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9월 15일 목요일

단상교류

단상교류

단상교류(타응창고우리우)는, 2개의 전선을 이용해 교류 전류를 전송하는 방법인[1].삼상 교류에 대해서 전력의 전달 효율은 낮기 때문에, 송배전용의 방법으로서는 이용되지 않고, 주로 저압 배전 계통(저압 전등선)에 이용되는[2].

일본에 있어서의 단상교류 배전 방식

일본에 있어서는, 단상교류에 있어서의 전력 공급은 거의 저압 배전 계통에 한정된다.고압 배전 계통으로부터 단상주상 변압기등으로 전압을 내린 후, 2개 또는 3개의 전선을 이용해 옥내 배선에 공급하고 있는[2].

  • 단상 2 선식-단상교류선 2개를 사용한다.중 1개는 접지선이 되는[2].출력전압은 100 V.
  • 단상 3 선식-변압기의 저압측 중성점과 양외측의 출력을 사용한다.중성점은 접지 해 중성선으로 한다.양외측 출력전압은 200 V, 중성선과 한쪽 편 출력간에서 100 V가 되는[2].

단상 3 선식은, 대지 전압은 단상 2 선식과 같지만 배의 전압을 얻을 수 있어 한편, 전압강하나 전력 손실을 저감 할 수 있으므로[2], 제2차 세계대전 후에 급속히 보급되어 있는[1]

각주

  1. ^ a b전기 학회편 「전기 공학 포켓 북」 제11편송전 2.2. 2 - 2.2. 5, 오움사, 1959년
  2. ^ a b c d e전기 학회 「송배전 공학」 제4장 배전, 오움사, 1980년
  3. ^「전기 에너지 응용」열람

관련 항목

This article is taken from the Japanese Wikipedia 단상교류

This article is distributed by cc-by-sa or GFDL license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Wikipedia.

Wikipedia and Tranpedia does not guarantee the accuracy of this document. See our disclaimer for more information.

In addition, Tranpedia is simply not responsible for any show is only by translating the writings of foreign licenses that are compatible with CC-BY-SA license information.

0 개의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