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5월 5일 금요일

상대 리스크 감소

상대 리스크 감소

상대 리스크 감소(조퇴 다람쥐 충언 짊어진다)란, 「상대 리스크 감소율」혹은 「상대 리스크 감소도」, 「상대 리스크 저하」등이라고도 불려 역학에 있어서의 지표의 하나로, 「폭로군과 비폭로군에 있어서의 질병의 빈도의 비」인 「상대 위험도」를 1으로부터 뺀 것.백분율로 표시하는 경우는, 「100%상대 위험도(%)」가 된다.폭로(개입)에 의한 상대 위험도의 감소 분의 비율을 나타낸다.

질병과 폭로의 비교
질병 있어 질병 없음
폭로 있어 A B A+B
폭로 없음 C D C+D
A+C B+D T

R:상대 리스크 감소

리스크비로서는 「상대 위험도」가 이용되어 요인의 폭로에 의해 리스크가 상승하는 경우는 「과잉 상대 위험도(잉여 상대 리스크, 상대 리스크 증가)=상대 위험도-1」을 요구하지만, 요인의 폭로(개입)에 의해 리스크가 저하하는 경우는 「상대 리스크 감소=1-상대 위험도」를 요구한다.

같이 리스크차이로서는, 요인의 폭로에 의해 리스크가 상승하는 경우는 「기여 위험도(절대 리스크 증가)=폭로군의 발생율-비폭로군의 발생율」을 요구하지만, 요인의 폭로(개입)에 의해 리스크가 저하하는 경우는 「절대 리스크 감소=비폭로군의 발생율-폭로군의 발생율」을 요구한다.

관련 항목

참고 문헌

  • 오쿠다 치에코저 「도구로서의 통계학(개정 제 2판)」김 칸바시당, 2011년, P119, ISBN 978-4-7653-1501-2
  • 오쿠다 치에코저 「단지 이만큼!통계학」김 칸바시당, 2009년, P40-44, ISBN 978-4-7653-1392-6
  • 오쿠다 치에코저 「의약 연구자를 위한 연구 디자인에 맞춘 통계 수법의 선택 방법」김 칸바시당, 2009년, P97-98, ISBN 978-4-7653-1376-6
  • 노무라 히데키, 마츠쿠라지치저 「임상의에 의한 임상의를 위한 사실은 상냥한 임상 통계」나카야마 서점, 2005년, P15-16, ISBN 978-4-521-01901-7
  • 노토양저 「쉬운 에비덴스의 읽는 법・사용법」난코우당, 2010년, P94-95, ISBN 978-4-524-26208-3
  • 노토양저 「임상 통계 초의 한 걸음 Q&A」양토사, 2008년, P93-95, ISBN 978-4-7581-0655-9

This article is taken from the Japanese Wikipedia 상대 리스크 감소

This article is distributed by cc-by-sa or GFDL license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Wikipedia.

Wikipedia and Tranpedia does not guarantee the accuracy of this document. See our disclaimer for more information.

In addition, Tranpedia is simply not responsible for any show is only by translating the writings of foreign licenses that are compatible with CC-BY-SA license information.

0 개의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