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2월 17일 금요일

DF-31 (미사일)

DF-31 (미사일)

DF-31 (CSS-9)
종류 ICBM
원개발국 중화 인민 공화국의 기 중화 인민 공화국
운용사
배치 기간 2006년(DF-31), 2007년(DF-31 A)
개발사
제조업자 Academy of Rocket Motors Technology (ARMT)
제원
중량 42 t (41 LT; 46 ST)
전체 길이 13 m (42 ft 8 in)
직경 2.25 m (7 ft 5 in)

탄두 출력 1 MT의 핵탄두 1기, 또는 각각 출력 20, 90, 150 kt의 MaRVs 핵탄두(DF-31 A) 3기

엔진 고체연료
유도 방식 관성 유도와 갱신된 항성 천측 항법
발사
플랫폼
지하 사일로, 8축식 이동식 발사 장치

DF-31(:동풍-31, Dong-Feng-31, 미국 국방총성(DoD) 번호:CSS-10[3])은, 중화 인민 공화국이 개발한 이동식 고체연료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4].중국 인민 해방군 제2 포병 부대에 의해서 운용되고 있다.

목차

개요

DF-31은 DF-4의 후계이며,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JL-2(거랑 2호/CSS-NX-4)로 기본 부분을 공용하는 것이다.1980년대 중기부터 개발이 개시되어 1999년에 시범사격이 성공했다.작전 능력 획득은 2006년경으로 추측되고 있는[5].또, 사정 연신형으로 MIRV 탑재의 DF-31 A나 개발되어 미국 국방총성의 「중국의 군사력 2009」[6]에 의하면, DF-31은 2006년, 그 개량형의 DF-31 A는 2007년에 실전 배치되었다고 추측되고 있다.배치수는 양종류 모두 10기미만[6].

또 중국은 2010년경부터, DF-31의 개량형을 기본으로 한 탄도탄요격 미사일의 실험을 실시하고 있지만, 위성 공격 병기의 실험도 겸하고 있다고 생각되고 있다.

개발 경위

  • 1983년-중항집단 공사, 제2 포병등에 의해 개발 개시[7]
  • 1992년 4월 29일- 제1차 시험.탄두부의 질량에 문제가 있어, 발사 후에 공중 폭발
  • 199?해- 제2차 시험.실패
  • 1995년 11월 10일・1996년 1월 10일- 제3차 시험.모의재돌입체를 탑재
  • 1996년 12월 28일- 제4차 시험.산서성의 기지에서 실시
  • 1997년 12월-무한으로 비행 시험을 실시.같은 달, 잠수함의 발사 관내에서 모의 시험
  • 1998년 12월- 「연발사」실시
  • 1999년 8월 2일-산서성5채기지에서(보다) 신강으로 향해 발사.성공
  • 1999년 10월 1일-건국 50주년의 열병식상에서 공개

배치 방식

DF-31은 미사일 격납 지하시설이나 수송 기립 발사기(transport-erection-launch)로부터 발사된다.현재 DF-31의 수송에는 한양 HY4031TEL이 사용되고 있지만, 이 차량은 도로 이동 전문으로 오프 로드 이동 능력이 전무이다.이것으로는 미사일의 능력이 현저하게 손상되므로, 중국 인민 해방군의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서 높은 오프 로드 이동 능력을 가지는 소련의 SS-20(IRBM)의 수송에 사용되고 있던 Belarus MAZ7916보다 기술 도입한 신형 TEL을 개발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또, 철도 발사형도 개발하고 있다라는 추측도 있다.

사양

 
DF-31의 사정 범위
  • 사정:8,650 km (DF-31); 11,200 km (DF-31A)[6]
  • CEP: 미사일 격납 지하시설 100 m TEL 150 m
  • 탄두: 핵출력 1 MT의 핵탄두 1개, 혹은 3개의 20, 90, 150 kT(선택 가능) MIRV 탄두
  • 유도 장치: 관성 유도 장치
  • 발사 중량:42,000 kg
  • 유료 하중: 1,050-1,750 kg
  • 전체 길이: 13.00 m
  • 직경: 2.25 m
  • 엔진: 삼단식 고체연료 로켓 엔진
  • 개발: Academy of Rocket Motor Technology(ARMT)

각주

  1. ^ a b Office of the Secretary of Defense - Annual Report to Congress: Military Power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08 (PDF)[1]. 50
  2. ^ DF-41, deagel.com
  3. ^ Military and Security Developments Involving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12 , Office of the Secretary of Defense, P7
  4. ^ DF-31/-31A (CSS-9), misslethreat.com
  5. ^중국의 군사력 2007
  6. ^ a b c 중국의 군사력 2009
  7. ^「정 재진행적첩전」, 문토우헤이, 명경 출판사, 2009년, ISBN 978-1-932138-86-3

외부 링크

This article is taken from the Japanese Wikipedia DF-31 (미사일)

This article is distributed by cc-by-sa or GFDL license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Wikipedia.

Wikipedia and Tranpedia does not guarantee the accuracy of this document. See our disclaimer for more information.

In addition, Tranpedia is simply not responsible for any show is only by translating the writings of foreign licenses that are compatible with CC-BY-SA license information.

0 개의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