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3월 8일 수요일

플레이 가이드

플레이 가이드

플레이 가이드(일본식 영어: play-guide, : ticket agency)란, 영화콘서트연극스포츠 이벤트등의 각종 흥행입장권(티켓)의 예약・발권 업무를 대행하는 사업 및 그 점포이다.티켓 센터티켓 오피스라고도 불린다.주최자의 직매나 극장의 발권소에도 이 호칭이 사용되는 일이 있지만, 본항으로는 취급하지 않는다.또, 전매가게(함・암표상)를 포함하지 않는다.

목차

개요

 
발권 수속을 할 수 있는 온라인 단말의 예(Loppi)
 
콘서트 티켓의 예
 
콘서트의 예
 
유료 이벤트의 예

콘서트・연극・스포츠 이벤트등의 각종 흥행의 입장권(티켓)을 판매하는 창구, 그 사업이다.대도시에서는 연중 어디선가 다종 다양한 흥행을 하고 있는 것이 보통이며, 흥행・주최자 마다 홍보・발권을 실시하는 것에는 집객・노력면에서 한계가 있다.거기서, 흥행이나 주최자의 내용이나 방향성에 관계없이 대상으로 하는 지역내의 각종 흥행을 망라적으로 안내・소개해, 발권을 대행하는 업무가 발생했다.

일본의 티켓 피아는, 잡지의 발행이나 안내소의 설치를 통해서 일본 각지의 흥행을 소개해, 그 후 안내소나 전화 접수에 의한 발권 시스템을 확립해, 1980년대 후반까지 일본에 있어 온라인・플레이 가이드의 구조를 정착시켰다.2000년대에 들어오면 많은 나라에서는 인터넷의 보급에 의해 실점포와 망라적 정보의 수요가 저하했기 때문에 각 플레이 가이드는 웹 사이트에 축을 옮기기 시작해 2010년대까지는 웹 사이트상의 전자 상거래로서 다시 정착하고 있어, 현재는실점포의 안내소를 가지지 않는 플레이 가이드도 많다.

플레이 가이드는 일정한 범위내에서 취사 선택을 실시하지 않고, 위탁을 희망하는 흥행을 모두 취급해, 주최자의 직매나 극장의 발권소와 같이 한정적이 아니고 망라적인 특징을 가진다.스케일 메리트가 크게 영향을 주어, 선행자 이익을 낳기 쉽게 과점이 일어나기 쉽다.반대로 흥행수가 적으면 사업이 성립하지 않는다.

주요한 플레이 가이드

대기업 플레이 가이드

일본

아래와 같은 쳐, e+, CN플레이 가이드, 티켓 피아, 로손 티켓(서비스명의 오십음순서)의 4사가, 컴퓨터・티켓팅 협의회에 가맹하고 있다.

티켓 피아
피어가 운영.일본에서 최초로 본격적 사업을 개시.소극장 공연이나 영화관지정석권으로부터 콘서트, 스포츠 경기 등 이벤트 입장권까지 폭넓게 취급하고 있어 취급 매수는 부동의 톱 클래스.피어 STATION, 티켓 피아 SPOT로 불리는 발권 창구(직영프랜차이즈 대리점)를 거의 전국에 배치해 대면 판매에 강점이 있다.
현재에도 대형 공연의 발매 히쿠마일에는, 제일에 구입하고 싶은 사람들에 의한 철야조의 열이 피어 STATION, 티켓 피아 SPOT 점포 주변에서 볼 수 있다.
편의점은 세븐일레븐, 써클 K산크스(일부 점포)와 제휴.
※이전에는 패밀리 마트와 제휴하고 있었지만, 2009년에 패밀리 마트와 e+의 제휴가 사실상 재개한 것을 받고, 동사와의 제휴는 2010년 5월에 해소했다.
이것과는 별도로 극단 사계의 좌석 예약 시스템의 구축도 하고 있다.
로손 티켓
로손의 완전 자회사의 로손 HMV 엔터테인먼트가 운영.Loppi로의 판매를 중심으로 전개.이전에는 다이에 계열의 슈퍼의 서비스 카운터에서 대면 판매를 실시하고 있었지만, 현재는 철퇴하고 있다.
자사 서비스 외에, JCB의 플레이 가이드 서비스 「티켓 JCB」의 업무 수탁도 가고 있다.이전에는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회원용의 티켓 발권 업무도 가고 있었다.
e+
이프라스가 운영.티켓 세존을 실질적으로 계승하는 형태로, 크레디세존등과 소니 그룹이 절반 출자해 2000년에 사업 개시.판매 채널이 인터넷과 전화(일부)만의 통신 판매 전업이 특징.2006년부터는 티켓 피아에 대신해 세븐일레븐에서의 발권도 개시, 2009년부터는 패밀리 마트에서도 발권을 개시했다(아직 2010년 6월 이후, 세븐일레븐은 티켓 피아와 제휴를 재개하고 있지만, e+와의 제휴도 계속해 실시한다).
KDDI와 제휴해, au티켓(au휴대 전화 이용자 전용의 플레이 가이드 서비스)의 티켓 발권 업무도 가고 있다.
세븐 티켓
Confetti
롱런 플래닝이 운영.인터넷과 전화만으로의 판매로, 세븐일레븐에서의 발권이 가능.티켓 구입 마다 포인트가 쌓인다.일반적인 공연 외에, 소극장이나 소규모의 이벤트・콘서트등도 취급하고 있다.
CN플레이 가이드
빅 홀리데이 산하의 커뮤니티 네트워크가 운영.am/pm(→패밀리 마트에 경영 양도.양도 후도 제휴 계속중)・세이브 온(일부 점포)에 설치된 「CN푸레 있어 BOX」로의 발권 업무의 외, 근년은 인터넷등에 의한 통신 판매에도 힘을 쓰고 있다.또, 상기 점포의 타JR시코쿠와도 제휴하고 있는 것 외, 2006년부터는 세븐일레븐에서의 발권도 개시했다.
JTB 엔터테인먼트 티켓
JTB 그룹의 플레이 가이드.전국의 JTB 매장, 제휴 판매점에서의 판매를 중심으로 전개.2009년에 티켓 피아의 시스템을 도입해 인터넷 판매를 개시했다.최근에는 다카라츠카 가극단, 거인전이라고 하는 메이저인 티켓도 취급하고 있다.

일본 이외

티켓 마스터
세계 최대의 대기업 플레이 가이드.근년은 배리・디라티켓 현대적으로 매수되고 있다.일본에서는 전개되어 있지 않다.
Ticketsk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전개되고 있는 대기업 플레이 가이드.PBL 미디어 산하.

과거에 존재한 대기업 플레이 가이드

티켓 세존
SS커뮤니케이션(현:카도카와・에스・에스・커뮤니케이션)이 운영.이전 세존 그룹이었던 패밀리 마트등으로 제휴하고 있었다.e+의 사업 개시에 수반해 1999년에 사업 종료.또한 e+와 패밀리 마트와의 제휴는 한 번 1998년에 해소의 뒤, 2009년에 개시하고 있어, 사실상 11년만의 재개가 되었다.
마루이 티켓 피아
구 「마루이 티켓 가이드」.마루이가 단독으로 운영하고 있었지만, 그 후 티켓 피아와 사업 제휴해 「마루이 티켓 피아」가 된다.그 후 마루이는 운영으로부터 철퇴, 피어에 일원화되었다(마루이 티켓 피아의 종료시기는 불명).
다이에 오렌지 티켓
로손 티켓의 전신이 되는, 큐슈 지구를 중심으로 전개하고 있던 다이에 계열의 플레이 가이드.전화 예약, 및 큐슈 지구의 다이에 각 점의 서비스 카운터에서 직접 티켓을 구입 할 수 있었다.그 후, 편의점 「로손」에서도 티켓 구입이 가능해졌지만, 다이에 본체의 실적 부진에 의해서, 다이에의 점포로부터 철퇴.편의점 「로손」만의 전개가 되었기 때문에, 새롭게 「로손 티켓」이 된다.

지역적인 플레이 가이드

아트나비
도야마현내의 행사를 전문으로 하고 있어 도야마현내에서 판매중의 행사 정보가 알기 쉽다.또, 다른 인터넷에 의한 티켓 판매 사이트와 같은 아티스트 단위로의 정보 정리가 아니고, 시설 단위로의 정리가 되고 있어 검색하기 쉽다.
티켓 포토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이탈리아 국연탄화수소공사-가 운영하는 플레이 가이드.1987년에 설립.2015년 7월 1일, 주피터 텔레콤의 완전 자회사화가 되어, 2016년경, 치케토포-라든지들 티켓 포토에 표기 변경했다.자사에 의한 흥행・독점 취급 티켓 뿐만이 아니라, 티켓 피아의 대리점 업무도 다룬다.분카 방송과의 연결이 깊고, 분카 방송 미디어 플러스내에 하마마쓰초점을 짓고 있었다(2010년 1월 29일 폐점).사장 안자이범강이 사다 마사시의 중학생 시절의 동급생인 것부터, 라는 연결도 깊다.옥호는, 분카 방송 콘서트 코너→분카 방송치케토포-와→치케토포-와→티켓 포토.
비우플라자
르미네 the 좋아 아래JR동일본이 후원 하고 있는 극단 사계 공연(주로 도쿄 지구)의 티켓을 독자적으로 판매.

관련 항목

This article is taken from the Japanese Wikipedia 플레이 가이드

This article is distributed by cc-by-sa or GFDL license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Wikipedia.

Wikipedia and Tranpedia does not guarantee the accuracy of this document. See our disclaimer for more information.

In addition, Tranpedia is simply not responsible for any show is only by translating the writings of foreign licenses that are compatible with CC-BY-SA license information.

0 개의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