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2월 10일 금요일

원반밧줄

원반밧줄

원반밧줄
생식 연대: Early Ordovician□Early Carboniferous
분류
: 동물계 Animalia
: 극피동물문Echinodermata
: 원반밧줄 Cyclocystoidea
학명
Cyclocystoidea Miller & Gurley, 1895

원반밧줄(인연(테) 번 이렇게, Cyclocystoidea)은, 고생대에 생식 한 극피동물의 분류군의 하나이다.

목차

분포

주로 로렌시아 대륙(현재의 북아메리카 대륙)으로부터 발견되고 있지만, 바르티카 대륙아바로니아 대륙으로부터도 소수가 발견된다.대부분의 화석은 오르도비스기(특히 카티안)부터 낳고 있다.연대가 내릴수록 수는 적게 되지만, 데본기, 석탄기등의 층으로부터도 여러종류가 발견되고 있는[1].

형태・생태

전체적인 형상은, 현금 분류군의 샤린히트데에 자주(잘) 유사하고 있는[2].

링 모양에 줄선 뼛조각을 가지는 것이 최대의 특징이다.이것은 이 분류군에게 특유의 것으로, 분류도 이 뼛조각의 형태에 따라 행해지고 있다.

보존 상태가 나쁜 것으로부터, 내부 구조나 생태에 대해서는 거의 모르는다.하지만, 소화관이 짧은 것으로부터, 대형의 음식을 먹지 못하고, 입을 아래로 해 퇴적물상을 겨 돌고 있었다고 생각할 수 있는[3].

분류

각주

  1. ^ Lefebvre, Bertrand and Sumrall, Colin D and Shroat-Lewis, Rene A and Reich, Mike and Webster, Gary D and Hunter, Aaron W and Nardin, Elise and Rozhnov, Sergei V and Guensburg, Thomas E and Touzeau, Alexandra and others (2013). "Palaeobiogeography of Ordovician echinoderms". Geological Society, London, Memoirs 38 (1): 173-198. doi:10.1144/M38. 14. 
  2. ^ Boczarowski, Andrzej (2001), "Isolated sclerites of Devonian non-pelmatozoan echinoderms", Acta Palaeontologica Polonica 59 
  3. ^ Smith, Arthur B and Paul, Christopher RC (1982). "Revision of the class Cyclocystoidea (Echinodermata)".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Series B, Biological Sciences: 577-679. doi:10.1098/rstb. 1982.0031. 
  4. ^"Apycnodiscidae". 2014년 3월 23일 열람.
  5. ^"Cyclocystoididae". 2014년 3월 23일 열람.
  6. ^ Reich, Mike and Smith, Andrew B (2008). "Scotiadiscus nom. nov., a replacement name forActinodiscus Smith & Paul, 1982 (Cyclocystoidea), preoccupied byActinodiscus de Blainville, 1830 (Anthozoa)". Palaontologische Zeitschrift 82 (1): 100-101. doi:10.1007/BF02988436. 

This article is taken from the Japanese Wikipedia 원반밧줄

This article is distributed by cc-by-sa or GFDL license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Wikipedia.

Wikipedia and Tranpedia does not guarantee the accuracy of this document. See our disclaimer for more information.

In addition, Tranpedia is simply not responsible for any show is only by translating the writings of foreign licenses that are compatible with CC-BY-SA license information.

0 개의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