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O2
The O2 | |
---|---|
정보 | |
구명칭 | 밀레니엄・돔 |
설계자 | HOK Sport(O2아레나) |
준공 | 2007년( 구밀레니엄・돔은 1999년 9월 준공) |
소재지 | The O2 Drawdock Road North Greenwich London, SE10 0BB England |
The O2(지・오 투)는, 잉글랜드의 런던 남동부 그리니지 반도에 있는 대규모 오락시설.구밀레니엄・돔(2000년 12월 31일 폐쇄)의 재개발 사업(증개축 정비)에 의해, 2007년에 개업이 된 시설이다.
목차
개요
안숭트・엔터테인먼트・그룹(AEG)이 2005년에 밀레니엄・돔을 재개발해, 2007년 6월 23일(프라이빗 이벤트를 개최, 일반 공개는 다음 24일)에 대규모 오락시설 「The O2」로서 재개업 한[1][2][3][4][5].덧붙여 밀레니엄・돔을 둘러싸 영국 정부와 직접 계약을 맺고 있는 것은 메리디안・델타(999년간의 리스계약)로, 동사가 AEG에 사브리스 하고 있다.또, O2는 영국의 휴대 전화 회사의 명칭으로, AEG가 동사에 명명권을 매각하고 있는[6].
당시설내에 있는 O2아레나는 2012년의 런던 올림픽 및 패럴림픽의 옥내 회장의 하나가 되고 있어 올림픽으로는 체조나 농구의 경기를 했다.덧붙여 양대 회기 마나카는 IOC의 규정에 의해, 노스・그리니지・아레나(North Greenwich Arena)라고 하는 명칭으로 변경되고 있는[7].
시설
O2아레나
O2아레나(The O2 Arena)는 The O2최대의 시설에서, 23,000자리를 가지는 유럽 최대의 다목적 아레나로서 알려져 있는[8].
indigO2
indigO2는 2,410명 수용의 나이트 클럽에서, 콘서트의 애프터 쇼나 프라이빗 이벤트 등에 대응되고 있다.
O2버블
O2버블(The O2 bubble)은 2007년 11월에 오픈한 박물관에서, 주로 마이클 잭슨의 전시회가 개최된 실적이 있는[9].
Cineworld @ The O2
그 외
각주
- ^ Bon Jovi blasts off at the O2[링크 잘라라]
- ^"BBC NEWS | Entertainment | Bon Jovi first to play O2 arena". News.bbc.co.uk. (Last Updated:) 2008년 10월 27일 열람.
- ^"NBA.com - Tickets Sold Out for Celtics vs. Timberwolves at the O2 Arena in London". Nba.com. 2008년 10월 27일 열람.
- ^ More for less (2007년 6월 18일). "Branding the O2: Welcome to the new Dome of entertainment - Media, News - The Independent". London: News.independent.co.uk. 2008년 10월 27일 열람.
- ^ [1]
- ^ O2(by and by, 2012년 10월 16일)
- ^더・O2아레나(노스・그리니지・아레나) / The O2 arena (North Greenwich Arena)(런던나우!)
- ^ "The O2 - About AEG". 2007년 11월 11 일시점의 오리지날보다 어카이브.2016년 4월 17일 열람.
- ^ "The O2 - The O2 bubble". Theo2.co.uk. 2008년 1월 22 일시점의 오리지날보다 어카이브.2008년 10월 27일 열람.
- ^ Cineworld to operate O2 multiplex | Digital Look
관련 항목
외부 링크
This article is taken from the Japanese Wikipedia The O2
This article is distributed by cc-by-sa or GFDL license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Wikipedia.
In addition, Tranpedia is simply not responsible for any show is only by translating the writings of foreign licenses that are compatible with CC-BY-SA license information.
0 개의 댓글:
댓글 쓰기