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타이바・이븐・이슬람교
쿠타이바・이븐・이슬람교 | |
---|---|
탄생 | 669 바스라 |
사망 | 715/716 페르가나 |
활동 기간 | 700 이전 – 715 |
쿠타이바・이븐・이슬람교(아라비아어:□□□□□□□□□□□□, 전명:□□□□□□□□□□□□□□□□□□□□□□□□□□□□□□□□□□□□□AbuHafsQutayba ibn AbiSalihMuslim ibn□Amr al-Bahili)[1] (669□715/716)은, 말 아니아침 칼리프국을 시중든 아랍인의 군인이며, 호라서 총독이 되어, 와리드 1세(705□715)의 시대의 마・짚-・안나훌의 정복으로 알려진다. 뛰어난 병사이며 행정관인 그는, 당지역의 이슬람교 지배를 확립해, 마・짚-・안나훌의 대부분까지 칼리프국의 영역을 펼쳤다.705년부터 약 710년까지 트하리스탄 재지의 오구니에 대한 이슬람교 지배를 확립해, 브하라의 오구니를 정복했다.또 그는 710□712에 호라즘을 정복해 사마르칸드를 획득해 소그디아나의 정복을 완료했다.후에 시르다리야강계곡에의 길을 열어, 만년에 쿠타이바는 매년 거기에 출정 해 페르가나에 이슬람교 지배를 펼쳤다.파악하는 인적 노동력을 늘리기 위해, 쿠타이바는 대규모 재지 호라서인과 소그드인 병사의 징용을 개시해, 아랍인 이슬람교 병사 군단과 함께 싸우게 했다.와리드 1세의 죽음의 후 쿠타이바는 신체제의 아래 자신의 지위가 위험해져, 반란을 일으켰지만 자군의 지지를 얻는데 실패해, 패배해 살해되었다.마・짚-・안나훌궸 둘 수 있는 그의 정복의 대부분은, 그의 사후 없어졌다.740년대가 되어 처음 쿠타이바의 도달선을 회복해, 751년의 타라스 하반의 싸움의 뒤 겨우 강고하게 이슬람교 지배에 놓여지게 되었다.
중국어 자료의 「책부원귀」에서는"굴해저파"로서 나타난다.
목차
생애
쿠타이바는 669년에 바스라로 태어났다.가족은 바스라의 유력자였다.그는700/701해의 아브두라후만・이븐・알=아슈아스(Abd al-Rahman ibn al-Ash'ath)의 en:Khurramite 반란의 진압에 참가하고 두각을 나타내, 이라크와 동부의 총독 알=핫쟈쥬・분・유스후(en:Al-Hajjaj ibn Yusuf)에 내세울 수 있다.알=핫쟈쥬의 비호아래, 701년 우말・이븐・아비-・알=사르트(Umar ibn Abi'l-Salt)의 반란으로 레이(이란)의 땅을 획득해, 이 도시의 지배자가 된다.[1]그리고704/705해카리후아브두르마리크는 쿠타이바를 호라서 총독으로 임명한다.쿠타이바를 선택한 것은, 출신 부족이며 비교적 약했던 바히라족(bahila, ar:□□□□□)에 환영되었다.이 선택은 어느 쪽에도 속하지 않는 지배자를 주는 것으로 호라서에 있어서의 남아프리카 러브인 즉 「예멘인」(아즈드족en:azd)과 북 아랍인(카이스족en:qays)이라고 하는 2살의 부족 동맹의 파괴적 확집을 그만두게 하려는 알=핫쟈쥬의 의도에 의하는 것이었다.바히라족은 2개의 그룹에 중립이었지만, 대부분 카이스족과 동맹하고 있었으므로, 야즈드・빈・알=무핫라브의 치세에 호라서로 우세했던 아즈드족의 힘을 약한나름이라고 하는 알=핫쟈쥬의 정책은 추진되었다.더하고, 쿠타이바는 자신의 부족적 기반을 가지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자신의 비호자에게 강고하게 계속 따를 것이라고 기대되었다. [1][2][3][4]쿠타이바는 다음 10년간 중앙 아시아에서 지내, 거기의 이슬람교 지배를 굳혀 넓혔다.이 원정으로, 그의 군과 외교와 조직의 능력이 많이 도움이 되어, 재지의 이란계 주민과 강력한 「디후칸(dihqan)」(지주) 계급의 지지를 얻는 것에 성공했다.[1][5]
트르키스탄과 브하라의 정복
최초로 쿠타이바가 스스로에 부과한 임무는, 하 트하리스탄의 반란의 진압이며, 이것은 바르후의 재정복으로 신속하게 완수할 수 있었다.이렇게 해 쿠타이바는, al-Saghaniyan왕Tish를 시작으로 하는, 상 암다리아강계곡의 재지 제후의 복종을 확실히 했다.페르시아인스 sulaym에 의한 긴 교섭뒤, 에프 탈의 지배자로 바드기스의 왕인 탈 캔 Nizak는 쿠타이바에 항복해, 원정에 동행할 것을 맹세했다.[1][6] 706□709년, 쿠타이바는 길고 참혹한 소그디아나 정복에 전념했다.당시의 소그드인은 내전에서 분열하고 있어, 2개월의 포위의 뒤, 쿠타이바는 거뜬히소그디아나의 수도 브하라에만큼 가까운 파이칸드(필국) en:Baykand의 도시를 획득할 수 있었다.소수의 수비병을 남겨 그는 출발했지만, 곧바로 주민에 의한 반란이 일어났다.아랍군은 귀환해 도시를 약탈했다.전투 연령의 남자는 처형되어 여자보조자는 노예로서 매도해져 요로이나 무기라고 한 방대한 전리품을 쌓아 올릴 수 있어 지급되었다.[1][7][8]잔학한 벌이 약탈된 나라인 바이칸드에 부과되었다.소그드인은 내분을 중단해, 마・짚-・안나훌의 제후는 Wardan Khudah의 아래 단결했다.707년의 원정으로, 쿠타이바는 중심으로부터 멀어진 Tumuskath와 Ramithana의 2개의 마을을 획득했지만, 그 후 마・짚-・안나훌 동맹군에 배후를 위협해졌다.쿠타이바는 싸움을 그만두어 시간 벌기의 교섭을 하고, 철문을 다니며 암다리아강을 테르메즈로 건너 강의 저쪽 편에 재빠르게 퇴각한[9] 708년의 원정도 또 실패에 끝나, 알=핫쟈쥬를 격노시켰다. 709년에, 알=핫쟈쥬는 새로운 계획을 세웠다.아랍군은 브하라에 직접 공격을 걸어 동맹의 지도자의 Wardan Khudah가 갑자기 사망한 것에 의해 약해지고 있던 동맹에 습 있어 걸렸다.도시는 강습되어 20만 디르함의 공납이 부과 되어 아랍 수비병이 놓여졌다.직접적인 여파로서 사마르칸드의 지배자가 쿠타이바헤 외교 사절을 보내, 칼리프국에 진공 종속국이 되었다.[1][10][11][12]
그러나 이 성공의 뒤, 709년의 가을에 바드기스왕Nizak 인솔하는 하 트하리스탄 각지에서 반란이 일어나, 바르후시와 제후의 Yalqa와 Faryab이 지원했다.전 국토를 반란에 일어서게 하기 위해, Nizak는 통상의 트하리스탄 영주 즉 야브그에도 반란에 참가하도록(듯이) 강제했다.이 해는 직접 대결하려면 너무 전진해서 있었기 때문에 공납을 기초로 한 이슬람교군은 거의 해산 하기 시작하고 있었지만, 그러나 쿠타이바는 형제의 아브두라후만에 메르브의 약 12,000명의 수비병을 인솔해 바르후로 향해 이슬람교의 지위를 지키도록(듯이) 명했다.이 움직임에 의해 새로운 제후가 반란에 참가하는 것을 말려 봄에 아브두라후만은 트하리스탄 전 국토에 유혈을 동반하는 일 없이 이슬람교 지배를 재건립 하는 것에 성공했다.반란한 지배자의 대부분은 도망하는지 항복해, 최종적으로 Nizak도 잡혀 조명의 약속에도 불구하고 알=핫쟈쥬의 생명에 의해 처형되었다.또 「야브그」는 다마스쿠스에 추방되어 인질로서 말릴 수 있었다.트하리스탄은 보다 강고하게 칼리프국에 짜넣어져 아랍 지구의 대표자가 재지 제후와 함께 지명되어 재지 제후는 점점 2차적 입장에 쫓아 버려져 갔다.아브두라후만・이븐・이슬람교는 현의 사건을 감시시키기 위해 바르후 근교에 수비병을 주둔 시켰다.[13][14]Nizak의 반란은 잠시동안의 것이었다에도 불구하고, 트하리스탄 북부 산악 지대의 슈만(Shuman) 왕과 아후룬(Akharun 또는 Akhrun) 왕은과 같이 반란을 결심했다.쿠타이바는 군세를 인솔해 요새를 포위해 획득했다.왕은 싸움에 져 그 지지자는 처형되었다.쿠타이바는 철문을 넘어 서쪽에 행군 해, 키슈와 나사후를 취해 브하라를 방문해 아랍과 현지인의 사이에 관계를 두어, 거기서 젊은 소그드인 제후 Tughshada를 「브할・후다(Bukhar-Khudah)」(브하라왕)의 자리에 자리잡아 아랍 군사 식민지를 건립했다.그리고712/713해에, 쿠타이바는 도시의 성새에 회교 사원을 지었다.그렇지만 아랍의 권력자는 현지인의 개종을 예배에 출석하면 보수를 지불하는 것으로 장려했기 때문에, 이스람화는 천천히 진행되었다.[1][15][16]
동시에, 쿠타이바는 동방의 이전의 습관으로부터의 결정적인 배반이 된 처치를 시작했다.그는, 통상 1만에서 2만의 병원으로부터 되어 대부분이 비개종자로부터 되는 현지 호라서인 부대의 징수의 인상을 명해 아랍 부족군 「무카티라(muqatila)」의 보조로 했다.a[□]이 처치는, 후에 소그디아나와 호라즘의 신정복지에 확대되었다.[17][18] Gibb의 시사에 의하면, 이 움직임은 정복지의 지배와 이슬람교 원정의 계속을 위한 보다 많은 부대의 필요성에 응한 것일지도 모르다고 한다.이것은 현지의 노동력을 아랍을 위해서 역 일부러라고 소모되는 수단인 것과 동시에, 반아랍 반란의 리스크를 경감시키기 때문에 있었다.Gibb는 또 현지 세력을 만드는 것은 쿠타이바의 자신의 권력 기반을 건립하려고 한 시도인 것을 시사한다. [19] 712년부터, 쿠타이바는 「궁병(Archers)」으로서 알려진, 특수한 군단을 만들기 시작해 그 중에는 호라서인과 트하라인과 소그드인의 귀족이 있었다.그들의 기능은 「rumat al-buduq」(눈동자를 쏘아 맞히는 사수)로 불려 아마 호위로서 시중들었다.[20] 호라서인 개종자 출신의 하이얀・안=나브티(Hayyan an-Nabati)는 주요한 지도자로서 두각을 나타내, 호라서인의 징집병의 지도자와 소그드인의 주요한 교섭자로서 빈번히 타바리(Tabari)의 보고서에 등장한다.[11]
711년 후반, 알=핫쟈쥬는 쿠타이바에 자브리스탄 en:Zabulistan의 에프 탈인 왕국으로 향해 행군 하도록(듯이) 명했다.여기의 지배자는 en:Zunbil의 칭호를 가져, 오랫동안 아랍측의 불굴의 가시나무계속 이어 시스 턴주 en:Sistan을 위협하고 있었다.또 그에 대한 몇번이고의 원정은 실패하고 있어, 휴전 협정으로 공납의 교환을 합의하고 있었다.더하고, 자유로운 자브리스탄 왕국의 존재는, 트하리스탄의 에프 탈인 오구니에 대한 이슬람교 지배의 안정에 위협이었다.왜냐하면 오구니가 지금부터 구원을 구할 수 있을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타.[21]이렇게 해 쿠타이바는 대군을 인솔해 남쪽을 향했지만, 'Zunbil은 곧바로 항복과 공납의 지불을 신청했다.간단한 성공에 만족한 쿠타이바는, 자브리스탄의 산에서의 원정의 위험을 무릅쓰고 싶지 않았기 때문에, 떨어졌다.수비병이 놓여지지 않았기 때문에, 아랍군이 떨어지자마자, Zunbil은 공납의 지불을 멈추어 버렸다.[22][23][24]
호라즘 정복과 암다리아 원정
쿠타이바의 남부에서의 부재의 틈을 찌르고, 사마르칸드 거주자는 아랍에 대해 수동의 자세였던 지배자를 타도해, 대신에 en:Ghurak를 맞이했다.쿠타이바가711/712해의 겨울에 사마르칸드에의 행군을 준비해 있으면, 호라즘왕에서의 외교 사절이 와 형제의 Khurrazadh에 대한 반란의 지원을 의뢰해 왔다.쿠타이바는 전광석화의 속도로 군세를 진행시켜 형제의 아브두라후만이 Khurrazadh의 군을 물리쳐, 그는 자신이 사용하는 1만의 호라즘인 징용병을 확보했다.그러나 호라즘인은 쿠타이바가 출발하자마자 반란을 일으켜 지배자를 죽였다.새해가 되기 전에 쿠타이바는 알=무기라・이븐・아브두라(al-Mughira ibn Abdullah) 인솔하는 군을 파견해 이 지구를 진압했다.아랍인은 반란을 부추긴 상류계급의 대부분을 학살해, 호라즘에 아랍의 직접 통치를 도입했다.그러나 현지의 왕조는 그 자리소에 남겨졌다.[23][25]
호라즘을 출발하면, 군이 점점 쇠약해 원정을 끝내지 않으면 안 되었기 때문에, 쿠타이바하마먼저 메르브에 되돌렸다.그러나 행군중, 쿠타이바는 갑자기 방향을 바꾸어 사마르칸드로 향했다.소그드인군은 거의 해산했으므로, 아랍인은 적은 방해가 되고 진곧 그 도시로 향해 포위를 깔았다.Ghurak와 도시의 거주자는 결심을 가지고 아랍인에 저항해, 샤슈(타슈켄트)와 페르가나의 영주에게 구원을 요구했다.샤슈의 영주는 강력한 군의 지원을 보냈지만, 매복을 만나 아랍인에 괴멸 당했다.아랍의 공성 병기가 벽에 날마다를 넣었을 때 이 통지가 도착해, Ghurak는 강화 하지 않을 수 없었다.쿠타이바는 최초로 놀라울 정도 너그러운 조건을 승낙했다.그것은 매년의 공납의 지불과 부대의 지급, 도시내의 회교 사원의 건설과 아랍군에 의한 축하의 예배였다.그러나 도시에 들어가면, 쿠타이바는 점령해 수비병을 두었다.그의 형제의 어느쪽이든(아브두라후만이나 아브두라)가 통치자로서 남겨져 비이슬람교가 성새에 들어가는 것을 금하는 명령이 나왔다.Ghurak와 그 종자는 도시를 떠나 아득히 북쪽으로 신도시 Farankath를 건설했다.이 배신 행위에 의해 쿠타이바는 마・짚-・안나훌의 대부분을(가짜였지만) 지배하에 둘 수 있었지만, 동시에 소그드인의 사이에서의 그의 명성은 상당히 손상되었다.[12][26][27][28]
아랍측의 자료로는, 이 때 소그드인의 제후가 서돌궐 또는 돌기시(테르기슈) 부에 아랍에 대항하는 구원을 요구했다고 여겨지지만, 이 기록의 연표와 진실성에 의문이 붙는다.[26][29]어쨌든, 다음 2년간 쿠타이바는 칼리프국의 확대에 종사해 시르다리야강계곡의 지배를 얻었다.대군이, 약 20,000명의 소그드인의 징용병의 도움을 얻고, 713년전반에 계곡으로 입군 했다.현지의 징용병은 샤슈에 파견되어 거기를 획득했다고 전해져 한편 쿠타이바는 아랍인과 함께 호젠드와 페르가나로 진군 했다.이 원정에 대해 남아 모르지만, 호젠드의 전에 우슈르사나 en:Ushrusana의 Minak로의 전승이 기록되어 당의 궁정에 아랍인 사절을 보냈던 것이 중국측의 자료에 의해 증명되고 있다.타바리는 쿠타이바가 당의 영토의 카슈갈까지 진군 했다고 기록하고 있지만, 이 주장은 H.A.R. Gibb에 의해서 각하 되고 있다.[26][30] 714년, 쿠타이바는 아마 샤슈를 거점으로서 시르다리야 강가의 원정을 재개했지만, 알=핫쟈쥬 사망의 통지를 받아들여 이 작전은 중단되었다.비호자의 죽음으로 따라 그의 지위는 불안정이 되어, 그는 군을 해산하면 메르브로 돌아왔다.[31][32]
반란과 죽음
칼리프의 와리드 1세는 쿠타이바의 총독의 지위를 재보증해, 그의 주를 이라크 총독으로부터 독립시켜 조차 했지만, 여전히 쿠타이바의 지위는 불안정했다.아랍군은 끊임없이 계속 되는 원정에 싫증나, 또 여전히에 당파적 경쟁이야는 분열하고 있어, 쿠타이바는 가장 강력한 부족 집단을 싫어하고 있었다.그는 대체로 현지 이란인에게는 인기가 있었지만, 이란인 부대의 지도자의 하이얀・안=나브티는 은밀하게 그 를 거역하게 되어 있었다.그러나 쿠타이바는 완전히 이 상황을 눈치채지 못하고, 715년에 원정의 준비를 시작해 페르가나와 시르다리야강계곡의 완전한 정복을 목론응이다.그의 유일한 관심은, 옛부터의 라이벌의 야즈드・빈・알=무핫라브(Yazid ibn al-Muhallab)가, 알=핫쟈쥬의 사후, 칼리프의 총애를 회복할지도 모른다고 하는 것 뿐이었다.가족과 친족을 메르브로부터 샤슈로 옮겨 암다리아강에 근위병을 두는 것 외는, 거의 주위를 기울이지 않았다.[33][34]칼리프의 와리드 1세의 죽음과 그 남동생 스라이만・이븐・아브두르마리크의 즉위가 전해졌을 때, 페르가나에 대한 작전으로 한창이었다.쿠타이바는 스라이만을 계승으로부터 제외하는 것에 찬성의 논의를 하고 있었으므로, 신칼리프는 쿠타이바의 구적이었다.스라이만은 총독의 지위를 보증했지만, 쿠타이바는 곧 해임이 되는 것은 아닌지와 무서워했다.최종적으로 다마스쿠스에서의 신체제라는 교섭은 실패해, 쿠타이바는 반란을 단행했다.아랍인 징용병은 협력을 거부해, 이란인 부대는 호의적이기는 했지만, 하이얀・안=나브티에 의해서 협력의 선언이 방해되었다.그의 가족과 바히라족의 동료와 근위병의 사수만이 충실했다.반대파는, 타밈족en:Tamim에 이끌려 지도자의 와키우・빈・아비-・스드・악=타미미(Waki ibn Abi Sud al-Tamimi, ar:□□□□□□□□□□□□□□□□□)를 중심으로 단결했다.715년의 8월(타바리에 의하면) 또는 716 년 초두(이븐・쿠타이바 en:Ibn Qutaybah에 의하면)에, 쿠타이바와 그 가족은 페르가나로 아랍인 병사에 살해당했다.와키우・빈・아비-・스드는 총독의 지위를 이어, 군에 메르브에의 귀환을 명해 해산시켰다.[26][35][36][37]
쿠타이바의 사후, 마・짚-・안나훌로의 아랍인의 지위는 곧바로 무너져 떠났다.그의 후계자는, 현지의 반란이나 테르기슈・가한국의 침략에 직면하고, 정복지를 유지하지 못하고, 마・짚-・안나훌의 대부분이 방폐될까 격렬한 계쟁지가 되었다.이 시기에 있고, 아랍인은 「마름의 날(en:Day of Thirst)」나 「액로의 싸움(en:Battle of the Pass)」로의 격렬한 타격에 괴로워해, 타국과의 대립으로 약체화 했다.[38][39] 738년이 되어 겨우, 나술・이븐・사이 마(en:Nasr ibn Sayyar)의 원으로, 말 아니아침은 칼리프국의 마・짚-・안나훌의 거의에 있어서의 지배를 회복하는 것이 되어있어 751년의 타라스 하반의 싸움으로의 압바스아침의 중국에 대한 결정적인 승리로 겨우, 현지 제후는 드디어 이슬람교의 패권을 받아 들였다.. [40][41]남부에서도, 자브리스탄의 Zunbil이 칼리프국에의 공납의 지불을 취소해 수십 년간에 걸쳐 계속 단호히 독립했다.[42][43]쿠타이바가 정복으로 완수한 역할과 점차적인 중앙 아시아의 이스람화는 중대하고, 후세에 페르가나의 그의 무덤은 현지 이슬람교의 순례의 장소가 되었다.[26][44]그의 자손은 영향을 가지는 지위계속 에 있었다.아들의 이슬람교는 바스라의 총독이며, 손자의 아브・암르・사이드・이븐・사룸(Abu 'Amr Sa'id ibn Salm)은 압바스아침에 몇개의 주 총독이었다.[26]
주석
참고
- ^ a b c d e f g h Bosworth (1986), p. 541
- ^ Gibb (1923), pp. 24□27
- ^ Shaban (1970), p. 61
- ^ Wellhausen (1927), pp. 429□430
- ^ Gibb (1923), pp. 29□30
- ^ Gibb (1923), pp. 31□32
- ^ Gibb (1923), pp. 33□34
- ^ Wellhausen (1927), pp. 434□435
- ^ Gibb (1923), pp. 34□35
- ^ Gibb (1923), pp. 35□36
- ^ a b Shaban (1970), p. 65
- ^ a b Wellhausen (1927), p. 435
- ^ Gibb (1923), pp. 36□38
- ^ Shaban (1970), pp. 66□67
- ^ Gibb (1923), pp. 38□39
- ^ Shaban (1970), p. 67
- ^ a b Gibb (1923), p. 40
- ^ Shaban (1970), pp. 65□66, 70
- ^ Gibb (1923), pp. 40□41
- ^ Shaban (1970), pp. 71□72
- ^ Shaban (1970), pp. 67□69
- ^ Bosworth (1986), pp. 541□542
- ^ a b Gibb (1923), pp. 41□42
- ^ Shaban (1970), p. 69
- ^ Wellhausen (1927), pp. 435□436
- ^ a b c d e f Bosworth (1986), p. 542
- ^ Gibb (1923), pp. 44□45
- ^ Shaban (1970), pp. 69□71
- ^ cf. Gibb (1923), pp. 45□47
- ^ Gibb (1923), pp. 48□51
- ^ Gibb (1923), p. 51
- ^ Shaban (1970), p. 74
- ^ Gibb (1923), pp. 51□52
- ^ cf. Wellhausen (1927), pp. 441□443
- ^ Gibb (1923), pp. 52□54
- ^ Shaban (1970), p. 75
- ^ Wellhausen (1927), pp. 439□444
- ^ cf. Gibb (1923), pp. 55, 61□87
- ^ cf. Blankinship (1994), pp. 125□129, 155□161, 176□182
- ^ cf. Gibb (1923), pp. 88□95
- ^ cf. Blankinship (1994), pp. 182□184
- ^ Gibb (1923), p. 54
- ^ Blankinship (1994), p. 110
- ^ Gibb (1923), p. 56
참조 문헌
- Blankinship, Khalid Yahya (1994). The end of the jihad state: the reign of Hisham ibn□Abd al-Malik and the collapse of the Umayyads. Albany,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ISBN 978-0-7914-1827-7 .
- Bosworth, C.E. (1986). "Qutayba b. Muslim". The Encyclopedia of Islam, New Edition, Volume V: Khe□Mahi. Leiden and New York: BRILL. pp. 541□542. ISBN 90-04-07819-3.
- Gibb, H. A. R. (1923). The Arab Conquests in Central Asia. London: The Royal Asiatic Society. OCLC 685253133 .
- Shaban, M. A. (1979). The 'Abbasid Revolu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29534-3 .
- Wellhausen, Julius (1927). The Arab Kingdom and Its Fall. Calcutta: University of Calcutta. OCLC 752790641 .
This article is taken from the Japanese Wikipedia 쿠타이바・이븐・이슬람교
This article is distributed by cc-by-sa or GFDL license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Wikipedia.
In addition, Tranpedia is simply not responsible for any show is only by translating the writings of foreign licenses that are compatible with CC-BY-SA license information.
0 개의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