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2월 18일 토요일

ε-카프로락톤

ε-카프로락톤

ε-카프로락톤
식별 정보
CAS 등록 번호 502-44-3 체크
ChemSpider 9972 체크
KEGG C01880
특성
화학식 C6H10O2
몰 질량 114.14 g/mol
밀도 1.030 g/cm3
융점

-1оC

비점

253оC [1]

특기없는 경우, 데이터는 상온(25оC)・상압(100 kPa)에 있어서의 것이다.

ε-카프로락톤(ε-caprolactone, 이푸시롱-카프로락톤)은, 환상 에스테르락톤의 하나로, 화학식이(CH2) 5 CO2의 7원환화합물이다.상온으로는 무색의 액체로, 많은 유기용매와 혼화 한다.공업적으로는ε-카프로락탐의 선구체로서 다량으로 합성된다.소방법에서 규정하는 제4류 위험물 제 3 석유류에 해당하는[2].

목차

합성

ε-카프로락톤은 시클로헥사논과초산으로부터 바이어・비리가 산화에 의해서 공업적으로 합성된다.주로 생산하고 있는 것은 미국의 BASF사, 일본의 다이 셀, 그리고 영국의 Perstorp사이다.

용도

ε-카프로락톤은 그 대부분이ε-카프로락탐의 원료로서 소비되는[3].또, 고도로 특수화 한 폴리머모노머라고 해도 이용된다.개환 중합 시키면 폴리카프로락톤(PCL)이 생성하는[4].

반응

주요한 반응은ε-카프로락탐에의 변환으로, 연간 10억 kg단위로 합성을 하고 있다.ε-카프로락톤을 고온으로 암모니아 처리하면ε-카프로락탐이 생성한다.

(CH2) 5 CO2 + NH3→(CH2) 5 C(O) NH + H2O

ε-카프로락톤을 카르보닐화해, 가수분해하면 피메린�을 얻을 수 있다.락톤환은 알콜이나 등의 구핵시약에 의해 용이하게 개환해, 폴리 락톤을 거쳐 최종적으로는6-히드록시 아디핀산이 된다.

각주

  1. ^ OECD SIDS [www.chem.unep.ch/irptc/sids/OECDSIDS/502443.pdf 502443 - epsilon-caprolactone]
  2. ^법규 정보(도쿄 화성공업 주식회사)
  3. ^ Josef Ritz, Hugo Fuchs, Heinz Kieczka, William C. Moran "Caprolactam" in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2002, Wiley-VCH, Weinheim. doi:10.1002/14356007.a05_031
  4. ^ Horst Kopnick, Manfred Schmidt, Wilhelm Brugging, Jorn Ruter, Walter Kaminsky "Polyesters" in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2002, Wiley-VCH, Weinheim. doi:10.1002/14356007.a21_227

This article is taken from the Japanese Wikipedia ε-카프로락톤

This article is distributed by cc-by-sa or GFDL license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Wikipedia.

Wikipedia and Tranpedia does not guarantee the accuracy of this document. See our disclaimer for more information.

In addition, Tranpedia is simply not responsible for any show is only by translating the writings of foreign licenses that are compatible with CC-BY-SA license information.

0 개의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