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 해의 루네
「실 해의 루네」 | ||||
---|---|---|---|---|
레프트・뱅크의 싱글 | ||||
수록 앨범 | Walk Away Renee/Pretty Ballerina | |||
B면 | I Haven't Got the Nerve | |||
릴리스 | ||||
녹음 | 1966년![]() | |||
장르 | 팝・락、바로크・팝 | |||
시간 | <time datetime="2:43">2:43 | |||
라벨 | Smash | |||
작사・작곡 | 마이클・브라운, 토니・삼손, 보브・카리리 | |||
프로듀스 | 하리・르코후스키 | |||
연표 | ||||
| ||||
「워크・어웨이・레니」 | ||||
---|---|---|---|---|
포・탑스의 싱글 | ||||
수록 앨범 | Reach Out | |||
릴리스 | ||||
녹음 | 1967년 | |||
장르 | 소울뮤직 | |||
라벨 | 모타운 | |||
작사・작곡 | 마이클・브라운, 토니・삼손, 보브・카리리 | |||
연표 | ||||
| ||||
「실 해의 루네(Walk Away Renee)」는, 아메리카 합중국의 밴드인 레프트・뱅크가 1966년에 히트 시킨 곡으로, 싱글은 1966년 7월에 스매쉬・레코드(Smash Records)로부터(acute accent가 부족한) 「Walk Away Renee」로서 릴리스 되었다.이 곡은, 이 밴드로 키보드를 연주하고 있던, 당시 16세의 마이클・브라운(Michael Brown), 본명 마이클・르코후스키(Michael Lookofsky)가, 토니・삼손(Tony Sansone), 보브・카리리(Bob Calilli)와 공작 한 것이다.이 곡은, 모타운의 그룹인 포・탑스에 의해서, 1968년에 다시 차트에 오르는 히트가 된[1].
일본어에 있어서의 곡명의 표기에는 흔들림이 있어, 커버・버전의 곡명 표기등에서는 「사랑해의 루네」[2], 「워크・어웨이・루네」[3], 「워크・어웨이・레니」[4]라고 하는 곡명으로 언급되는 일이 있다.
목차
개요
이 곡의 반의 인스톨 멘탈 연주에 의한 브릿지로는, 플룻의 솔로가 들어진다.마이클・브라운은, 플룻의 솔로를 넣는다고 하는 아이디어를, 1965년 11월에 녹음되어 1966년 초부터 활발히 방송 나갈 수 있는 히트가 되어 있던, 마마스&파파스의 「꿈의 캘리포니아(California Dreamin')」로부터 도입한[5].편곡에는, 대대적으로 현악 오케스트라가 포함되어 인상적인 하프시코드(쳄발로)나, 크로마틱크에 하강해 나가는 베이스등의 특징으로부터, 이 밴드의 사운드는 비평가들에 의해서 「바로크・팝」[6]이라든지, 「바흐=락(Bach-Rock)」, 「바록쿤로르(Baroque n Roll)」 등 이라고 칭해지게 된[7].
「롤링・돌」잡지는, 「롤링・돌이 선택하는 올 타임・그레이 테스트・송 500」에 대해 제220위에 이 곡을 들고 있는[8].발매 후, 이 곡은 13주일에 걸쳐서 차트에 머물어, 최고위는 5위인[9].이 곡은, 그 후, 여러가지 장르나 스타일의 가수들에 의해서 녹음되어 히트 하는 일도 자주 있었다.(자세한 것은,#주된 커버・버전절을 참조)
실재의 루네
이 곡은, 당시 레프트・뱅크의 베이시스트, 톰・핀(Tom Finn)의 걸프렌드로, 브라운도 마음을 보내고 있던 루네・풀러 덴=캠(Renee Fladen-Kamm)에 대하고 브라운이 쓴 다수의 곡의 하나이다.그녀는 밴드와 수주일에 걸쳐서 행동을 같이 한, 자유로운 정신을 가진 장신, 금발의 인물이었다.이 곡은, 브라운이 그녀를 만나 한달 지난 시점에서 쓰여진 것인[10].「실 해의 루네」는, 연정에 우쭐한 브라운이, 이 새로운 뮤즈를 만난 후에 쓴 일련의 러브・송의 하나인[11].그녀에 대해 쓰여진 곡은, 그 밖에도, 밴드에 있어서 2곡째의 히트가 된 「Pretty Ballerina」나, 「She May Call You Up Tonight」등이 있다.그 후, 몇 십년에 걸쳐 그녀의 소식은 전해지지 않았지만, 2001년에, 서해안에서, 가수, 성악 교사, 아티스트로서 건재하다라고 하는 것이 밝혀진[12][13].
후에 브라운은, 그녀에 대한 자신이 보답 받을리가 없었던 애정에 대해서, 「나는 일종의 신화적인 연애를 하고 있었다, 알아줄까, 사실이라든지 실제의 행위라든지 근거도 없는 채에 말이야.... 하지만, 나는 누구보다 진짜에 가까워질 수 있었다」라고 말하고 있는[10].
풀러 덴=캠은, 이 곡의 레코딩에 입회하고 있어 그녀가 있던 것으로, 이 곡은 완성하지 않는 채로 끝나 갔다.인터뷰 중(안)에서 브라운은, 「연주하려고 했지만 나의 손은 떨리고 있었어, 컨트롤・룸에 그녀 개탄이니까」, 「그녀 개탄은 연주는 할 수 없었으니까, 나중에 스튜디오로 돌아와 다시 했다」라고 말하고 있는[14].
세션의 상세
- 드람스:알・로쟈스(Al Rogers)
- 베이스:존・Abbott(John Abbott)
- 기타:조지・하슈(George (Fluffer) Hirsh)
- 하프시코드:마이크・브라운(Mike Brown)
- 현악기:하리・르코후스키&프렌즈(Harry Lookofsky & Friends)
- 플룻:미상(세션・뮤지션)
- 편곡:존・Abbott
- 리드・보컬:스티브・마턴・카로(Steve Martin Caro)
- 배킹・보컬:조지・캬 멜론(George Cameron), 톰・핀(Tom Finn)
- 엔지니어:스티브・제로므(Steve Jerome)
- 스튜디오:World United NYC
- 녹음 시기:1966년 초
- 프로듀서:하리・르코후스키, 스티브・제로므, 빌・제로므(Bill Jerome)[15]
주된 커버・버전
포・탑스는, 이 곡을 1967년의 앨범 「Reach Out」으로 채택했지만, 이 버전은 이 곡의 커버・버전으로서 가장 유명하게 된 것이라고도 말하기도 해[16], 1968년에는 「빌보드」잡지의 Billboard Hot 100으로 14위까지 상승해, 전영싱글 차트에서도 3위까지 달한[17][18].
릭키・리・존스는, 1983년의 EP앨범 「Girl at Her Volcano」로 커버했다.
1970년대에 활약한 일본의 아이돌 듀오인 핑크・레이디는, 1979년에 세계 각국에서 발매한 싱글 「Kiss In The Dark」의 B면에, 이 곡을 수록했다.이 버전은, 일본어로는 「워크・어웨이・루네」라고 표기되는[3].
린다・론슈탓트와 안・사보이(Ann Savoy)는, 이 곡을 2006년에 공작 한 앨범 「Adieu False Heart」에 거두고 있다.이 버전에 대해 「뉴욕・타임즈」지의 비평가 존・페아레스(Jon Pareles)는, 「그녀들이 녹음한 레프트・뱅크의 1965년의 히트 「실 해의 루네」는, 가사에 담겨진 아픔을, 완전한 평온함으로 바꾸고 있어 론슈탓트를, 원래 그녀가 등장한 장소인 팝=락의 세계에, 잠시동안이면서 재등장시키는 것이 되어 있다」라고 평가한[19].
출전・각주
- ^ Gilliland, John (1969년). "Show 37 – The Rubberization of Soul: The great pop music renaissance. [Part 3] : UNT Digital Library (audio)". Pop Chronicles. Digital.library.unt.edu. 2011년 4월 29일 열람.
- ^더・콜렉터즈의 커버・버전에의 언급에 있어서의 사용예:"더・콜렉터즈 취입 레코드 일람표 UFO CLUV + 5". 일본 컬럼비아. 2014년 1월 25일 열람.
- ^ a b핑크・레이디의 커버・버전에의 언급에 있어서의 사용예:"핑크・레이디・인 USA". 빅터 엔터테인멘트. 2014년 1월 25일 열람.
- ^포・탑스의 커버・버전에의 언급에 있어서의 사용예:"포・탑스・모타운・그레이 테스트・힛트". Billboard Japan / Hanshin Contents Link Corporation, PLANTECH Co.,Ltd. & Prometheus Global Media, LLC.. 2014년 1월 25일 열람.
- ^"California Dreamin', Present at the Creation". NPR. 2011년 4월 29일 열람.
- ^ Roger Bourland (July 15, 2006). The Left Banke: Walk Away Renee. rogerbourland.com
- ^ I'VE GOT SOMETHING ON MY MIND: LEFT BANKE. urbanhonking.com (June 6, 2004). Accessed may 6, 2008
- ^ The RS 500 Greatest Songs of All Time : Rolling Stone. Retrieved on 2013-01-16.
- ^ Walk Away Renee. Rolling Stone (December 9, 2004)
- ^ a b Walk Away Renee from leftbanke.nu
- ^ Dave Simons Studio Stories: How The Great New York Records Were Made : From Miles To Madonna, Sinatra To The Ramones Page 168 Backbeat Books, 2004 ISBN 0-87930-817-6
- ^ Renee's Still Walking Away, 40 Years On by John Stodder Sunday, July 30, 2006 from the Blog From the Desert to the Sea… Accessed August 28, 2008
- ^ Mary Devlin Medieval Music, Magical Minds 2001 Page 21 "Renee Fladen-Kamm, my longtime vocal coach and vocal director of the Sherwood Consort, is a highly trained and skilled light lyric soprano, who has performed not only early music but opera as well—most often Mozart, who was partial to the ..."
- ^ The Left Banke from ClassicBands.Com Biographies of your favourite classic rock bands. Accessed May 6, 2008
- ^ Session Notes For Walk Away Renee/Pretty Ballerina LP From Leftbanke.nu
- ^ Studwell, William E.; Lonergan, David (1999). The Classic Rock and Roll Reader: Rock Music from Its Beginnings to the Mid-1970s. Routledge. p. 148. ISBN 0-7890-0151-9.
- ^ Whitburn, Joel. (2008). Top Pop Singles 1955□2006. Record Research Inc. p. 317. ISBN 0-89820-172-1.
- ^ Brown, Tony.; Warwick, Neil (2004). The Complete Book of the British Charts. Omnibus Press. p. 426. ISBN 1-84449-058-0.
- ^ NEW YORK TIMES Review by Jon Pareles posted on Ann Savoy's Official Website
외부 링크
This article is taken from the Japanese Wikipedia 실 해의 루네
This article is distributed by cc-by-sa or GFDL license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Wikipedia.
In addition, Tranpedia is simply not responsible for any show is only by translating the writings of foreign licenses that are compatible with CC-BY-SA license information.
0 개의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