 15일 30일간의 등원 정지 6월 15일 가결
1954년(쇼와 29년) 6월 9일 중의원 타나카직유키노부 6월 15일 30일간의 등원 정지 6월 15일 가결
1954년(쇼와 29년) 6월 9일 중의원 이토묘시로 6월 15일 30일간의 등원 정지 6월 15일 가결
1954년(쇼와 29년) 6월 9일 중의원 마에다 사카에지조 6월 15일 30일간의 등원 정지 6월 15일 가결
1954년(쇼와 29년) 6월 9일 중의원 츠지하루홍시 6월 15일 30일간의 등원 정지 6월 15일 가결
1954년(쇼와 29년) 6월 9일 중의원 나카무라 토키오 6월 15일 30일간의 등원 정지 6월 15일 가결
1954년(쇼와 29년) 6월 9일 중의원 구보타 쓰루마쓰 6월 15일 30일간의 등원 정지 6월 15일 가결
1954년(쇼와 29년) 6월 9일 중의원 코다이라 타다시 6월 15일 30일간의 등원 정지 6월 15일 가결
1954년(쇼와 29년) 6월 9일 중의원 호즈미 시치로우 6월 15일 30일간의 등원 정지 6월 15일 가결
1954년(쇼와 29년) 6월 9일 중의원 숲3수2 6월 15일 30일간의 등원 정지 6월 15일 가결
1954년(쇼와 29년) 6월 9일 중의원 담곡유장 6월 15일 30일간의 등원 정지 6월 15일 가결
1954년(쇼와 29년) 6월 9일 중의원 이토호도 6월 15일 30일간의 등원 정지 6월 15일 가결
1954년(쇼와 29년) 6월 9일 중의원 야마하나 히데오 6월 15일 30일간의 등원 정지 6월 15일 가결
1954년(쇼와 29년) 6월 9일 중의원 무토 운쥬우로우 6월 15일 30일간의 등원 정지 6월 15일 가결
1954년(쇼와 29년) 6월 9일 중의원 아사누마 이네지로 6월 15일 징벌 사범에 해당하지 않고 6월 15일 가결
1954년(쇼와 29년) 6월 9일 중의원 나카이 에이타 츠카사 6월 15일 30일간의 등원 정지 6월 15일 가결
1954년(쇼와 29년) 6월 9일 중의원 키노시타욱 6월 15일 30일간의 등원 정지 6월 15일 가결
1954년(쇼와 29년) 6월 9일 중의원 이데이성 6월 15일 30일간의 등원 정지 6월 15일 가결
1954년(쇼와 29년) 6월 9일 중의원 이제행타로 6월 15일 30일간의 등원 정지 6월 15일 가결
1954년(쇼와 29년) 6월 9일 중의원 니시무라 에이치 6월 15일 30일간의 등원 정지 6월 15일 가결
1954년(쇼와 29년) 6월 9일 중의원 야마시타 에이지 6월 15일 30일간의 등원 정지 6월 15일 가결
1959년(쇼와 34년) 12월 17일 중의원 아사누마 이네지로 심의 미완료 폐안
1959년(쇼와 34년) 12월 17일 중의원 오카다 하루오 심의 미완료 폐안
1959년(쇼와 34년) 12월 17일 중의원 카시와 마사오 심의 미완료 폐안
1959년(쇼와 34년) 12월 17일 중의원 코바야시 스스무 심의 미완료 폐안
1968년(쇼와 43년) 3월 22일 중의원 호즈미 시치로우 4월 9일 30일간의 등원 정지 4월 12일 가결
1973년(쇼와 48년) 5월 10일 중의원 코바야시 마사코 6월 23일 20일간의 등원 정지 6월 26일 가결
1976년(쇼와 51년) 10월 15일 중의원 곤노 요지로 심의 미완료 폐안
1994년(헤세이 6년)
6월 23일
중의원 야마구치 도시오 2 신용조합 사건 6월 23일 공개 회의장에 있어서의 진사 6월 29일 가결
2000년(헤세이 12년) 11월 20일 중의원 마츠나미 켄시로 나가타 히사야스에 목표로 해 컵의 물을 퍼부은 때문. 11월 27일 25일간의 등원 정지 11월 28일 가결
2004년(헤세이 16년) 6월 15일 중의원 츠무라 케스케 참의원 의회에 난입 및 참의원 의장의 회의장들이 방해. 8월 4일 공개 회의장에 있어서의 형량선고 8월 5일 가결
2006년(헤세이 18년) 3월 2일 중의원 나가타 히사야스 호리에 메일 문제에 의하는 것. (4월 4일) 의원 사직에 의한 폐안
2007년(헤세이 19년) 6월 8일 중의원 우치야마 아키라 사쿠라다 요시타카를 날개 매어로 한 때문. 6월 18일 30일간의 등원 정지 6월 19일 가결
2013년(헤세이 25년) 11월 13일 참의원 안토니오 이노키:※2 의원 운영 위원회에 허가없이, 무단으로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도항・방문했기 때문에. 11월 21일 30일간의 등원 정지 11월 22일 가결
※ 의장 선고
※2 의원 규칙에 근거하는 본회의로의 동의 제출

각주

관련 항목

This article is taken from the Japanese Wikipedia 징벌 사범

This article is distributed by cc-by-sa or GFDL license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Wikipedia.

Wikipedia and Tranpedia does not guarantee the accuracy of this document. See our disclaimer for more information.

In addition, Tranpedia is simply not responsible for any show is only by translating the writings of foreign licenses that are compatible with CC-BY-SA license information.

0 개의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