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10월 13일 목요일

세메레이니・오스바르드

세메레이니・오스바르드

오스바르트・세메레이니(헝가리어: Szemerenyi Oszvald Janos Lajos, 영어: Oswald John Louis Szemerenyi, 1913년 9월 7일- 1996년 12월 29일)는 런던 출생의 헝가리판 어학자.전문은 인구어 비교 문법.

목차

개략

런던에서 태어났지만 교육은 조국 헝가리에서 받아 그 후 대학에서 교편을 취하지만, 제2차 세계대전의 정치적 혼란을 피해 영국으로 이주.생활을 위한 BBC 근무를 거치고, 간신히 침대 포드 대학 강사로 임명된 것이 1952년이다. 이러한 배경으로부터, 정치에 대한 흥미도 강하고, 자서전으로는 유작으로서"The shift of power in world history and its consequences"라고 저술한다고 예고했지만, 결국 햇빛을 볼 것은 없었다.

세메레이니의 연구 분야는, 저작집Scripta Minora (논문집) 4권과 같이,

  1. 인구비교 문법(비교 언어학)
  2. 라틴어의 연구
  3. 희랍어의 연구
  4. 그 외(특히 이란계 언어의 연구)

된다.단지, 라틴어・희랍어등의 연구라고는 말하지만, 세메레이니의 눈은 항상 인구어 비교 문법/언어학에 향하고 있다.그리고, 개별 언어로부터 인구조어의 재건과 인구조어로부터 각개별 언어에의 발전 과정의 해명에 힘이 따라지고 있다.

세메레이니의 저작은, 개정판, 번역등도 모두 포함하고, 아래와 같은 여구 23점에 오른다(더 논문집 Scripta Minora4권은 1권으로 간주한다.또"Studies in the Kinship Terminology in the IE Languages…"등 전문 잡지에 게재의 장편 논문도,"Bibliographie Linguistique"의 기준에 따라서 단저서와 센다).

Einfuhrung in die vergleichende Sprachwissenschaft

이 중 주요 저서는, 뭐니 뭐니해도"Einfuhrung in die vergleichende Sprachwissenschaft"( 「비교 언어학 개론」)이다.1970년에 초판 발행 이래, 1980년 2판, 1989년 개정 3판, 1990년 4판(단, 실제의 출판년은 1991년)까지 발행되어 또 스페인어(Editorial Gredos, 1978년), 러시아어(Moscow, 1980년)・이탈리아어(Milan, 1985년)・영어(Clarendon Press, Oxford, 1996년)로 번역된 일을 봐도 명료하다.본서는, 서명에 「인구어」라고는 노래하지 않기는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인구비교 언어학 개론」이며, 음운론과 형태론으로부터 마셔 되어 통어론은 포함하지 않는다.그러나, 300페이지를 넘는 결정된 형태로의 인구어 언어학 개론은, 안토와느・메이에의 주요 저서"Introductional'etude comparative des langues indo-europeennes"(1903 연초판, 1937년 8판) 이래의 것이며, 한층 더 메이에의 것과 달리 자설을 전개하면서도 이설・참고 문헌의 매우 넓게 소개하고 있다.많은 전문가가 필독서로서 드는 소이이다.

또한 세메레이니는, 1950년대 후반에, 내용적으로는 Einfuhrung을 견디는"Introduction to IE Philology"를 거의 다 쓰고 있었다.원고 단계에서 168페이지가 인구제어의 개관, 169-346페이지 음운론이었다.이 책은 Einfuhrung 초판(1970년, 12 페이지)에도"...fur 1972 geplanted Buch Introduction to Indo-European Philology"와 구체적인 서명 및 출판 예정년까지 주어 출판이 예고되었다.(아직 1978년의 스페인어(뜻)이유로는, 이 개소는"...mi proyectado libro Introduction to Indo-European Linguistics"와 출판 예정년은 사라져 서명도 변경되고 있다).이 영어의 Introduction는 1978년에 이르러 그 출판이 최종적으로 보류되는 일이 되었지만, 그 원인은 세메레이니의 말을 그대로 빌리면,"I did not work hard enough"(Introduction to IE Linguistics, vii)라는 것 있어, 독일어판 Einfuhrung 출판의 그늘에서 보류된 모습이 된 것이다.

그 한편, Einfuhrung 영역의 이야기는 1972년 3월에 거슬러 올라간다.원저의 출판사(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로부터, 캘리포니아 거주의 Dr.Eugene E.Flajser가 번역을 신청하고 있는 취지의 연락을 받아 또 동씨가 캘리포니아 대학 버클리교의 교수 Dr.Madison Beeler의 Einfuhrung에 대한 고평값을 참조하고 있는 일을 알았던 것이다.거기서, 세메레이니는 Beeler 교수에 편지를 보내, 이렇게 고했다.「Introduction to IE philologu가, 올해는 무리여도 내년에는 반드시 영어로 출판됩니다.」라고.그 진심은, 말할 필요도 없이 「영어(뜻)이유의 출판은, 영문판 Introduction 출판을 저해할 수도 있는 것으로 멈추면 좋겠다」라고 하는 일.즉, Einfuhrung 영어(뜻)이유의 출판은, 세메레이니 스스로가 소멸시킨 것이어, 그 의미로, 영면의 직전에 대망의 영역의 출판을 볼 수 있던 일은 최상이었다.

덧붙여 세메레이니의 영문판 Introduction에의 집착의 힘은 상당한 것이 있어, Einfuhrung 제 3판(1989년, 13 페이지)에도 타서의 소개에 임해 괄호 첨부로, 「저자 자신도 10여 년전에, 그 규모는 뒤떨어지는 것의 완성시키고 있었다...」라고 간접적으로 언급하고 있는 일로부터도 방문한다.

Richtungen der modernen Sprachwissenschaft

제2의 주요 저서"Richtungen der modernen Sprachwissenschaft, I 및 II"는 현대 언어학의 역사를, 넓은 시야로부터 말한 것으로, 세메레이니가 단순한 비교 언어학자가 아니고, 일반 언어학문법 이론 등 넓은 분야를 연구 대상으로 하고 있던 일을 잘 안다.자서전으로는 속편의 제3권(1960년부터 1990년까지 대상)의 출판을 희망하고 있는 취지의 발언이 있었지만, 실현되지 않았다.

이상의 주요 저서외, 모든 인구제어와 인구비교 언어학에 관한 저작・논문이 있지만, 세메레이니의 특징을 한마디로 말한다고 하면, 그 「철저성(exhaustiveness)」일 것이다.저작 시점에서 입수 가능한 자료・선행 논문을 빠짐없이 정밀 조사・정독해, 그 하나 하나에 대해서 스스로의 소설과 입장을 분명히 해 간다.스스로가 세운 가설에 대한 반증 사례는 죄다 설명 다한다.그 가장 좋은 예가, Pierre ChantraineDictionnaireetymologique de la langue grecque( 「희랍어어원사전」)에 대한 서평일 것이다.분책 간행된 사전에 대해서, 3회에 걸쳐 합계 약 50 페이지에 걸치는 상세한 서평이다.그 두루 미친 철저 모습에, 저자(전책완성을 보지 않고 사망했지만) 스스로가 「본사전의 이용자는, 세메레이니의 서평의 사본을 모두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라고 했을 정도이다.

경력

  • 1913년 9월 7일 런던에서 태어난다(어London Lying-in병원)
  • 1923년 Ujpest 지구의 Imre Madach・고등 학교 입학
  • 1932년 Eotvos College 연구원
  • 1940년 결혼(11월 5일, 아내 Elizabeth Kover)
  • 1941 연초 간행본Az indogerman l, r latin folytatasa(헝가리어, 「라틴어에 있어서의 인구어 유음 소난트」) 출판.어Budapest
  • 1947년 부다페스트 대학교수
  • 1948년 영국으로 이주
  • 1952년 영국 침대 포드 대학 희랍어 학과 강사
  • 1960년 런던 대학 비교 언어학 교수
  • 1965년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수
  • 1982년 영국 학술원 회원(FBA; Fellow of British Academy)
  • 1996년 12월 26일 사망(프라이부르크)

주요 저서

  • 1941년 Az indogerman l, r latin folytatasa( 「라틴어에 있어서의 인구어 유음 소난트」)
  • 1960년 Studies in the IE System of Numerals( 「인구어의 수사 조직의 연구」), Heidelberg
  • 1961년 Trends and Tasks in Comparative Philology ( 「비교 언어학의 경향과 과제」, 런던 대학 개강 강의)
  • 1964년 Syncope in Greek and IE and the Nature of IE Accent( 「희랍어와 인구어에 있어서의 모음 소실, 및 인구어의 악센트의 본질」), Napoli
  • 1970년 Einfuhrung in die vergleichende Sprachwissenschaft( 「비교 언어학 개론」), Darmstadt
  • 1971년 Richtungen der modernen Sprachwissenschaft( 「현대 언어학의 경향」), I, Heidelberg
  • 1977년 Studies in the Kinship Terminology in the IE Languages with Special Reference to Indian, Iranian, Greek and Latin ( 「인구어에 있어서의 친족 명칭의 연구」, Acta Iranica 16 수록)
  • 1978년 Introduccion a la linguistica comparative, Madrid (1970년의 스페인어(뜻)이유)
  • 1979년 Direcciones de la linguistica moderna, I (1971년의 스페인어(뜻)이유)
  • 1980년 Vvedenie v sranitel'noe jazykoznanie (1970년의 노어(뜻)이유)
Einfuhrung in die vergleichende Sprachwissenschaft( 제2판), Darmstadt
Four Old Iranian Ethnic Names: Scythian□Skudra□Sogdian-Saka( 「네 개의 고대 이란계 민족 명칭」, Sitzungsberichte derOsterrich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371 수록), Wien
  • 1982년 Richtungen der modernen Sprachwissenschaft, II(1971년의 제2권), Heidelberg
  • 1985년 Introducione alla linguistica indoeuropea, Milano(1970년의 이탈리아어(뜻)이유)
  • 1986년 Direcciones de la linguistica moderna, II (1972년의 스페인어(뜻)이유)
  • 1987년 Scripta Minora, Innsbruck (논문집)
제1권:Indo-European 제 2권:Latin 제 3권:Greek
  • 1989년 Einfuhrung in die vergleichende Sprachwissenschaft( 제3판), Darmstadt
An den Quellen des lateinischen Wortschatzes(라틴어 어휘의 기원), Innsbruck
  • 1991년 Einfuhrung in die vergleichende Sprachwissenschaft( 제4판), Darmstadt
Summing up a life, Hochschulverlag (자서전)
Scripta Minora Volume IV(라틴어・희랍어 이외의 인구제어), Innsbruck(1-4권의 별책 색인 첨부)
  • 1996년 Introduction to Indo-European Linguistics, Oxford (1991년의 영어(뜻)이유)

주요 논문

  • 1951년 Vistapa; BNF 2, 165-177
  • 1952년 Greekμελλω; A historical and comparative study, AJPh 72, 346-358
  • 1956년 Latin tantus quantus and the genitive of price. With an excursus on quando and Greekπην□κα; Glotta 35, 92-114
Latin res and the IE long-diphthong stem nouns; KZ 73, 167-202
  • 1959년 Latin hibermus and Greekχειμελιν□□. The formation of time-adjectives in the Classical Languages; Glotta 38, 107-125
  • 1962년 Principles of etymological research in the IE languages; Fachtagung fur indogermanische und allgemeine Sprachwissenschaft, Innsbruck, 175-212
  • 1963년 Structuralism and substratum: IE and Semites in the Ancient Near East; Lingua 13, 1-29
  • 1967년 The alleged IE *sor-'woman'; Kratylos 11, 206-221
The New Look of IE. Reconstruction and typology; Phonetica 17, 56-99
  • 1968년 Si parentem puer verberit, ast olle plorassit; Beitrage zur ALten Geschichte und deren Nachleben, Festschrift fur Franz Altheim zum 6.10. 1968, Berlin, I, 173-191
  • 1971년 The name of the Picentes; Sprache und Geschichte, Festschrift fur Harry Meizer um 65, Munchen, 531-544
  • 1973년 Greekπολυ□andπολλο□;KZ 88, 1-31
  • 1974년 Gaulish dedicatory formula; KZ 88, 246-286
  • 1978년 Vedicsam, sam yoh, andsam(ca) yosca; InL 4, 159-184
  • 1979년 Semitic influence on the Iranian lexicon I, 1-3; The Bible World, Essays in Honor of H.Gordon, NY, 221-237
  • 1985년 Syntax, meaning, and origin of the IE particle kwe; Collectanea Philologica, Festschrift fur Helmut Gipper zum 65, Baden-Baden, II, 747-775
(세메레이니는 약 150편의 논문을 발표하고 있다.상기의 「주요 논문」은, 자서전"Summing up a life"에 두고, 세메레이니 자신이 선택한 것)

서평

  • Pierre Chantraine, Dictionnaireetymologique de la langue grecque ( 「희랍어어원사전」)

기념 논문집 등

  • A) Studies in Diachronic, Synchronic and Typological Linguistics: Festschrift for Oswald Szemerenyi on the occasion of His 65th Birthday
  • B) Essays in Linguistics and Philology offered in honor of Oswald Szemerenyi on his occasion of 71st birthday, 1985
  • C) Prehistory, History and Historiography of Language, Speech, and Linguistic Theory (Papers in Honor of Oswald Szemerenyi)
  • D) Historical Philology: Greek, Latin and Romance: Papers in Honor of Oswald Szemerenyi II

This article is taken from the Japanese Wikipedia 세메레이니・오스바르드

This article is distributed by cc-by-sa or GFDL license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Wikipedia.

Wikipedia and Tranpedia does not guarantee the accuracy of this document. See our disclaimer for more information.

In addition, Tranpedia is simply not responsible for any show is only by translating the writings of foreign licenses that are compatible with CC-BY-SA license information.

0 개의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