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2월 14일 화요일

안데사우르스

안데사우르스

안데사우르스
생식 연대: 100□96.2 Ma
지질 시대
백악기전기
분류
: 동물계 Animalia
: 척삭 동물문Chordata
아문 : 척추동물 아문 Vertebrata
: 파충 밧줄 Reptilia
아강 : 쌍궁아강 Diapsida
시모츠나 : 주룡형 시모츠나 Archosauromorpha
치뜬 눈 : 공룡 치뜬 눈 Dinosauria
: 룡반목Saurischia
아목 : 룡각형 아목 Sauropodomorpha
하눈 : 용발밑눈Sauropoda
계급 없음 : 티타노사우르스류 Titanosauria
: 안데사우르스과Andesauridae Calvo & Bonaparte, 1991
: 안데사우르스속Andesaurus
학명
Andesaurus
Calvo & Bonaparte1991
하위 분류()

안데사우르스(Andesaurus "안데스의 도마뱀"의 의미)는 백악기후기, 남아메리카에 생식 하고 있던 기저적인 티타노사우르스류룡각류 공룡의 속의 하나이다.다른 룡각류와 같이 긴 목과 꼬리를 가지고 있었다.지구상 최대의 동물(영문판)을 포함한 근친종 같이, 안데사우르스도 매우 거대한 룡각류였다.

1991년, 고생물 학자 홀헤・칼보(영문판)호세・보나파르테(영문판)는 안데사우르스를 기재, 명명했다.속명은 안데스 산맥고대 희랍어로 「도마뱀」을 의미하는 sauros에 유래하고 있어, 화석이 안데스 산맥의 근처에서 발견되었던 것에 연관된다.유일 알려져 있는 종 A. delgadoi의 종소명은 화석의 발견자 Alejandro Delgado에 헌명 된 것이다.

안데사우르스의 유일한 표본은 부분 골격으로 4개가 연속한 후부의 동추, 2개소 연속한 부분의 합계 27개의 미추가 포함되어 있다.안 정도의 미추의 추체는 홀쪽했던[1].2개의 장골과 치골을 포함한 골반, 늑골의 단편, 불완전한 상완골과 대퇴골도 발견되고 있다.몸의 사이즈는 대체로 체장 15 m, 체중 7 t와 추정되고 있는[2].

화석은 아르헨티나, 네우켄주에 있는 네우켄층군(영문판)으로 가장 낡은 연대의 칸데레이로스 누층군(영문판)으로 발견되었다.이 누층은 백악기전기, 세노만기, 약 1억 년 전부터 9억 7000 만년전에 퇴적한 것이다.칸데레이로스 누층의 대부분은 망상 하천에 의하는 것이어, 안데사우르스의 근처로는 브이트레라프톨(Buitreraptor)이나 거대한 기가노트사우르스와 같은 수각류, 리마이사우르스(Limaysaurus)와 같은 별계통의 룡각류의 화석도 발견되고 있다.

몇개의 조상 형질적인(원시적인) 특징으로부터 안데사우르스는 기존으로는 가장 기저적인 티타노사우르스류로 간주해진다.실제, 티타노사우르스류는 안데사우르스와 사르타사우르스가장 가까운 공통 조상과 그 모든 자손의 쿠레이드로서 정의되고 있는[3].가장 눈에 띄는 조상 형질은 미추간의 관절이다.대부분의 파생적인 티타노사우르스류로는 미추에는 볼-소켓장의 관절이 있어, 전방이 움푹 팬 곳 그리고 소켓상태가 되어 있는(procoelous인 미추)이, 안데사우르스로는 미추의 양단이 평지(amphiplatyan인 미추)이며, 티타노사우르스 유이외의 룡각류로 보여지는 것과 같은 것이 되어 있다.안데사우르스의 독자적인 특징은 현재로서는동추 위의 신경가시나무가 긴 일 1개만으로, 한층 더 연구가 필요하게 되는[4].

아르젠치노사우르스나 프에르타사우르스를 포함한 다른 아르헨티나의 기저적 티타노사우르스류도 거대한 룡각류이며, 한편으로 가장 파생적인 티타노사우르스류인 사르타사우르스과(Saltasauridae)에는 사르타사우르스 그 자체 포함 기존으로 가장 작은 룡각류의 몇개인가가 포함된다.따라서, 최대의 사이즈는 쿠레이드의 것보다 기저적인 종으로 달성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5].

각주

  1. ^ "Caudal Vertebrae," Tidwell, Carpenter, and Meyer (2001). Page 145.
  2. ^ Paul, G.S., 2010, The Princeton Field Guide to Dinosaurs, Princeton University Press.
  3. ^ Salgado, et al. (1997). Wilson and Upchurch (2003).
  4. ^ Upchurch, et al. (2004).
  5. ^ Novas, et al. (2005).

참조

  • Calvo, J.O. & Bonaparte, J.F. 1991. [Andesaurus delgadoi n. g. n. sp. (Saurischia, Sauropoda) a titanosaurid dinosaur from the Rio Limay Formation (Albian-Cenomanian), Neuquen, Argentina. ] w:Ameghiniana. 28: 303-310. [In Spanish]
  • Mannion, P. D. and Calvo, J. O., Anatomy of the basal titanosaur (Dinosauria, Sauropoda) Andesaurus delgadoi from the mid-Cretaceous (Albian□early Cenomanian) Rio Limay Formation, Neuquen Province, Argentina: implications for titanosaur systematics. Zoolog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no. doi:10.1111/j.1096-3642.2011.00699.x
  • Novas, F.E., Salgado, L., Calvo, J.O., & Agnolin, F. 2005. Giant titanosaur (Dinosauria, Sauropoda) from the Late Cretaceous of Patagonia. w:Revista del Museum Argentino de Ciencias Naturales 7(1): 37-41.
  • Salgado, L., Coria, R.A., & Calvo, J.O. 1997. Evolution of titanosaurid Sauropods. I: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the postcranial evidence. w:Ameghiniana. 34: 3-32.
  • Tidwell, V., Carpenter, K. & Meyer, S. 2001. New Titanosauriform (Sauropoda) from the Poison Strip Member of the Cedar Mountain Formation (Lower Cretaceous), Utah. In: Mesozoic Vertebrate Life. D. H. Tanke & K. Carpenter (eds.). Indiana University Press, Eds. D.H. Tanke & K. Carpenter. Indiana University Press. 139-165.
  • Upchurch, P., Barrett, P.M, & Dodson, P. 2004. Sauropoda. In: Weishampel, D.B., Dodson, P., & Osmolska, H. (Eds.). The Dinosauria (2nd Edition).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p. 259□322.
  • Wilson, J.A. & Upchurch, P. 2003. A revision of Titanosaurus Lydekker (Dinosauria – Sauropoda), the first dinosaur genus with a'Gondwanan'distribution. Journal of Systematic Palaeontology 1(3): 125□160.

This article is taken from the Japanese Wikipedia 안데사우르스

This article is distributed by cc-by-sa or GFDL license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Wikipedia.

Wikipedia and Tranpedia does not guarantee the accuracy of this document. See our disclaimer for more information.

In addition, Tranpedia is simply not responsible for any show is only by translating the writings of foreign licenses that are compatible with CC-BY-SA license information.

0 개의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