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5월 11일 목요일

아트라・하 시스

아트라・하 시스

아트라・하 시스 또는 아트라하시스/아트라・하시스< Atra-Hasis > (은)는, 기원 전 18 세기에 3장의 점토판악카드어로 기록된 서사시(국역예 「아트라・하 시스 신화」, 혹은 「아트라・하 시스 서사시」)의 주인공[1]. 이른바 「대홍수 전설」에 등장하는, 「구약 성서」의 「창세기」6장~수록 「노아의 방주」의 주인공 노아에 해당되는 인물[2].

목차

호칭

아트라・하 시스는 악카드어로 「현 나무자[3]」 「최고의 현자[2]」의 뜻으로 신어계이며, 원래는 아트람・하 시스< Atra-m-hasis > (으)로 불린[4].「아트라・하 시스 서사시」이외에도 각 신화나 전승에 이름을 바꾸어 등장하지만, 이하에 나타내는 사람은 기본적으로 동일 인물로서 그려진다.

예로서 「기르가메슈 서사시」에 있어서의 그는 고바비로니아어의 우타나피슈티무< Uta-napistiim >( 「생명을 본 사람」의 뜻[5])의 변형명으로 풀어진 우트나피슈티무(영문판) < Ut-napishtim >과 기술되어 있는 것 외, 슈메이르어의 대홍수 전설로는 「영원의 생명[6]」 「영속 하는 생명[5]」의 뜻인 지우스드라 또는 지우스두라< Ziusu-dra >로 불렸다.덧붙여 지우스두라에 대해서는 근년, 「지우드스라」라고 읽어야 하는 것이다라는 설이 나와 있는[6].

헬레니즘 시대에는 베롯소스저그리스어판 「바비로니아사」에 대하고, 지우스두라의 그리스어화인 빗 파업 로스의 이름으로 전해진[7].

개요

  • 압사 리어판:앗슈르바니팔의 도서관니네베)(으)로부터 발견
  • 우가릿트로부터 아트라・하 시스 서사시의 단편이 발견.
  • 엔릴은, 심술궂은, 변덕스러운 성격에 그려져 엔키는 상냥하게 도움이 되는 성격과 그려진다.

연표

  • 1876년, 조지・스미스The Chaldean Account of Genesis[8]에 의해서 최초로 번역.
  • 1899년, Heinrich Zimmern에 의해 주인공의 이름이 Atra-Hasis가 된다.
  • 1991년, 스테파니・다리(Stephanie Dalley)는, 아트라・하 시스와 그리스 신화의 홍수를 일으키는 데우카리온의 아버지 프로메이테우스와의 이름의 유사를 지적[9].
  • 1965년, W. G. Lambert와 A. R. Millard[10]은, 고바비로니아판(기원 전 1650년 기술)을 포함한 자료를 발표[11].
  • 1992년, 발터・브르케르트[12]는, 이리아스」와의 관련성을 논한다.

개요

상술의 점토판 3장에 대해.

점토판 1

아누(하늘), 엔릴(바람), 엔키(수)에 의한 우주의 창조(창조신이야기)

엔릴은, 하위의 신들에 농업, 치수를 명하는[13].40년 후, 하위의 신들은 반란을 일으킨다.엔키는, 인간을 만들어 농업과 치수를 실시하게 하는 것을 제안. 

모신닌후르사그(마미)는, 죽은 지혜의 신게슈트워에(Geshtu-e)의 고기와 피를 혼합한 점토로 인간을 만드는[14].신들은 점토에 침을 혼합한다.10개월 후, 인간이 탄생. 

점토판 2

인간의 과잉 인구, 엔릴은 인구를 줄이기 위해서 기아한발을 1200년 마다도 늘어뜨린다. 엔릴은, 인간을 파괴하기 위해서 홍수를 일으킬 것을 결정한다.

점토판 3

기르가메슈 서사시:점토판 11에서 재차 기재.

엔키는, 슈룹파크의 아트라・하 시스에, 집을 해체하고 배를 만들어, 엔릴이 일으키려 하고 있는 홍수로부터 피난할 방법을 이야기한다. 아트라・하 시스는, 그와 그의 가족, 동물과 배를 타 문을 닫아 피난. 폭풍우와 홍수가 일어나고 나서 7일 후, 아트라・하 시스는 신들에 살려 지를 바친다.엔릴은, 엔키가 계획을 흘린 것을 비난하는 것도, 엔키와 엔릴은 화해.

관련 항목

각주

[헬프]
  1. ^ Lambert and Millard, pages 8□15
  2. ^ a b야지마(1982) p. 129
  3. ^야지마(1998) p. 128
  4. ^월본(1996) p. 148
  5. ^ a b월본(1996) p. 106
  6. ^ a b오카다・코바야시(2008) p. 52
  7. ^오카다・코바야시(2008) pp. 67-68
  8. ^ http://www.archive.org/details/thechaldeanaccou00smituoft The Chaldean Account of Genesis, New York: Scribner, Armstrong & Co., 1876. From Internet Archive.
  9. ^ Dalley, ed. and trans. Myths from Mesopotamia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1
  10. ^ Lambert and Millard, Cuneiform Texts from Babylonian Tablets in the British Museum, London, 1965.
  11. ^ Lambert and Millard, Atrahasis: The Babylonian Story of the Flood, Oxford, 1969
  12. ^ Burkert, The Orientalizing Revolution: Near Eastern Influence on Greek Culture in the Early Archaic Age (Harvard) 1992, pp 88□91.
  13. ^ The Akkadian determinative dingir, which is usually translated as"god"or"goddess"can also mean"priest"or"priestess"(Margaret Whitney Green, Eridu in Sumerian Literature,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hicago [1975], p. 224) although there are other Akkadian words (e.g.enu andentu) that are also translated priest and priestess. The noun"divine"would preserve the ambiguity in dingir.
  14. ^ On some tablets the under-god Weila or Aw-ilu, was slain for this purpose.

참조

  • W. G. Lambert and A. R. Millard, Atrahasis: The Babylonian Story of the Flood, Eisenbrauns, 1999, ISBN 1-57506-039-6.
  • Q. Laessoe, "The Atrahasis Epic, A Babylonian History of Mankind", Biblioteca Orientalis 13 [1956] 90□102.
  • Jeffrey H. Tigay, The Evolution of the Gilgamesh Epic,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Philadelphia, 1982, ISBN 0-8122-7805-4.
  • 「메소포타미아의 신화」야지마 후미오, 지쿠마 서점, 1982년 7월.
  • 「기르가메슈 서사시」야지마 후미오((뜻)이유), 지쿠마 서점, 1998년 2월.

외부 링크

This article is taken from the Japanese Wikipedia 아트라・하 시스

This article is distributed by cc-by-sa or GFDL license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Wikipedia.

Wikipedia and Tranpedia does not guarantee the accuracy of this document. See our disclaimer for more information.

In addition, Tranpedia is simply not responsible for any show is only by translating the writings of foreign licenses that are compatible with CC-BY-SA license information.

0 개의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