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2월 4일 토요일

잇몸 접근음

잇몸 접근음

잇몸 접근음
ɹ
IPA 번호 151
IPA 표기 [□]
IPA 화상 Xsampa-rslash2.png
Unicode U+0279
문자 참조 ɹ
JIS X 0213 1-10-76
X-SAMPA r\
Kirshenbaum r
음성 샘플

잇몸 접근음(해 괘선・접근 은혜)과는 자음의 종류의 하나.말투가 잇몸에 접근하는 것으로 만들어진 틈새로부터 생기는 소리.국제 음성 기호로[□]라고 쓴다.

특징

언어예

자음
폐장 기류
양진음 순치 잇몸 후부 잇몸 휘어짐혀 경구개 연구개 구개수 인두 성문
파열 p b (p□) (b□) (t□) (d□) t d ʈ ɖ c ɟ k ɡ q ɢ ʔ
m ɱ (n□) n ɳ ɲ ɴ
떨려 ʙ r (*) ʀ
튕겨 (□□) ɾ ɽ (*) (*)
마찰 ɸ β f v θ dh s z ʃ ʒ ʂ ʐ c ʝ x ɣ χ ʁ h ʕ h ɦ
측면 마찰 ɬ ɮ (*) (*) (*)
접근 (β□) ʋ ɹ ɻ j ɰ
측면 접근 l ɭ ʎ ʟ
비폐장 기류   
흡착 ʘ
입파 ɓ ɗ ʄ ɠ ʛ
방출 t□ʼ (q□)
그 외
이중 조음 ʍ w ɥ ɕ ʑ ɧ
(k□p) (□□b) (□□m)
후두개음 ʜ ʢ ʡ (*) (*)
그 외 측면음 ɺ (*) ()
파찰음 p□□f b□□v t□θ d□dh t□s d□z t□ʃ d□ʒ ʈ□ʂ ɖ□ʐ t□ɕ d□ʑ c□c ɟ□ʝ k□x q□χ t□ɬ d□ɮ
기호가 두 개 줄지어 있는 것은, 왼쪽이 무성음, 오른쪽이 유성음.아미카케는 조음을 불가능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 부분.
환괄호내는 IPA 자음표(2005년 개정판)에 기재없는 것.
국제 음성 기호-자음

This article is taken from the Japanese Wikipedia 잇몸 접근음

This article is distributed by cc-by-sa or GFDL license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Wikipedia.

Wikipedia and Tranpedia does not guarantee the accuracy of this document. See our disclaimer for more information.

In addition, Tranpedia is simply not responsible for any show is only by translating the writings of foreign licenses that are compatible with CC-BY-SA license information.

0 개의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